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Menelaus's theorem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Menelaus' theorem)
Menelaus's theorem, case 1: line DEF passes inside triangle ABC

알렉산드리아의 메넬라우스(Menelaus of Alexandria)의 이름을 따서 지은 메넬라우스의 정리(Menelaus's theorem:메넬라오스의 정리)는 평면 기하학(plane geometry)에서 삼각형(triangle)에 대한 제안입니다. 삼각형 ABCA, B, 및 C로부터 구별되는 D, E, 및 F가 있고, 점 D, E, 및 F에서 각각 BC, AC, 및 AB를 가로지르는 횡단(transversal) 선이 주어지면,

또는 간단히

[1]

이 방정식은 부호화된 선분의 길이를 사용하는데, 다시 말해서 길이 AB는 직선의 고정된 방향에서 AB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있는지에 따라 양 또는 음으로 고려됩니다. 예를 들어, AF/FBFAB 사이에 있을 때 양의 값을 갖고 그렇지 않으면 음수를 갖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일부 저자는 인수를 다르게 구성하고 겉으로 보기에 다음과 같은 다른 관계를 얻습니다:[2]

그러나 이들 인수의 각각이 위의 해당하는 인수의 음수이므로, 관계가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전환(converse)도 역시 참입니다: 만약 점 D, E, 및 F가 각각 BC, AC, 및 AB에서 선택되므로, 다음을 만족하면:

D, E, 및 F는 같은 직선 위에 있습니다. 전환은 종종 정리의 일부로 포함됩니다.

이 정리는 그들 방정식이 오직 부호에서 다르다는 점에서 체바의 정리(Ceva's theorem)와 매우 유사합니다.

Proof

Menelaus's theorem, case 2: line DEF is entirely outside triangle ABC

하나의 표준 증명은 다음과 같습니다:[3]

먼저, 왼쪽 변(left-hand side)의 부호는 음수가 될 것인데, 왜냐하면 직선 DEF가 삼각형을 지나지 않는 경우 (하위 다이어그램)에서 세 비율의 모두는 음수이거나, 또는 DEF가 삼각형의 두 변을 가로지르는 경우에서 하나는 음수이고 다른 두 개가 양수이기 때문입니다. (파쉬의 공리(Pasch's axiom)를 참조하십시오.)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A, B, 및 C에서 직선 DEF로 수직선을 구성하고 길이를 각각 a, b, 및 c로 놓습니다. 그런 다음 닮음(similar) 삼각형에 의해, |AF/FB| = |a/b|, |BD/DC| = |b/c|. 및 |CE/EA| = |c/a|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더 간단하게, 만약 크기를 확인하는 덜 대칭적인 방법이라면,[4] AB와 평행하게 CK를 그리는데, 여기서 DEFK에서 CK와 만납니다. 그런 다음 닮음 삼각형에 의해

그리고 그 결과는 이들 방정식으로부터 CK를 제거함으로써 따라옵니다.

전환은 따름정리로 따라옵니다.[5] 방정식을 만족하기 위해서 D, EF를 직선 BC, AC, 및 AB 위에 주어졌다고 놓습니다. F′을 DEAB를 교차하는 지점이라고 놓습니다. 그런 다음 정리에 의해, 방정식은 D, EF'에 대해 역시 유지됩니다. 둘을 비교하면,

그러나 많아야 한 개의 점이 주어진 비율로 선분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F=F′입니다.

A proof using homothecies

다음 증명은[6] 오직 아핀 기하학(affine geometry)의 개념, 특히 중심-닮음(homothecies)을 사용합니다. D, E, 및 F가 같은-직선 위에 있든 아니든, BC로, CA로, 및 AB로 각각 보내는 중심 D, E, F를 갖는 세 개의 중심-닮음이 있습니다. 셋의 합성은 그런-다음 B를 고정하는 중심닮음-변환의 그룹의 원소이므로, 그것은 중심 B를 갖는 중심-닮음이며, 아마도 비율 1을 가집니다 (이것에서 그것은 항등입니다). 이 합성은 직선 DE를 고정하는 것과 FDE와 같은 직선 위에 있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왜냐하면 처음 두 중심닮음은 확실히 DE를 고정하고, 세 번째는 만약 FDE 위에 있으면 그렇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D, E, 및 F가 같은 직선 위에 있는 것과 이 합성이 항등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며, 이것은 세 비율의 곱의 크기가 1임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주어진 방정식과 동등합니다.

History

실제로 누가 정리를 발견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전시물은 메넬라우스에 의한 Spherics에 나타납니다. 이 책에서, 그 정리의 평면 버전은 정리의 구형 버전을 입증하기 위한 보조정리로 사용됩니다.[7]

알마게스트(Almagest)에서, 프톨레마이오스(Ptolemy)는 구형 천문학에서 여러 문제에 대해 정리를 적용합니다.[8] 이슬람 황금 시대(Islamic Golden Age) 동안, 무슬림 학자들은, 그들이 "시컨트에 대한 제안" (shakl al-qatta)라고 참조하는, 메넬라우스의 연구에 참여한 여러 연구를 바쳤습니다. 완전 사변형(complete quadrilateral)은 그들의 용어에서 "시컨트의 그림"이라고 불리었습니다.[8] 알-비루니(Al-Biruni)의 연구, The Keys of Astronomy는 그들의 연구 여럿을 나열하며, 이것은 알-니리지(al-Nayrizi)알-하진(al-Khazin)의 연구에서 처럼 프톨레마이오스의 Almagest에 대한 주석의 일부로 연구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은 사인 규칙(sine rule)으로 이어지는 메넬라우스의 정리의 특별한 경우[9] 또는 다음과 같은 독립적인 논문으로 구성된 연구를 시연했습니다:

References

  1. ^ Russel, p. 6.
  2. ^ Johnson, Roger A. (2007) [1927], Advanced Euclidean Geometry, Dover, p. 147, ISBN 978-0-486-46237-0
  3. ^ Follows Russel
  4. ^ Follows Hopkins, George Irving (1902). "Art. 983". Inductive Plane Geometry. D.C. Heath & Co.
  5. ^ Follows Russel with some simplification
  6. ^ See Michèle Audin, Géométrie, éditions BELIN, Paris 1998: indication for exercise 1.37, p. 273
  7. ^ Smith, D.E. (1958). History of Mathematics. Vol. II. Courier Dover Publications. p. 607. ISBN 0-486-20430-8.
  8. ^ a b c d Rashed, Roshdi (1996).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Arabic science. Vol. 2. London: Routledge. p. 483. ISBN 0-415-02063-8.
  9. ^ a b c Moussa, Ali (2011). "Mathematical Methods in Abū al-Wafāʾ's Almagest and the Qibla Determinations". Arabic Sciences and Philosophy. 21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S095742391000007X.
  • Russell, John Wellesley (1905). "Ch. 1 §6 "Menelaus' Theorem"". Pure Geometry. Clarendon Pres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