Jump to content

Argument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논리학(logic)철학(philosophy)에서, 논증(argument)은 또 다른 명제, 결론의 진실(truth)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예정된, 전제(premises or premisses)라고 불리는, (자연 언어(natural language)에서) 일련의 명제입니다. [1][2][3][4][5] 자연 언어에서 논증의 논리적 형식(logical form)은 상징적 형식 언어(formal language)에서 표현될 수 있고, 자연어와는 독립적으로 형식적으로 정의된 "논증"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논리는 논증에서 추론(reason)의 형식과 논증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과 기준의 개발의 연구입니다.[6] 연역적 논증(Deductive argument)타당한(valid) 또는 건전한(sound) 것일 수 있습니다: 타당한 논증에서, 전제는, 심지어 하나 이상의 전제가 거짓이고 결론이 거짓이더라도, 결론을 필요로 합니다; 건전한 논증에서, 참 전제는 참 결론을 필요로 합니다. 귀납적 논증(Inductive argument)은, 반대로, 논리적 힘의 서로 다른 정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주장이 강하거나 명백할수록, 결론이 참일 확률이 높고, 논증이 약할수록, 그 확률이 더 낮아집니다.[7] 비-연역적 논증을 평가하는 것에 대해 기준은 진실과는 다르거나 추가적인 기준–예를 들어, 초월적 논증(transcendental arguments)에서 소위 "필수-불가결성 주장"의 설득력,[8] 소급(retroduction)에서 가설의 품질, 또는 심지어 사고와 행동에 대해 새로운 가능성의 공개(disclosure)–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9]


Etymology

라틴 어근 arguere (밝게 하다, 밝히다, 알리기, 입증, 등)은 인도유럽조어(Proto-Indo-European) argu-yo-에서 유래한 것으로, arg- (빛나다, 흰색)의 접미사 형식입니다.[10]

Formal and informal

비형식적 논리에서 연구된 것으로 비공식적 논증은, 보통의 언어(ordinary language)로 제시되고 일상의 담론(discourse)에 대해 의도됩니다. 형식적 논증은 형식적 논리 (역사적으로 상징적 논리라고 불리며, 보다 공통적으로 오늘날 수학적 논리라고 참조됨)에서 연구되고 형식 언어(formal language)에서 표현됩니다. 비공식 논리는 논증론(argumentation)의 연구를 강조합니다; 형식적 논리는 함축(implication)추론(inference)을 강조합니다. 비공식적 논증은 때때로 암시적입니다. 합리적 구조 – 주장, 전제, 근거의 관계, 함축, 및 결론의 관계 – 는 항상 설명되어 있지 않고 즉시 표시되지 않고 반드시 해석에 의해 명시적으로 만들어집니다.

Standard types

Argument terminology

논리에서 여러 종류의 논증이 있으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역적"과 "귀납적"입니다. 논증은 하나 이상의 전제가 가지지만 오직 하나의 결론을 가집니다. 각 전제와 결론은 진실 전달자(truth bearers) 또는 "진실-후보자"이며, 각각은 참 또는 거짓 (둘 다는 아님)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들 진리 값은 논증와 함께 사용되는 용어를 따릅니다.

Deductive arguments

  • 연역적 논증(deductive argument)은 결론의 진리(truth)가 전제의 논리적 결과(logical consequence)라고 주장합니다. 전제를 기반으로, 그 결론은 필연적으로 (확실성과 함께) 따릅니다. 예를 들어, A=B 및 B=C라는 전제가 주어지면, 그 결론은 필연적으로 A=C임을 따릅니다. 연역적 논증은 때때로 "진리-보존하는" 논증이라고 참조됩니다.
  • 연역적 논증은 타당한(valid) 또는 비-타당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만약 우리가 전제가 참이라고 가정하면 (실제 진리 값을 무시하고), 결론이 확실성과 함께 따릅니까? 만약 그렇다면, 그 논증은 타당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유효하지 않습니다. 타당성을 결정하는 것에서, 논증의 구조는 진리 값이 아니라 결정에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박쥐는 날 수 있고 (전제=참), 모든 나는 생물은 새 (전제=거짓)이므로, 따라서 박쥐는 새 (결론=거짓)라는 논증을 생각해 보십시오. 만약 우리가 전제가 사실이라고 가정하면, 그 결론은 필연적으로 따르고, 그것은 유효한 논증입니다.
  • 만약 연역적 논증이 타당하고 그것의 전제가 모두 참이면, 그것은 역시 건전한 것으로 참조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박쥐는 새입니다"로 불-건전합니다.
  • 만약 유효한 연역적 논증의 모든 전제가 참이면, 그것의 결론은 반드시 참이어야 합니다. 모든 전제가 참이면 결론에 대해 거짓이라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Inductive arguments

  • 귀납적 논증(inductive argument)은 결론의 진리가 전제 가능성에 의해 지원된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미군 군대 예산이 세계에서 가장 크다 (전제=참)는 것으로 주어지면, 향후 10년 동안은 여전히 그럴게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참). 예측을 포함하는 논증은 귀납적인데 왜냐하면 미래는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 귀납적 논증은 강하거나 약하다고 말합니다. 만약 귀납적 논증의 전제가 참이라고 가정되면, 결론도 참일 가능성이 있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논증은 강한 것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약한 것입니다.
  • 강한 논증은 만약 그것이 모든 참 전제를 가지면 명백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논쟁은 설득력이 없습니다. 군사 예산 논증의 예제는 강력하고, 명백한 논증입니다.

Deductive

연역적 논증이, 만약 유효하면, 그것의 전제에 의해 수반(entail)되는 결론을 가집니다. 결론의 진리는 전제의 논리적 결과입니다. 만약 전제가 참이면, 그 결론은 반드시 참이어야 합니다. 전제를 주장하고 결론을 부정하는 것은 자기-모순적일 것인데, 왜냐하면 결론을 부정은 전제의 진리에 모순이기 때문입니다.

Validity

연역적 논증은 타당한 또는 비-타당한 것 중 하나일 것입니다. 만약 논증이 타당하면, 그것은 타당한 추론이고, 만약 그것의 전제가 참이면, 그 결론은 반드시 참이어야 합니다: 타당한 논증은 참 전제와 거짓 결론을 가질 수 없습니다.

논증이 공식적으로 타당한 것과 결론의 거부가 모든 전제를 받아들이는 것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논증의 타당성은 그것의 전제와 결론의 실제 진리 또는 허위가 아니고, 논증이 타당한 논리적 형식(logical form)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논증의 타당성은 그것의 결론의 진리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타당한 논증은 결정적이지 않은 그것을 세우는 거짓 전제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거짓 전제를 갖는 타당한 논증의 결론은 참 또는 거짓일 수 있습니다.

논리는 논증을 타당하게 만드는 형식을 발견하려고 합니다. 논증의 형식이 타당한 것과 그 결론이 전제가 참인 논증의 모든 해석 아래에서 참인 것과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논증의 타당성은 그것의 형식에 따라 다르며, 논증은 그것의 형식이 타당하지 않음을 보임으로써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주어진 해석 아래에서 참이지만, 해당 해석 아래에서 거짓인 결론을 전제를 갖는 같은 형식의 논쟁의 반대 예제에 의해 행해질 수 있습니다. 비공식 논리에서, 이것은 반대 논증(counter argument)이라고 불립니다.

논증의 형식은 기호의 사용에 의해 표시될 수 있습니다. 각 논증 형식에 대해, 해당하는 조건부(corresponding conditional)라고 불리는 해당하는 명제 형식이 있고, 논증 형식은 타당한 것과 해당하는 조건부가 논리적 진리(logical truth)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논리적으로 참인 명제 형식은 역시 타당한 명제 형식이라고 말합니다. 명제 형식은 만약 그것이 모든 해석(interpretation) 아래에서 참이면 논리적 진리입니다. 명제 형식은 (a) 그것이 동의어-반복(tautology)임을 보여주거나 (b) 증명 절차(proof procedure)를 수단으로 논리적 진리인 것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타당한 논증의 해당하는 조건부가 필요한 진리 (모든 가능한 세계에서 참)이고 따라서 그 결론은 필연적으로 전제로부터 또는 논리적 필요성에 따릅니다. 타당한 논증의 결론은 필연적으로 참이 아니며, 그것은 전제가 참인지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만약 결론, 자체가 필요한 진리이면, 그것은 전제와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일부 예제:

  • 모든 그리스인은 인간이고 모든 인간은 죽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그리스인은 죽습니다. : 타당한 논증; 만약 전제가 참이면 그 결론은 반드시 참이어야 합니다.
  • 일부 그리스인은 논리학자이고 일부 논리학자는 귀찮습니다; 그러므로, 일부 그리스인은 귀찮습니다. 비-타당한 논증 : (예를 들어) 귀찮은 논리학자는 모두 로마인일 수 있습니다.
  • 우리는 모두 파멸하거나 모두 구원받는 것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모두 구원받은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모두 파멸합니다. 타당한 논증; 전제는 결론을 수반합니다. (이것은 결론이 사실이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전제가 참이면 참이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어떤 남자는 행상인입니다. 일부 행상인은 부자입니다. 그러므로, 일부 남성은 부자입니다. 비-타당한 논증. 이것은 다음과 같은 같은 논증 형식과 함께 반대-예제를 제공함으로써 더 쉽게 될 수 있습니다:
    • 어떤 사람들은 초식 동물입니다. 일부 초식 동물은 얼룩말입니다. 따라서, 어떤 사람들은 얼룩말입니다. 비-타당한 논증, 왜냐하면 전제가 참이 되고 결론이 거짓일 수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끝에서 두 번째 경우 (어떤 남성은 행상인 ...)에서, 반대 예제는 이전 논증과 같은 논리적 형식을 따릅니다 (전제 1: "어떤 XY입니다. "전제 2: "일부 YZ입니다." 결론: "일부 XZ입니다.") 행상인이 무엇이든간에 전제를 시연하기 위해, 그와 같은 전제의 고려사항에서, 그들이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역시 존재 가져오기(Existential import)를 참조하십시오).

연역법을 타당하게 만드는 논증의 형식은 잘-설립되는 것이며, 어쨌든 일부 비-타당한 논증은 그들의 구성에 따라 역시 설득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귀납적 논증(inductive arguments)). (역시 형식적 허위(Formal fallacy)비형식적 허위(Informal fallacy)를 참조하십시오).

Soundness

건전한 논증은 그것의 결론이 그것의 전제로부터 따르고, 그것의 전제(들)이 참인 타당한 논증입니다.

Inductive

비-연역적 논리는 전제가 결론을 지지하지만 그것을 수반하지는 않는 논증을 사용하여 추론합니다. 비-연역적 논리의 형식은 일반화로부터 대부분에 대해 참이라고 주장하는 통계적 삼단논법(statistical syllogism)귀납법(induction), 개별적인 경우를 기반으로 일반화를 만드는 추론의 형식을 포함합니다. 귀납적 논증은 명백한(cogent) 것으로 말해지는 것과 논증의 전제의 진리가 있음직한 결론의 진리를 세우고 (즉, 그 논증이 강함), 논증의 전제가, 사실, 참이라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명백성(Cogency)은 연역적 논리(deductive logic)"건전성(soundness)"에 대한 귀납적 논리(inductive logic)의 아날로그로 여길 수 있습니다. 그것의 이름에도 불구하고, 수학적 귀납법(mathematical induction)은 귀납적 추론의 형식이 아닙니다. 연역적 타당성의 부족은 귀납법의 문제(problem of induction)로 알려져 있습니다.

Defeasible arguments and argumentation schemes

현대 논증화 이론에서, 논증은 전제에서 결론에 이르는 실행 불가능한 구절로 생가됩니다. 실현-불가능성(Defeasibility)은 추가적인 정보 (새로운 증거 또는 반대 논증)가 제공될 때, 그 전제가 더 이상 결론 (비-단조적 추론(non-monotonic reasoning))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추론은 실행-불가능한 추론(defeasible reasoning)이라고 참조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유명한 트위티의 예제를 고려합니다:

트위티는 새입니다.
새는 일반적으로 날아갑니다.
따라서, 트위티는 (아마도) 날아갑니다.

이 논증은 합리적이고 그 전제는 그 경우가 예외임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정보가 나오지 않은 한 결론을 뒷받침합니다. 만약 트위티가 펭귄이면, 그 추론은 더 이상 전제에 의해 정당화되지 않습니다. 실현 불가능한 논증은 오직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지되는 일반화를 기반으로 하지만, 예외 및 기본값이 적용됩니다.

실현-불가능한 추론을 표현하고 평가하기 위해, (그것의 전제 수용을 기반으로 한 결론의 수용을 통제하는) 논리적 규칙을 물질적 추론의 규칙과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며, 전제가 주어진 결론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상황의 상태의 특정 설명에서 특정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합리적이거나 그렇지 않은지 여부)를 통제해야 합니다.

논증화 계획(Argumentation scheme)은 실현-불가능한 논증의 수용-가능성 또는 허위성(fallaciousness)을 설명하고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습니다. 논증화 계획은 추론의 고정-관념적 패턴이며, 의미론적-존재론적 관계를 추론과 논리적 공리의 유형과 결합하고 가장 공통적인 유형의 자연스러운 논증의 추상적 구조를 나타냅니다.[11] 전형적인 예제는 두 가지 전제와 한 결론을 가지는, 아래에 보이는, 전문가 의견으로부터 논증입니다. [12]

전문가 의견으로부터 논증
주요 전제: 출처 E는 제안 A를 포함하는 주제 도메인 S입니다.
보조 전제: E는 제안 A가 참 (거짓)임을 주장합니다.
결론: A는 참 (거짓)입니다.

각 계획은 일련의 치명적 질문, 즉 변증법적으로 논증의 합리성과 수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과 결합될 수 있습니다. 일치하는 치명적 질문은 논쟁을 의심으로 던지는 표준 방법입니다.

By analogy

유추(analogy)에 의한 논증은 특정에서 특정까지의 논증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유추에 의한 논증은 결론에서 유사한 특정 진리를 향해 논쟁하기 위해 전제에서 특정 진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플라톤이 필멸이었고, B. 소크라테스가 다른 측면에서 플라톤과 같았었다면, C. 소크라테스가 필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유추에 의한 논증의 예제인데, 왜냐하면 그것에 사용된 추론은 전제에서 특정 진리 (플라톤이 필멸이였다)에서 결론에서 유사한 특정 진리, 즉 소크라테스가 필멸이였다는 것으로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Other kinds

다른 종류의 논증은 타당성 또는 정당성의 다른 또는 추가적인 표준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학자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는 이른바 초월적 논증(transcendental arguments)은 우리 경험과의 연관성에 근거하여 무언가가 필연적으로 참인 이유를 보여 주기 위해 시도하는 "필수-불가결성 주장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하지만,[13] 니콜러스 캄프리디스(Nikolas Kompridis)"오류가-있는fallible)" 논증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고 제안해 왔습니다: 하나는 진리 주장에 기반하고, 다른 하나는 시간-응답하는 가능성의 폭로 (세계 폭로(world disclosure))에 기반합니다.[14] 캄프리디스는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쿡(Michel Foucault)이 철학적 논증의 후자 형식의 저명한 옹호자였다고 말했습니다.[15]

World-disclosing

세계-폭로하는 논증은 니콜러스 캄프리디스에 따르면 보다 폭넓은 존재론적(ontological) 또는 문화-언어적 이해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 "세계", 특별히 존재론적 의미에서 – 의미의 배경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과 캄프리디스가 논증이 암시적으로 의존하는 "논리적 공간"이라고 불러왔던 것을 명확히 하거나 변형시키기 위해, 공개적(disclosive)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철학적 논증의 그룹입니다.[16]

Explanations

논증은 어떤 것이 그 경우였는지, 인지, 일 것인지, 여야 하는지를 보여 주려고 시도하지만, 설명은 어떤 것이 그런지 또는 그럴 것인지의 이유 또는 방법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만약 프레드와 조가 프레드의 고양이에 벼룩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면, 조는 말할 수 있습니다: "프레드, 너희 고양이에 벼룩이 있어. 고양이가 지금 긁고 있어." 조는 고양이에게 벼룩이 있다고 논증했습니다. 어쨌든, 만약 조가 프레드에게 "왜 고양이가 스스로 긁어?"라고 물으면, 그 설명, "...왜냐하면 벼룩이 있으니까."는 이해를 제공합니다.

위의 논증과 설명 둘 다는 a) 벼룩이 종종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b) 우리는 가려움증을 완화하기 위해 자주 긁는다는 일반성을 아는 것을 요구합니다. 그 차이는 의도에 있습니다: 논증은 일부 주장(claim)이 참인지 여부를 해결하려고 시도하고, 설명은 사건의 이해를 제공하려고 시도합니다. "동물이 그것들이 벼룩이 있을 때 스스로를 긁는 것"이라는 일반적인 규칙의 예제로 (프레드의 고양이 긁는 것의) 특정 사건을 포함함으로써, 조는 더 이상 프레드의 고양이가 스스로를 긁는 이유를 궁금해하지 않을 것임을 주목하십시오. 논증은 믿음의 문제를 다루며, 설명은 이해의 문제를 다룹니다. 역시 위의 논증에서 명제, "프레드의 고양이에 벼룩이 있습니다"는 논쟁의 대상이 되었지만 (즉, 하나의 주장임), 설명에서, 명제 "프레드의 고양이에 벼룩이 있습니다"는 참임 (이 시점에서 의문의 여지가 없음)을 가정하고 단지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17]

논증과 설명은 수사학(rhetoric)적 사용에서 서로 거의 유사합니다. 이것은 주장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것(thinking critically)에서 많은 어려움의 원인입니다. 이 어려움에 대해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 사람들은 종종 자신이 어떤 것을 주장하는지 또는 설명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명확하지 않습니다.
  • 같은 유형의 단어와 구는 설명과 논증을 제시하는 것에서 사용됩니다.
  • 용어 '설명하기' 또는 '설명', 등은 논증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설명은 종종 논증 내에서 사용되고 논증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 제시됩니다.[18]
  • 마찬가지로, "...논증은 임의의 설명의 타당성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임의의 주어진 현상에 대해 다중 설명이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17]

설명과 논증은 지식-기반 시스템의 사용자 수용 설명을 돕기 위해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s)의 분야에서 자주 연구합니다. 특정 논증 유형은 개인에 의해 수용을 높이기 위해 성격 특성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19]

Fallacies and non-arguments

허위는 추론에서 유효하지 않은 형식의 것 또는 오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논증 또는 표현의 유형입니다. 여전히 그들의 정의 또는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의 허위의 임의의 일반적인 이론 또는 강한 동의는 없지만 그 용어는 특정 오류의 예제에 대한 레이블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고, 역시 모호한 후보자에게 다양하게 적용됩니다.[20]

한 가지 유형의 허위는 결론을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단어가 독립 절 사이의 전이 (결합 부사)로 사용될 때 발생합니다. 영어에서, 단어 따라서, 그래서, 왜냐하면이런 까닭에은 전형적으로 전제와 논증의 결론으로부터 분리합니다.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남자이고, 모든 남자는 필명이고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필멸입니다는 논증인데 왜냐하면 역설 소크라테스는 필멸입니다는 앞의 명제에서 따릅니다. 어쨌든, 나는 목이 말랐었고 따라서 나는 술을 마셨습니다는 그것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논증이 아닙니다. 내가 술을 마셨다내가 목이 말랐습니다에 의해 논리적으로 수반되는 것으로 주장이 되지 않습니다. 이 문장에서 따라서그것이 다음임을 따릅니다가 아니라 그 이유에 대해를 나타냅니다.

Elliptical or ethymematic arguments

종종 논증이 유효하지 않거나 약한데 왜냐하면 전제를 타당하거나 강하게 만드는 누락된 전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생략법적 또는 음운론적 논증으로 참조됩니다 (역시 Enthymeme § Syllogism with an unstated premise 참조하십시오). 화자와 작가는 만약 그것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작가가 맹목적으로 명백한 것을 말하고 싶지 않으면 그들의 추론에서 필요한 전제를 종종 생략할 것입니다. 예제: 모든 금속은 가열되면 팽창하고, 따라서 철은 가열되면 팽창할 것입니다. 누락된 전제는 이것입니다: 철은 금속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겉보기에 유효한 논증은 전제 – "숨겨진 가정" – 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질 수 있으며, 이것은, 만약 강조되면, 추론에서 오류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졔: 증인이 추론했습니다: 우유 배달원을 제외하고 아무도 현관문으로 나오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살인자는 뒷문으로 떠났음에 틀림없습니다. 숨겨진 가정은 다음입니다: (1) 우유 배달원이 살인자가 아닙니다 그리고 (2) 살인자는 앞문 또는 뒷문으로 떠났습니다.

See also

Notes

  1. ^ "Argument",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In everyday life, we often use the word "argument" to mean a verbal dispute or disagreement. This is not the way this word is usually used in philosophy. However, the two uses are related. Normally, when two people verbally disagree with each other, each person attempts to convince the other that his/her viewpoint is the right one. Unless he or she merely results to name calling or threats, he or she typically presents an argument for his or her position, in the sense described above. In philosophy, "arguments" are those statements a person makes in the attempt to convince someone of something, or present reasons for accepting a given conclusion."
  2. ^ Ralph H. Johnson, Manifest Rationality: A pragmatic theory of argument (New Jersey: Laurence Erlbaum, 2000), 46–49.
  3. ^ Ralph H. Johnson, Manifest Rationality: A pragmatic theory of argument (New Jersey: Laurence Erlbaum, 2000), 46.
  4. ^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2nd Ed. CUM, 1995 "Argument: a sequence of statements such that some of them (the premises) purport to give reason to accept another of them, the conclusion"
  5. ^ Stanford Enc. Phil., Classical Logic
  6. ^ "Argument",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7. ^ "Deductive and Inductive Argument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8. ^ Charles Taylor, "The Validity of Transcendental Arguments", Philosophical Arguments (Harvard, 1995), 20–33. "[Transcendental] arguments consist of a string of what one could call indispensability claims. They move from their starting points to their conclusions by showing that the condition stated in the conclusion is indispensable to the feature identified at the start… Thus we could spell out Kant's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first edition in three stages: experience must have an object, that is, be of something; for this it must be coherent; and to be coherent it must be shaped by the understanding through the categories."
  9. ^ Kompridis, Nikolas (2006). "World Disclosing Arguments?". Critique and Disclosure. Cambridge: MIT Press. pp. 116–124. ISBN 0262277425.
  10. ^ Harper, Douglas. "Argue". Online Etymology Dictionary. MaoningTech. Retrieved 15 June 2018.
  11. ^ Macagno, Fabrizio; Walton, Douglas (2015). "Classifying the patterns of natural arguments". Philosophy & Rhetoric. 48 (1): 26–53.
  12. ^ Walton, Douglas; Reed, Chris; Macagno, Fabrizio (2008). Argumentation Schem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10.
  13. ^ Charles Taylor, "The Validity of Transcendental Arguments", Philosophical Arguments (Harvard, 1995), 20–33.
  14. ^ Nikolas Kompridis, "Two Kinds of Fallibilism", Critique and Disclosure (Cambridge: MIT Press, 2006), 180–183.
  15. ^ Nikolas Kompridis, "Disclosure as (Intimate) Critique", Critique and Disclosure (Cambridge: MIT Press, 2006), 254. In addition, Foucault said of his own approach that "My role ... is to show people that they are much freer than they feel, that people accept as truth, as evidence, some themes which have been built up at a certain moment during history, and that this so-called evidence can be criticized and destroyed." He also wrote that he was engaged in "the process of putting historico-critical reflection to the test of concrete practices… I continue to think that this task requires work on our limits, that is, a patient labor giving form to our impatience for liberty." (emphasis added) Hubert Dreyfus, "Being and Power: Heidegger and Foucault" and Michel Foucault, "What is Enlightenment?"
  16. ^ Nikolas Kompridis, "World Disclosing Arguments?" in Critique and Disclosure, Cambridge: MIT Press (2006), 118–121.
  17. ^ a b JONATHAN F. OSBORNE, ALEXIS PATTERSON School of Education, Stanford University, Stanford, CA 94305, USA Received 27 August 2010; revised 22 November 2010; accepted 29 November 2010 DOI 10.1002/sce.20438 Published online 23 May 2011 in Wiley Online Library (wileyonlinelibrary.com)
  18. ^ Critical Thinking, Parker and Moore
  19. ^ Justin Scott Giboney, Susan Brown, and Jay F. Nunamaker Jr. (2012). "User Acceptance of Knowledge-Based System Recommendations: Explanations, Arguments, and Fit" 45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Hawaii, January 5–8.
  20. ^ [1]

References

  • Shaw, Warren Choate (1922). The Art of Debate. Allyn and Bacon. p. 74. argument by analogy.
  • Robert Audi, Epistemology, Routledge, 1998. Particularly relevant is Chapter 6, whi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inference and argument.
  • J. L. Austin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 H. P. Grice, Logic and Conversation in The Logic of Grammar, Dickenson, 1975.
  • Vincent F. Hendricks, Thought 2 Talk: A Crash Course in Reflection and Expression, New York: Automatic Press / VIP, 2005, ISBN 87-991013-7-8
  • R. A. DeMillo, R. J. Lipton and A. J. Perlis, Social Processes and Proofs of Theorems and Program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22, No. 5, 1979. A classic article on the social process of acceptance of proofs in mathematics.
  • Yu. Manin, A Course in Mathematical Logic, Springer Verlag, 1977. A mathematical view of logic. This book is different from most books on mathematical logic in that it emphasizes the mathematics of logic, as opposed to the formal structure of logic.
  • Ch. Perelman and L. Olbrechts-Tyteca, The New Rhetoric, Notre Dame, 1970. This classic was originally published in French in 1958.
  • Henri Poincaré, Science and Hypothesis, Dover Publications, 1952
  • Frans van Eemeren and Rob Grootendorst, Speech Acts in Argumentative Discussions, Foris Publications, 1984.
  • K. R. Popper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Oxford: Clarendon Press, 1972.
  • L. S. Stebbing, A Modern Introduction to Logic, Methuen and Co., 1948. An account of logic that covers the classic topics of logic and argument while carefully considering modern developments in logic.
  • Douglas N. Walton, Informal Logic: A Handbook for Critical Argumentation, Cambridge, 1998.
  • Walton, Douglas; Christopher Reed; Fabrizio Macagno, Argumentation Schem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 Carlos Chesñevar, Ana Maguitman and Ronald Loui, Logical Models of Argument, ACM Computing Surveys, vol. 32, num. 4, pp. 337–383, 2000.
  • T. Edward Damer. Attacking Faulty Reasoning, 5th Edition, Wadsworth, 2005. ISBN 0-534-60516-8
  • Charles Arthur Willard, A Theory of Argumentation. 1989.
  • Charles Arthur Willard, Argumentation and the Social Grounds of Knowledge. 1982.

Further reading

  • Salmon, Wesley C. Logic. New Jersey: Prentice-Hall (1963). Library of Congress Catalog Card no. 63-10528.
  • Aristotle, Prior and Posterior Analytics. Ed. and trans. John Warrington. London: Dent (1964)
  • Mates, Benson. Elementary Logic. New York: OUP (1972). Library of Congress Catalog Card no. 74-166004.
  • Mendelson, Elliot.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New York: Van Nostran Reinholds Company (1964).
  • Frege, Gottlob.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80).
  • Martin, Brian. The Controversy Manual (Sparsnäs, Sweden: Irene Publishing, 2014).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