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Implicit function theorem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 보다 구체적으로 다변수 미적분학(multivariable calculus)에서, 암시적 함수 정리[1] 관계(relations)여러 실수 변수의 함수로 변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구입니다. 그것은 관계를 함수의 그래프(graph of a function)로 표현함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그래프가 전체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단일 함수는 없을 수 있지만, 관계의 도메인(domain)의 제한에 대한 그러한 함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는 그러한 함수가 있음을 보장하기 위한 충분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보다 정확하게, m 방정식의 시스템 fi(x1, ..., xn, y1, ..., ym) = 0, i = 1, ..., m (종종 F(x, y) = 0로 축약됨)이 주어지면, 그 정리는, 한 점에서 (yi에 관한) 부분 도함수(partial derivative)에 대한 온화한 조건 아래에서, m 변수 yi가 점의 일부 이웃(neighborhood)에서 xj의 미분-가능 함수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들 함수는 일반적으로 닫힌 형식(closed form)으로 표현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은 방정식에 의해 암시적으로 정의되고, 이것이 정리의 이름에 동기-부여했습니다.[2]

다시 말해서, 부분 도함수에 대한 온화한 조건 아래에서, 방정식의 시스템의 영들(zeros)의 집합은 지역적(locally)으로 함수의 그래프(graph of a function)입니다.

History

오귀스탱-루이 코시(Augustin-Louis Cauchy) (1789–1857)는 암시적 함수 정리의 첫 번째 엄격한 형식으로 공인됩니다. 울리세 디니(Ulisse Dini) (1845–1918)는 암시적 함수 정리의 실수-변수 버전을 임의의 숫자의 실수 변수의 함수의 문맥으로 일반화했습니다.[3]

First example

The unit circle can be specified as the level curve f(x, y) = 1 of the function Around point A, y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y(x). In this example this function can be written explicitly as in many cases no such explicit expression exists, but one can still refer to the implicit function y(x). No such function exists around point B.

만약 우리가 함수 를 정의하면, 방정식 f(x, y) = 1은 단위 원(unit circle)수준 집합(level set) {(x, y) | f(x, y) = 1}으로 자릅니다. 단위 원을 한 변수의 함수의 그래프 y = g(x)로 나타내는 방법이 없는데 왜냐하면 x ∈ (−1, 1)의 각 선택에 대해, y의 두 선택, 즉 이 있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원의 일부를 한 변수의 함수의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1 ≤ x ≤ 1에 대해 로 놓으면, 의 그래프는 원의 위쪽 절반을 제공합니다. 비슷하게, 만약 이면, 의 그래프는 원의 아래쪽 절반을 제공합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의 목적은, 심지어 우리가 명시적인 공식을 작성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와 같은 함수의 존재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가 미분-가능이고, 심지어 우리가 f(x, y)에 대한 공식을 가지지 않는 상황에서 작동함을 보장합니다.

Definitions

연속적으로 미분-가능(continuously differentiable) 함수로 놓습니다. 우리는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으로 생각하고, 우리는 그 곱의 점을 으로 씁니다. 주어진 함수 f로 시작하여, 우리의 목표는 그의 그래프 (x, g(x))가 f(x, y) = 0를 만족하는 정확하게 모든 함수 (x, y)의 집합인 함수 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것은 항상 가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따라서 f(a, b) = 0을 만족시키는 점 (a, b) = (a1, ..., an, b1, ..., bm)을 고정할 것이고, 우리는 점 (a, b) 근처에서 작동하는 g를 필요로 할 것입니다. 달리 말해서, 우리는 a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open set) , b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 및 U × V 위에 관계 f = 0를 만족시키는 g의 그래프와 U × V 이내의 다른 점은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을 만족하는 함수 g : UV를 원합니다. 기호에서,

암시적 함수 정리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f부분 도함수(partial derivative)의 행렬인 f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을 필요로 합니다. (a1, ..., an, b1, ..., bm)를 (a, b)로 축약하면, 야코비 행렬은 다음입니다:

여기서 X는 변수 xi에서 부분 도함수의 행렬이고 Y는 변수 yj에서 부분 도함수의 행렬입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는 만약 Y가 역-가능 행렬이면, 원하는 것처럼 U, V, 및 g가 있다고 말합니다. 모든 가설을 함께 쓰면 다음 명제를 제공합니다.

Statement of the theorem

연속적으로 미분-가능 함수(continuously differentiable function)로 놓고, 가 좌표 (x, y)를 가진다고 놓습니다. f(a, b) = 0를 갖는 점 (a, b) = (a1, ..., an, b1, ..., bm)를 고정하며, 여기서 는 영 벡터입니다. 만약 다음 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 (이것은 이전 섹션에서 보인 야코비 행렬의 오른쪽-변 패널입니다)이 역-가능(invertible)이면,

다음

을 만족하는 유일한 연속적으로 미분-가능 함수 가 존재하는 것을 만족하는 a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이 존재합니다.

게다가, U에서 g의 부분 도함수는 다음 행렬 곱(matrix product)에 의해 제공됩니다:[4]

Higher derivatives

만약, 게다가, f가 (a, b)의 이웃에서 해석적(analytic) 또는 k번 연속적으로 미분-가능이면, 우리는 같은 것이 U 내부의 g에 대해 유지할 목적으로 U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5] 해석적 경우에서, 이것은 해석적 암시적 함수 정리(analytic implicit function theorem)라고 불립니다.

Proof for 2D case

가 곡선 을 정의하는 연속적으로 미분-가능 함수로 가정합니다. 를 곡선 위의 한 점으로 놓습니다. 위의 정리의 명제는 다음처럼 이 단순한 경우에 대해 다시-쓸 수 있습니다:

만약 다음이면:
주위의 곡선에 대해 우리는 를 쓸 수 있으며, 여기서 는 실수 함수입니다.

증명. F가 미분-가능이므로 우리는 부분 도함수를 통해 F의 미분을 씁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곡선 위의 움직임으로 제한되어 있고 점 주위의 가정에 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일차 보통의 미분 방정식(first-orde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을 가집니다:

이제 우리는 점 주위의 열린 구간에서 이 ODE에 대한 해를 찾을 것이며, 그것 안의 모든 각 점에서 입니다. F가 연속적으로 미분-가능이고 가정으로부터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가 연속이고 양 끝점에서 경계짐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로부터 우리는 xy 둘 다에서 립시츠 연속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코시-립시츠 정리(Cauchy-Lipschitz theorem)에 의해, 초기 조건과 함께 주어진 ODE에 대한 해인 고유한 y(x)가 존재합니다.

The circle example

단위 원(unit circle)의 예제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이 경우에서 n = m = 1 및 입니다. 부분 도함수의 행렬은 단지 1 × 2 행렬이며,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따라서, 여기서, 정리의 명제에서 Y는 단지 숫자 2b입니다; 그것에 의해 정의된 선형 맵은 역-가능인 것과 b ≠ 0인 것은 필요충분(iff) 조건입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에 의해 우리는 y ≠ 0인 모든 점에 대해 형식 y = g(x)에서 원을 지역적으로 쓸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0)에 대해, 우리는 앞서 언급했듯이 문제가 발생합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는 xy의 함수, 즉, 로 씀으로써 이들 두 점에 여전히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제 함수의 그래프는 이 될 것인데, 왜냐하면 여기서 b = 0이면 우리는 a = 1을 가지고, 이 형식에서 함수를 지역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시키기 때문입니다.

x에 관한 y의 암시적 도함수와 y에 관한 x의 도함수는 암시적 함수 전체적으로 미분(totally differentiating)하고 0와 같게 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을 제공합니다:

Application: change of coordinates

우리가 좌표의 집합 에 의해 매개변수화된 m-차원 공간을 가짐을 가정합니다. 우리는 각각이 연속적으로 미분-가능인 m 함수 를 공급함으로써 새로운 좌표 시스템 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들 함수는, 를 사용하여 점들의 이전 좌표 가 주어지면, 점의 새로운 좌표 를 계산하는 것을 허용합니다. 우리는 반대가 가능한지 확인하기를 원할 수 있습니다: 좌표 가 주어지면, 우리는 같은 점들의 원래 좌표 로 '돌아가고' 계산할 수 있습니까? 암시적 함수 정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할 것입니다. (새로운 및 이전) 좌표 f = 0에 관련되며, 여기서

이제 특점 점 (a, b)에서 f의 야코비 행렬은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 여기서 ]:

여기서 Imm × m 항등 행렬(identity matrix)을 표시하고, J는 (a, b)에서 평가된 부분 도함수의 m × m 행렬입니다. (위에서, 이들 블록은 X와 Y에 의해 표시되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그 정리의 특별한 적용에서, 어떤 행렬도 a에 의존하지 않습니다.) 암시적 함수 정리는 이제 우리가 만약 J가 역-가능이면 의 함수로 를 지역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J는 역-가능이라는 요구는 행렬식 J ≠ 0와 동등하며, 따라서 우리는 만약 야코비 J의 행렬식이 비-영이면 프라임된 좌표에서 비-프라임된 좌표로 되돌아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명제는 역시 역함수 정리(inverse function theorem)로 알려져 있습니다.

Example: polar coordinates

위의 간단한 응용으로, 극좌표(polar coordinates) (R, θ)로 매개변수화된 평면을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는 함수 x(R, θ) = R cos(θ) 및 y(R, θ) = R sin(θ)을 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좌표 시스템 (데카르트 좌표(cartesian coordinates))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임의의 점 (R, θ)이 주어지면 대응하는 데카르트 좌표 (x, y)를 찾는 것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언제 돌아가고 데카르트를 극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까? 이전 예에서, 그것은 행렬식 J ≠ 0을 가지면 충분하며, 여기서

행렬식 J = R이므로, 만약 R ≠ 0이면 극좌표로 다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경우 R = 0를 확인하는 것이 남습니다. 경우 R = 0에서, 우리의 좌표 변환이 역-가능이 아님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원점에서, θ의 값은 잘-정의되지 않습니다.

Generalizations

Banach space version

바나흐 공간(Banach space)에서 역함수 정리(inverse function theorem)에 기초된, 암시적 함수 정리를 바나흐 공간 값된 매핑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합니다.[6][7]

X, Y, Z바나흐 공간(Banach space)으로 놓습니다. 매핑 f : X × YZ를 연속적으로 프레셰 미분-가능(Fréchet differentiable)으로 놓습니다. 만약 , , 및 Y에서 Z 위로의 바나흐 공간 동형이면, f(x, g(x)) = 0 및 f(x, y) = 0를 만족하는 이웃 U가 존재하는 것과 모든 에 대해 y = g(x)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Implicit functions from non-differentiable functions

다양한 형식의 암시적 함수 정리가 함수 f가 미분-가능이 아닐 때 존재합니다. 지역적 엄격한 단조성은 일 차원에서 충분하다는 것이 표준입니다.[8] 다음 보다 일반적인 형식은 Jittorntrum에 의해 관찰을 기반으로 Kumagai에 의해 입증되었습니다.[9][10]

를 만족하는 연속 함수 를 생각해 보십시오. B에서 모든 y에 대해, 가 지역적으로 일-대-일을 만족하는, 각각, x0y0의 열린 이웃 가 존재하는 것과 모든 에 대해, 방정식 f(x, y) = 0가 다음 고유한 해를 가짐을 만족하는 x0y0의 열린 이웃 의 존재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

여기서 gB0에서 A0로의 연속 함수입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Also called Dini's theorem by the Pisan school in Italy. In the English-language literature, Dini's theorem is a different theorem in mathematical analysis.
  2. ^ Chiang, Alpha C. (1984). Fundamental Methods of Mathematical Economics (3rd ed.). McGraw-Hill. pp. 204–206. ISBN 0-07-010813-7. {{cite book}}: Invalid |ref=harv (help)
  3. ^ Krantz, Steven; Parks, Harold (2003). The Implicit Function Theorem. Modern Birkhauser Classics. Birkhauser. ISBN 0-8176-4285-4.
  4. ^ de Oliveira, Oswaldo (2013). "The Implicit and Inverse Function Theorems: Easy Proofs". Real Anal. Exchange. 39 (1): 214–216. doi:10.14321/realanalexch.39.1.0207. {{cite journal}}: Invalid |ref=harv (help)
  5. ^ Fritzsche, K.; Grauert, H. (2002). From Holomorphic Functions to Complex Manifolds. Springer. p. 34. {{cite book}}: Invalid |ref=harv (help)
  6. ^ Lang, Serge (1999). Fundamentals of Differential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New York: Springer. pp. 15–21. ISBN 0-387-98593-X.
  7. ^ Edwards, Charles Henry (1994) [1973]. Advanced Calculus of Several Variables. Mineola, New York: Dover Publications. pp. 417–418. ISBN 0-486-68336-2.
  8. ^ Kudryavtsev, Lev Dmitrievich (2001) [1994], "Implicit function",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MS Press {{citation}}: Invalid |ref=harv (help)
  9. ^ Jittorntrum, K. (1978). "An Implicit Function Theorem". Journal of Optimiz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25 (4): 575–577. doi:10.1007/BF00933522.
  10. ^ Kumagai, S. (1980). "An implicit function theorem: Comment". Journal of Optimiz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31 (2): 285–288. doi:10.1007/BF00934117.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