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Additive func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숫자 이론(number theory)에서, 덧셈의 함수(additive function)는 ab가 서로소일 때마다, 곱의 함수가 함수의 합임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integer) n산술 함수(arithmetic function) f(n)입니다:[1]

f(ab) = f(a) + f(b).

Completely additive

덧셈의 함수 f(n)은 만약 f(ab) = f(a) + f(b)가 모든 양의 정수 ab에 대해, 심지어 그것들이 서로소가 아닐지라도, 유지된다면, 완전히 덧셈적(completely additive)이라고 말합니다. 전체적으로 덧셈적(Totally additive)은 역시 전체적으로 곱셈의(totally multiplicative) 함수와 아날로그에 의한 이런 의미에서 사용됩니다. 만약 f가 완전히 덧셈적 함수이면, f(1) = 0입니다.

모든 각 완전히 덧셈적 함수는 덧셈적이지만, 그 반대는 아닙니다.

Examples

완전히 덧셈적인 산술 함수의 예제는 다음입니다:

  • 로그 함수(logarithmic function)N으로 제한.
  • n에서 소수 인수 p중복도(multiplicity), 즉 pmn을 나누는 가장 큰 지수m.
  • a0(n) - 중복도를 세는 n을 나누는 소수의 합, 때때로 sopfr(n)로 불리며, n의 포튼시 또는 n의 정수 로그 (OEIS에서 수열 A001414). 예를 들어:
a0(4) = 2 + 2 = 4
a0(20) = a0(22 · 5) = 2 + 2+ 5 = 9
a0(27) = 3 + 3 + 3 = 9
a0(144) = a0(24 · 32) = a0(24) + a0(32) = 8 + 6 = 14
a0(2,000) = a0(24 · 53) = a0(24) + a0(53) = 8 + 15 = 23
a0(2,003) = 2003
a0(54,032,858,972,279) = 1240658
a0(54,032,858,972,302) = 1780417
a0(20,802,650,704,327,415) = 1240681
  • 함수 Ω(n), 여러 인수 중복 회수를 세는, n의 소수 인수의 전체 숫자로 정의되며, 때때로 "큰 오메가 함수"라고 불립니다 (OEIS에서 수열 A001222). 예를 들어:
Ω(1) = 0, 왜냐하면 1은 소수를 가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Ω(4) = 2
Ω(16) = Ω(2·2·2·2) = 4
Ω(20) = Ω(2·2·5) = 3
Ω(27) = Ω(3·3·3) = 3
Ω(144) = Ω(24 · 32) = Ω(24) + Ω(32) = 4 + 2 = 6
Ω(2,000) = Ω(24 · 53) = Ω(24) + Ω(53) = 4 + 3 = 7
Ω(2,001) = 3
Ω(2,002) = 4
Ω(2,003) = 1
Ω(54,032,858,972,279) = 3
Ω(54,032,858,972,302) = 6
Ω(20,802,650,704,327,415) = 7

덧셈적이지만 완전히 덧셈적은 아닌 산술 함수의 예제는 다음입니다:

ω(4) = 1
ω(16) = ω(24) = 1
ω(20) = ω(22 · 5) = 2
ω(27) = ω(33) = 1
ω(144) = ω(24 · 32) = ω(24) + ω(32) = 1 + 1 = 2
ω(2,000) = ω(24 · 53) = ω(24) + ω(53) = 1 + 1 = 2
ω(2,001) = 3
ω(2,002) = 4
ω(2,003) = 1
ω(54,032,858,972,279) = 3
ω(54,032,858,972,302) = 5
ω(20,802,650,704,327,415) = 5
  • a1(n) - n을 나누는 구별되는 소수의 합, 때때로 sopf(n)으로 불립니다 (OEIS에서 수열 A008472). 예를 들어:
a1(1) = 0
a1(4) = 2
a1(20) = 2 + 5 = 7
a1(27) = 3
a1(144) = a1(24 · 32) = a1(24) + a1(32) = 2 + 3 = 5
a1(2,000) = a1(24 · 53) = a1(24) + a1(53) = 2 + 5 = 7
a1(2,001) = 55
a1(2,002) = 33
a1(2,003) = 2003
a1(54,032,858,972,279) = 1238665
a1(54,032,858,972,302) = 1780410
a1(20,802,650,704,327,415) = 1238677

Multiplicative functions

임의의 덧셈의 함수 f(n)으로부터, 관련된 곱셈의 함수(multiplicative function) g(n), 즉, ab가 서로소일 때마다 우리가 다음을 가진다는 속성을 갖는 것을 생성하는 것은 쉽습니다:

g(ab) = g(a) × g(b).

하나의 그러한 예제는 g(n) = 2f(n)입니다.

Summatory functions

덧셈의 함수 가 주어지면, 그것의 합하는 함수를 에 의해 정의되는 것으로 놓습니다. 의 평균은 다음으로 정확하게 주어집니다:

에 걸쳐 합하는 함수는 로 확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함수 의 평균은 역시 다음처럼 이들 함수에 의해 표현될 수 있습니다:

모든 자연수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절대의 상수 가 항상 있습니다:

다음을 놓습니다:

일 때, 다음을 만족하는 을 갖는 덧셈의 함수라고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이며 여기서 가우스 분포 함수(Gaussian distribution function)입니다:

소수 오메가 함수(prime omega function)와 이동된 소수의 소수 약수와 관련된 이 결과의 예제는 고정된 에 대해 다음을 포함하여 여기서 관계는 에 대해 유지됩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Erdös, P., and M. Kac. On the Gaussian Law of Errors in the Theory of Additive Functions. Proc Natl Acad Sci USA. 1939 April; 25(4): 206–207. online

Further reading

  • Janko Bračič, Kolobar aritmetičnih funkcij (Ring of arithmetical functions), (Obzornik mat, fiz. 49 (2002) 4, pp. 97–108) (MSC (2000) 11A25)
  • Iwaniec and Kowalski, Analytic number theory, AM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