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Differentiable func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A differentiable function

(수학의 한 분야) 미적분학(calculus)에서, 하나의 실수(real) 변수의 미분-가능 함수(differentiable function)는 그의 도함수(derivative)가 그의 도메인(domain) 안의 각 점에서 존재하는 함수입니다. 결과적으로, 미분-가능 함수의 그래프(graph)는 그의 도메인 안의 각 점에서 (비-수직(vertical)) 접선(tangent line)을 반드시 가져야 하며, 상대적으로 매끄럽고, 임의의 끊어짐, 굽힘 또는 뾰족-점(cusps)을 절대 포함할 수 없습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x0가 함수 f의 도메인 안의 내부 점이면, f는 만약 도함수 f ′(x0)가 존재하면 x0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f의 그래프가 점 (x0f(x0))에서 비-수직 접선을 가짐을 의미합니다. 함수 fx0에서 지역적으로 선형(locally linear)이라고 역시 불릴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이 점 근처에서 선형 함수(linear function)에 의해 잘 근사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Differentiability of real functions of one variable

열린 집합 위에 정의된, 함수 는 만약 다음 동등한 조건의 임의의 것을 만족시키면 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 도함수 가 존재합니다.
  • 을 만족하는 실수 이 존재합니다. 숫자 은, 그것이 존재할 때, 와 같습니다.
  • 을 만족하는 함수 가 존재합니다.

Differentiability and continuity

The absolute value function is continuous (i.e. it has no gaps). It is differentiable everywhere except at the point x = 0, where it makes a sharp turn as it crosses the y-axis.
A cusp on the graph of a continuous function. At zero, the function is continuous but not differentiable.

만약 f가 점 x0에서 미분-가능이면, f는 반드시 x0에서 역시 연속(continuous)이어야 합니다. 특히, 임의의 미분-가능 함수는 그의 도메인 안의 모든 점에서 반드시 연속이어야 합니다. 그 반대는 유지되지 않습니다: 연속 함수는 미분-가능일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굽힘, 뾰족-점(cusp), 또는 수직 접선(vertical tangent)을 가진 함수는 연속일 수 있지만, 변칙의 위치에서 미분-가능에 실패합니다.

실제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함수는 모든 점 또는 거의 모든 각 점에서 도함수를 가집니다. 어쨌든, 스테판 바나흐(Stefan Banach)의 결과는 일부 점에서 도함수를 가지는 함수의 집합은 모든 연속 함수 공간에서 마른 집합(meager set)입니다.[1] 비공식적으로, 이것은 미분-가능 함수가 연속 함수들 사이에서 매우 비전형적인 것을 의미합니다. 어디에서나 연속적이지만 미분-가능인 곳이 없는 함수의 첫 번째 예제는 바이어슈트라스 함수(Weierstrass function)입니다.

Differentiability classes

Differentiable functions can be locally approximated by linear functions.
The function with for and is differentiable. However, this function is not continuously differentiable.

함수 f는 만약 도함수 f(x)가 존재하고 자체 연속 함수이면 연속적으로 미분-가능(continuously differentiable)이라고 말합니다. 비록 미분-가능 함수의 도함수가 점프 불연속성(jump discontinuity)을 절대 갖지 않을지라도, 도함수에 대해 본질적인 불연속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함수

는 0에서 미분-가능인데, 왜냐하면

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x ≠ 0에 대해, 미분화 규칙(differentiation rules)은 다음임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x → 0일 때 극한을 가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르부의 정리(Darboux's theorem)는 임의의 함수의 도함수가 사잇값 정리(intermediate value theorem)의 결론을 만족시킴을 의미합니다.

연속적으로 미분-가능 함수는 때때로 클래스 C1의 것으로 말합니다. 함수는 만약 함수의 일차 및 이차 도함수(second derivative) 둘 다가 존재하고 연속이면 클래스 C2의 것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함수는 만약 처음 k 도함수 f(x), f(x), ..., f (k)(x) 모두가 존재하고 연속이면 클래스 Ck의 것으로 말합니다. 만약 도함수 f (n)가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해 존재하면, 함수는 매끄러운(smooth) 또는 동등하게, 클래스 C의 것입니다.

Differentiability in higher dimensions

여러 실수 변수의 함수(function of several real variables) f: RmRn는 만약 다음을 만족하는 선형 맵(linear map) J: RmRn존재하면x0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만약 함수가 x0에서 미분-가능이면, 부분 도함수(partial derivative)의 모두가 x0에서 존재하고, 선형 맵 J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에 의해 제공됩니다. 고차 도함수의 비슷한 공식화는 단일-변수 미적분에서 발견되는 기본 증분 보조-정리(fundamental increment lemma)에 의해 제공됩니다.

만약 함수의 모든 부분 도함수가 점 x0 이웃(neighborhood)에 존재하고 점 x0에서 연속이면, 함수는 그 점 x0에서 미분-가능입니다.

어쨌든, 부분 도함수 (또는 심지어 모든 방향 도함수(directional derivative))의 존재는 함수가 한 점에서 미분-가능일 수 있음을 일반적으로 보증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에 의해

정의된 함수 f: R2R(0, 0)에서 미분-가능은 아니지만, 부분 도함수와 방향 도함수의 모두는 이 점에서 존재합니다. 연속적이 예제에 대해, 함수

(0, 0)에서 미분-가능은 아니지만, 다시 부분 도함수와 방향 도함수의 모두는 존재합니다.

Differentiability in complex analysis

복소 해석학(complex analysis)에서, 복소-미분가능성은 단일-변수 실수 함수와 같은 정의를 사용하여 정의됩니다. 이것은 복소수를 나눌 가능성에 의해 허용됩니다. 따라서, 함수 는 다음일 때 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비록 이 정의는 단일-변수 실수 함수의 미분-가능성과 비슷하게 보일지라도, 어쨌든 보다 제한적인 조건이 있습니다. 점 에서 복소-미분가능인 함수 는 함수 로 보일 때 해당 점에서 자동으로 미분-가능입니다. 이것은 복소-미분가능성이 다음임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함수 는 여러-변수 함수로 미분-가능일 수 있지만, 복소-미분가능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는 2-변수 실수 함수 으로 보인 모든 각 점에서 미분-가능이지만, 임의의 점에서 복소-미분가능은 아닙니다.

한 점의 이웃에서 복소-미분가능인 임의의 함수는 해당 점에서 정칙(holomorphic)이라고 불립니다. 그러한 함수는 필연적으로 무한하게 미분-가능이고, 사실 해석적(analytic)입니다.

Differentiable functions on manifolds

만약 M미분-가능 매니폴드(differentiable manifold)이면, M 위에 실수 또는 복소-값 함수 f는 만약 p 주위에 정의된 일부 (또는 임의의) 좌표 도표에 관해 미분-가능이면, 점 p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MN이 미분-가능 매니폴드이면, 함수 fM → N은 만약 pf(p) 주위에 정의된 일부 (또는 임의의) 좌표 도표에 관해 미분-가능이면 점 p에서 미분-가능이라고 말합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Banach, S. (1931). "Über die Baire'sche Kategorie gewisser Funktionenmengen". Studia. Math. 3 (1): 174–179.. Cited by Hewitt, E; Stromberg, K (1963). Real and abstract analysis. Springer-Verlag. Theorem 17.8. {{cite book}}: Unknown parameter |nopp= ignored (|no-pp= suggested)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