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Parallelogram law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A parallelogram. The sides are shown in blue and the diagonals in red.

수학(mathematics)에서, (역시 평행사변형 항등식(parallelogram identity)이라고 불리는) 평행사변형 법칙(parallelogram law)의 가장 단순한 형식은 기본 기하학(geometry)에 속합니다. 그것은 평행사변형(parallelogram)의 네 변의 길이의 제곱의 합은 두 대각선의 길이의 제곱의 합과 같다고 말합니다. 우리는 변에 대해 이들 표기법: AB, BC, CD, DA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에서 평행사변형은 필연적으로 같은 대변을 가지기 때문에, 즉, AB = CDBC = DA이기 때문에, 그 법칙은 다음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만약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rectangle)이면, 두 대각선은 같은 길이 AC = BD이므로, 다음입니다:

그리고 명제는 피타고라스 정리(Pythagorean theorem)로 줄어듭니다. 네 변이 반드시 같을 필요가 없는 일반적인 사변형(quadrilateral)에 대해,

여기서 는 대각선의 중간점(midpoint)을 연결하는 선분(line segment)의 길이입니다. 그것은 평행사변형에 대해 인 다이어그램에서 보일 수 있고, 따라서 일반적인 공식은 평행사변형 법칙으로 단순화됩니다.

Proof

오른쪽에 평형사변형에서, AD = BC = a, AB = DC = b, 라고 놓습니다. 삼각형 에서 코사인의 법칙(law of cosines)을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다음을 얻습니다:

평행사변형에서, 인접한 각도(adjacent angles)보충(supplementary)이고, 따라서 입니다. 삼각형 에서 코사인의 법칙(law of cosines)을 사용하여, 다음을 생성합니다:

삼각 항등식(trigonometric identity) 을 이전 결과에 적용함으로써 입증됩니다:

이제 제곱의 합 은 다음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을 단순화하면, 이것은 다음이 됩니다:

The parallelogram law in inner product spaces

Vectors involved in the parallelogram law.

노름 공간(normed space)에서, 평행사변형 법칙의 명제는 노름(norms)과 관련된 방정식입니다:

평행사변형 법칙은 겉보기에 더 약해 보이는 명제와 동등합니다:

왜냐하면 뒤집은 부등식은 에 대해 를 대체하고 에 대해 를 대체하고 그런-다음 단순화홤으로써 그것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습니다. 같은 증명과 함께, 평행사변형 법칙은 역시 다음과 동등합니다:

안의 곱 공간(inner product space)에서, 노름은 안의 곱(inner product)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정의의 결과로, 안의 곱 공간에서 평행사변형 법칙은 대수적 항등식이며, 안의 곱의 속성을 사용하여 쉽게 수립됩니다:

이들 두 표현을 더하면: 원했던 결과입니다.

만약 에 수직이면, 를 의미하고 합의 노름에 대해 위의 방정식은 다음이 됩니다: 이것은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as' theorem)입니다.

Normed vector spaces satisfying the parallelogram law

대부분의 실수(real)복소(complex) 노름 벡터 공간(normed vector space)은 안의 곱을 가지지 않지만, 모든 노름 벡터 공간은 (정의에 의해) 노름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실수 좌표 공간(real coordinate space) 에서 벡터 에 대해 공통적으로 사용된 노름은 -노름(-norm)입니다:

하나의 노름이 주어지면, 우리는 위의 평행사변형 법칙의 양쪽 변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놀라운 사실은 만약 평행사변형 법칙이 성립하면, 그 노름이 어떤 안의 곱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발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그것이 -노름에 대해 유지되는 것과 , 소위 Euclidean 노름 또는 표준 노름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1][2]

평행사변형 법칙을 만족시키는 임의의 노름 (필연적으로 안의 곱 노름)에 대해, 노름을 생성하는 안의 곱은 극화 항등식(polarization identity)의 결과로 고유합니다. 실수 경우에서, 극화 항등식은 다음에 의해 주어집니다: 또는 동등하게 다음에 주어집니다:

복소 경우에서 그것은 다음에 의해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와 실수 벡터 를 갖는 -노름을 사용하여, 안의 곱의 평가는 다음처럼 진행합니다:

이것은 두 벡터의 표준 점 곱(dot product)입니다.

주어진 노름 을 유도하는 안의 곱이 존재하기 위한 거기를 위해 또 다른 필요충분조건은 노름에 대해 프톨레마이오스의 부등식(Ptolemy's inequality)을 만족시키는 것입니다:[3]

See also

References

  1. ^ Cantrell, Cyrus D. (2000). Modern mathematical methods for physicists and engine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535. ISBN 0-521-59827-3. if p ≠ 2, there is no inner product such that because the p-norm violates the parallelogram law.
  2. ^ Saxe, Karen (2002). Beginning functional analysis. Springer. p. 10. ISBN 0-387-95224-1.
  3. ^ Apostol, Tom M. (1967). "Ptolemy's Inequality and the Chordal Metric". Mathematics Magazine. 40 (5): 233–235. doi:10.2307/2688275. JSTOR 2688275.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