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Identity theorem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의 가지, 실수 해석학(real analysis)복소 해석학(complex analysis)에서, 해석적 함수(analytic functions)에 대해 항등 정리(identity theorem)는 다음을 말합니다: 도메인 D ( 또는 의 열린 것이고 연결된 부분집합) 위에 해석적인 함수 fg가 주어졌을 때, 일부 위에 f = g, 여기서 누적 점(accumulation point)을 가지며, D 위에 f = g입니다.

따라서 해석적 함수는 D에서 단일 열린 이웃 또는 심지어 D의 셀-수-있는 부분집합 (이것은 수렴하는 수열을 포함한다는 조건에서) 위에 값에 의해 완전하게 결정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실수-미분가능 함수, 심지어 무한하게 실수-미분가능 함수(infinitely real-differentiable functions)에 대해서도 참이 아닙니다. 이에 비해, 해석적 함수는 훨씬 더 엄격한 개념입니다. 비공식적으로, 우리는 때때로 해석적 함수가 "딱딱한" (말하자면, "부드러운" 연속 함수와 반대로) 것이라고 말함으로써 정리를 요약합니다.

그 정리가 확립되는 토대적인 사실은 정칙 함수를 그것의 테일러 급수로의 확장-가능성입니다.

도메인 D 위에 연결성 가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D가 두 개의 서로소 열린 집합으로 구성되면, 는 하나의 열린 집합 위에 이고 또 다른 것 위에 일 수 있지만, 는 하나 위에 이고 또 다른 것 위에 입니다.

Lemma

만약 도메인 위에 두 개의 정칙 함수 에서 누적 점 를 가지는 집합 위에 일치하면, 를 중심으로 하는 에서 디스크 위에 입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모든 에 대해 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만약 이것이 그 경우가 아니면, 를 갖는 가장 작은 비-음의 정수라고 놓습니다. 정칙성에 의해, 우리는 의 일부 열린 이웃 에서 다음과 같은 테일러 급수 표현을 가집니다:

연속성에 의해, 주변의 일부 작은 열린 디스크 에서 비-영입니다. 그러나 그때에 구멍난 집합 위에 입니다. 이것은 의 누적 점이라는 가정과 모순됩니다.

이 보조정리는 복소수 에 대해, 올(fiber) 가 아닌 한 이산 (및 따라서 셀-수-있는) 집합임을 보여줍니다.

Proof

가 같은 테일러 전개를 가지는 집합을 정의합니다:

우리는 가 비-빈, 열린, 및 닫힌 것임을 보여야 합니다. 그런-다음 연결성(connectedness)에 의해, 의 전부여야 하며, 이는 위에 를 의미합니다.

보조정리, 에서 에 중심을 둔 디스크에서 에 의해, 그것들은 에서 같은 테일러 급수를 가지므로, , 는 비-빈입니다.

위에 정칙이므로, , 에서 의 테일러 급수는 비-영 수렴의 반지름(radius of convergence)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열린 디스크 도 일부 에 대해 에 놓입니다. 따라서 는 열린 것입니다.

의 정칙성에 의해, 그것들은 정칙 도함수를 가지므로, 모든l 는 연속입니다. 이것은 가 모든 에 대해 닫힌 것임을 의미합니다. 는 닫힌 집합의 교집합이므로, 그것은 닫힌 것입니다.

Full characterisation

항등 정리는 두 개의 정칙 함수의 상등에 관한 것이므로, 우리는 단순히 차이 (이는 정형으로 남아 있음)을 고려할 수 있고, 정칙 함수가 동일하게 일 때 간단히 특성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 결과는 발견될 수 있습니다.[1]

Claim

는 복소 평면의 비-빈, 연결된(connected) 열린 부분집합을 나타낸다고 놓습니다. 에 대해, 다음은 동등합니다:

  1. 위에 ;
  2. 집합 누적 점(accumulation point), 을 포함합니다;
  3. 집합 은 비-빈이며, 여기서 .

Proof

방향 (1 2)(1 3)은 자명하게 유지됩니다.

(3 1)에 대해, 의 연결성에 의해, 그것은 비-빈 부분집합, 이 닫힌-열린 것임을 입증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왜냐하면 토폴로지적 공간이 연결된 것과 그것이 적절한 닫힌-열린 부분집합을 가지지 않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정칙 함수는 무한하게 미분-가능, 즉, 이므로, 가 닫혀 있음이 분명합니다. 열림을 보여주기 위해, 를 생각해 보십시오. 를 포함하는 열린 공 를 생각해 보십시오. 이것에서 를 중심으로 하는 수렴 테일러-급수 전개를 가집니다. 덕분에, 이 급의 모든 계수는 이며, 여기서 위에 임이 따라옵니다. 의 모든 -번째 도함수는 위에서 0이며, 여기서 입니다. 따라서 각 의 내부에 놓입니다.

(2 3)을 향해, 누적 점 를 고정합니다. 우리는 이제 각 에 대해 임을 귀납법에 의해 직접적으로 입증합니다. 이를 위해, 에 의해 주어지는 주변의 의 거듭제곱 급수 전개의 수렴 반지름보다 엄격하게 작다고 놓습니다. 이제 일부 을 수정하고 모든 에 대해 라고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에 대해, 거듭제곱 급수 전개의 조작은 다음을 산출합니다:

 

 

 

 

(1)

이 거듭제곱 급수의 반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거듭제곱 급수 가 연속적이고 따라서 에 경계져 있음을 쉽게 도출할 수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이제, 에서 누적 점이기 때문에, 에 수렴하는 점 의 수열이 있습니다. 위에 이고 각 이기 때문에, (1)에서 표현은 다음을 산출합니다:

 

 

 

 

(2)

on 위에 의 경계성에 의해 , 이며, 여기서 임이 따라옵니다. 귀납법을 통해, 주장이 유지됩니다. Q.E.D.

See also

References

  1. ^ Guido Walz, ed. (2017). Lexikon der Mathematik (in German). Vol. 2. Mannheim: Springer Spektrum Verlag. p. 476. ISBN 978-3-662-53503-5.
  • Ablowitz, Mark J.; Fokas A. S. (1997). Complex variables: Introduction and application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2. ISBN 0-521-480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