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Monic polynomial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대수학(algebra)에서, 일계수 다항식(monic polynomial)은 선행 계수(leading coefficient) (가장 높은 차수의 비-영 계수)가 1과 같은 단일-변수 다항식 (즉, 일변수 다항식(univariate polynomial))입니다. 그러므로, 일계수 다항식은 다음 형식을 가집니다:

Univariate polynomials

만약 다항식이 오직 하나의 불확정(indeterminate)을 가지면 (일변수 다항식(univariate polynomial)), 항은 보통 가장 높은 차수에서 가장 낮은 차수로 ("내림차순") 또는 가장 낮은 차수에서 가장 높은 차수로 ("오름차순") 쓸 수 있습니다. 차수 nx에서 일변수 다항식은 그런-다음 위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형식을 취하며, 여기서

cn ≠ 0, cn−1, ..., c2, c1c0

는 상수, 다항식의 계수입니다.

여기서 항 cnxn선행 항이라고 불리고, 그것의 계수 cn선행 계수입니다; 만약 선행 계수가 1이면, 일변수 다항식은 일계수(monic)이라고 불립니다.

Examples

Properties

Multiplicatively closed

(주어진 (유니태리) 링(ring) A에 걸쳐 및 주어진 변수 x에 대해) 모든 일계수 다항식의 집합은 곱셈 아래에서 닫혀 있는데, 왜냐하면 선행 항의 곱이 그들의 곱의 선행 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계수 다항식은 다항식 링(polynomial ring) A[x]의 곱셈의 반그룹(semigroup)을 형성합니다. 실제로, 상수 다항식(constant polynomial) 1은 일계수이기 때문에, 이 반그룹은 심지어 모노이드(monoid)입니다.

Partially ordered

(주어진 링에 걸쳐) 모든 일계수 다항식의 집합에 대한 나눔가능성(divisibility)의 관계의 제한은 부분적인 순서(partial order)이고, 따라서 이 집합을 포셋(poset)으로 만듭니다. 그 이유는 만약 두 일계수 다항식 pq에 대해 p(x)가 q(x)를 나누고 q(x)가 p(x)를 나누면, pq가 같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해당 속성은 만약 그 링이 1 이외의 역-가능한 원소(invertible element)를 포함하면, 일반적으로 다항식에 대해 참이 아닙니다.

Polynomial equation solutions

다른 관점에서, 일계수 다항식과 그에 상응하는 일계수 다항 방정식(polynomial equation)의 속성은 계수 링 A에 결정적으로 의존합니다. 만약 A필드(field)이면, 모든 각 비-영 다항식 p는 정확히 하나의 결합된(associated) 일계수 다항식 q를 가집니다; 실제로, qp를 그것의 선행 계수로 나눈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그런-다음, 임의의 비-자명한 다항 방정식 p(x) = 0은 동등한 일계수 방정식 q(x) = 0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실수 이차 방정식은

(where )

p = b/a 과  q = c/a을 놓음으로써, 다음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다음 방정식은

다음 일계수 방정식과 동등합니다:

일반적인 이차 해 공식은 그런-다음 다음의 약간 더 단순화된 형식입니다:

Integrality

다른 한편으로, 만약 계수 링이 필드가 아니면, 보다 본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수(integer) 계수를 갖는 일계수 다항 방정식은 정수 해 이외의 다른 유리(rational) 해를 절대 가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 방정식은

아마도 일부 유리 근을 가질 것이며, 이것은 정수가 아닙니다, (그리고 우연히 그것의 근의 하나가 −1/2입니다); 반면에 다음 방정식과

다음 방정식은

오직 정수 해 또는 무리(irrational) 해를 가질 것입니다.

정수 계수를 갖는 일계수 다항식의 근은 대수적 정수(algebraic integer)라고 불립니다.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에 걸쳐 일계수 다항 방정식에 대한 해는 정수 확장(integral extension)정수적으로 닫힌 도메인(integrally closed domain)의 이론, 및 따라서 대수적 숫자 이론(algebraic number theory)에 대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A가 정수 도메인에 있고, 역시 정수 도메인 B의 부분링에 있다고 가정합니다. A에 걸쳐 일계수 다항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그들 B 원소를 구성하는, B의 부분집합 C를 생각해 보십시오:

집합 CA를 포함하는데, 왜냐하면 임의의 a ∈ A는 방정식 x − a = 0을 만족시키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C가 덧셈과 곱셈 아래에서 닫힌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CB의 부분링입니다. 링 C는, 만약 BA분수 필드(fraction field)이고; C의 원소가 A에 걸쳐 정수(integral)라고 말해지면, B에서 A정수 클로저; 또는 단지 A의 정수 클로저라고 불립니다. 만약 여기서 (정수(integer)의 링) 및 (복소수(complex number)의 필드)이면, C대수적 정수(algebraic integers)의 링입니다.

Irreduciblity

만약 p가 소수이면, p 원소를 갖는 유한 필드 에 걸쳐 차수 n의 일계수 기약 다항식(irreducible polynomial)의 숫자는 넥클리스 셈 함수(necklace counting function) 와 같습니다.[citation needed]

만약 우리가 일계수라는 제약을 제거하면, 이 숫자는 이 됩니다.

이들 일계수 기약 다항식의 근의 전체 숫자는 입니다. 이것은 임의의 더 작은 필드에 속하지 않는 ( 원소를 갖는) 필드 의 원소의 숫자입니다.

p = 2에 대해, 그러한 다항식은 유사확률 이항 수열(pseudorandom binary sequence)을 생성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됩니다.[citation needed]

Multivariate polynomials

보통, 용어 일계수는 여러 변수의 다항식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어쨌든, 여러 변수에서 다항식은 오직 "마지막" 변수에서 다항식이지만, 계수들이 다른 변수에서 다항식이 되는 것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변수 중 어떤 하나가 "마지막 변수"로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 실수 다항식은

R[y][x]에서 원소, 즉, 변수 x에서 일변수 다항식으로 고려된, 일계수이고, 그것 자체는 y에서 일계수 다항식인 계수를 가집니다:

;

그러나 p(x,y)는 R[x][y]에서 원소로 일계수가 아닌데, 왜냐하면 그때에 가장 높은 차수 계수 (즉, y2 계수)는  2x − 1이기 때문입니다.

대안적인 관례, 예를 들어 그뢰브너 기저(Gröbner basis) 문맥에서 유용할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다항식은, 만약 그것의 (다변수 다항식으로) 그것의 선행 계수가 1이면, 일계수라고 불립니다. 다시 말해서, p = p(x1,...,xn)가 n 변수에서 비-영 다항식이고, 이들 변수에서 모든 ("일계수") 단항식의 집합에 주어진 단항식 순서(monomial order), 즉, 가장 낮은 원소로 단위, 및 관련하는 곱셈과 함께, x1,...,xn에 의해 생성된 자유 교환 단항식(monoid)의 총 순서가 있음을 가정합니다. 해당 경우에서, 이 순서는 p에서 가장 높은 비-사라지는 항을 정의하고, 만약 해당 항에 계수 일을 가지면, p는 일계수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두 정의에 따른 "일계수 다변수 다항식"은 "보통의" (일변수) 일계수 다항식과 일부 속성을 공유합니다. 현저하게, 일계수 다항식의 곱은 다시 일계수입니다.

References

  • Pinter, Charles C. (2010) [Unabridged republication of the 1990 second edition of the work originally published in 1982 by the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A Book of Abstract Algebra. Dover. ISBN 978-048647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