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Reciprocal rule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미적분학(calculus)에서, 역수 규칙(reciprocal rule)은 f의 도함수의 관점에서 함수 f역수(reciproca)의 도함수를 제공합니다. 역수 규칙은 만약 그것이 양의 지수에 대해 이미 확립되어 있으면, 거듭제곱 규칙(power rule)이 음의 지수에 대해 유지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역시, 우리는 역수 규칙과 곱 규칙(product rule)으로부터 몫 규칙(quotient rule)을 쉽게 추론할 수 있습니다.

역수 규칙은 만약 f가 점 x에서 미분-가능(differentiable)이고 f(x) ≠ 0이면 g(x) = 1/f(x)가 역시 x에서 미분이고 다음과 같음을 말합니다:

Proof

이 증명은 에서 미분-가능이라고 전제하고 가 그때에 역시 그곳에서 반드시 연속(continuous)이라는 정리에 의존합니다. 과 함께 에서 의 도함수의 정의를 적용하면 다음을 제공합니다:

이 곱의 극한은 존재하고 그것의 인수의 존재하는 극한의 곱과 같습니다:

에서 의 미분-가능성때문에 첫 번째 극한은 과 같고, 이고 에서 의 연속성때문에 두 번째 극한은 과 같으며, 따라서 다음을 산출합니다:

A weak reciprocal rule that follows algebraically from the product rule

다음이기 때문에

곱 규칙의 응용은 다음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다음알 말하기 위해 대수적으로 다시-정렬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이것은 1/fx에서 미분-가능임을 입증하는 것에 실패합니다; 그것은 오직 x에서 1/f의 미분가능성이 이미 확립되었을 때 유효합니다. 그런 식으로, 위에서 입증된 역수 규칙보다 더 약한 결과입니다. 어쨌든, 미분-가능이 아니고 도함수가 극한에 의해 정의되지 않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미분 대수(differential algebra)의 맥락에서, 이 방법에서 역수 규칙과 보다 일반적인 몫 규칙이 확립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pplication to generalization of the power rule

종종 거듭제곱 규칙은, 라고 말하면, 오직 n이 비-음의 정수일 때 유효하다는 방법에 의해 입증됩니다. 이것은 을 설정함으로써 음의 정수 n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입니다.

Application to a proof of the quotient rule

역수 규칙은 몫 규칙의 특별한 경우이며, 이것은 만약 fgx에서 미분-가능이고 g(x) ≠ 0이면 다음임을 말합니다:

몫 규칙은 다음을 쓰고,

그런-다음 몫 규칙을 적용하고, 그런-다음 두 번째 인수에 역수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입증될 수 있습니다:

Application to differentia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s

역수 규칙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시컨트와 코시컨트 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시컨트 함수에 대해:

코시컨트는 비슷하게 취급됩니다: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