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여러 가지 함수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함수에서 함수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는 함수중에 특별한 경우의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대일함수

오른쪽 그림처럼 정의역 와 공역 에 대하여 함수 일 때, 집합 의 각 원소에 집합 의 서로 다른 원소가 하나씩 대응됩니다. 이와 같이 정의역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대응하는 공역의 원소가 서로 다른 원소를 갖는 함수를 일대일함수라고 합니다.

즉, 함수 에서 정의역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일 때, 함수 일대일함수라고 합니다.

한편 어떤 명제에 대해, 대우는 항상 진리값이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역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일대일 대응

오른쪽 그림처럼 정의역 와 공역 에 대하여 함수 일 때, 집합 의 각 원소에 집합 의 서로 다른 원소가 하나씩 대응되고, 공역과 치역이 서로 같습니다. 이와 같이 공역과 치역이 같으며, 정의역의 서로 다른 두 원소에 대응하는 공역의 원소가 서로 다른 원소를 갖는 함수를 일대일 대응이라고 합니다.

즉, 함수 에서 정의역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1) 치역과 공역이 같고
(2) 일 때,

함수 일대일 대응이라고 합니다.

일대일 대응의 그래프

함수의 그래프에서 축과 나란한 직선과 한 곳에서 만날 때 로의 함수임을 알아보았습니다.

한편, 함수중에서 일대일의 그래프를 찾을 때에는 축과 나란한 직선과 한 곳에서만 만나야 합니다. 즉, 정의역과 공역이 모든 실수일 때, 일대일 대응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은 증가함수 또는 감소함수에서 나타납니다.

반면에 아래의 이차함수는 두 곳에서 만나기 때문에 일대일 대응이 아닙니다. 물론 정의역에 제한을 둔 이차함수는, 증가함수나 감소함수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일대일 대응이 가능합니다.

항등함수

오른쪽 그림처럼,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그 함숫값이 자기 자신인 대응관계를 가질 때, 이와 같은 함수를 항등함수라고 합니다.

즉, 정의역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함숫값이 자기 자신이 대응되는 함수

항등함수(identity function)라고 합니다.

상수함수

오른쪽 그림처럼, 정의역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그 함숫값이 항상 같은 값을 가지는 대응관계를 가질 때, 이와 같은 함수를 상수함수라고 합니다.

즉, 정의역 의 모든 원소 가 공역 의 한 원소에만 대응될 때,

는 상수

상수함수라고 합니다.

상수함수의 그래프는 축에 평행한 모든 직선이 이에 해당합니다.

응용예제

응용예제1

실수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 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의 범위는?

해설: mowoum:여러 가지 함수#응용예제1

응용예제2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가 일대일함수가 되기 위한 실수 의 값의 범위를 구하고, 그 풀이과정을 서술하시오.

해설: mowoum:여러 가지 함수#응용예제2

응용예제3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이 역함수가 존재하도록 하는 음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점 의 자취의 길이가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서로소인 자연수입니다.)

해설: mowoum:여러 가지 함수#응용예제3

응용예제4

영이 아닌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를 만족할 때, 방정식 의 두 근의 합을 구하여라.

해설: mowoum:여러 가지 함수#응용예제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