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Polynomial remainder theorem

This is a reviewed translation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대수학에서, 다항식 나머지 정리(polynomial remainder theorem) 또는 (에티엔 베주(Étienne Bézout)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작은 베주의 정리(little Bézout's theorem)[1]다항식의 유클리드 나눗셈의 응용입니다. 그것은 선형 다항식 에 의한 다항식 의 나눗셈의 나머지는 과 같음을 말합니다. 특히, 의 약수인 것과 인수 정리(factor theorem)의 속성으로 알려진 [2]인 것과는 필요충분(if and only if, iff) 조건입니다.

Examples

Example 1

라고 놓습니다. 으로 나눈 다항식의 나눗셈은 몫 과 나머지 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입니다.

Example 2

다항식 나머지 정리는, 다음의 대수적 조작을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이차 다항식 에 대해 성립하는 것을 보입니다:

양쪽 변에 (x − r)를 곱함으로써 다음을 제공합니다:

.

는 나머지이기 때문에, 우리는 실제로 임을 보였습니다.

Proof

다항식 나머지 정리는 유클리드 나눗셈(Euclidean division)의 정리를 따르는데, 유클리드 나눗셈은 주어진 두 다항식 f(x) (나누어지는 식) 그리고 g(x) (나누는 식)은 다음을 만족하는 몫 Q(x)와 나머지 R(x)가 존재 (그리고 유일성)함을 주장합니다.

만약 나누는 식이 이면, R(x) = 0 또는 그의 차수는 영입니다; 두 경우 모두에서, R(x)는 상수이고 x에 독립적입니다; 즉,

이 공식에서 을 대입하면,

어떤 사람들에게 보다 기초적으로 보일 수 있는, 약간 다른 증명은 이 형태 의 항들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인 것의 관찰로 시작하며, 그것의 각각은 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는데, 왜냐하면 다음을 만족합니다:

Applications

다항식 나머지 정리는 나머지, 을 계산하여 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비록 다항식 긴 나눗셈(polynomial long division)함수(function) 자체를 평가하는 것보다 어려울지라도, 조립 제법(synthetic division)은 계산이 더 쉽습니다. 따라서, 함수는 조립 제법과 다항식 나머지 정리를 사용하여 보다 "저렴하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인수 정리(factor theorem)는 나머지 정리의 또 다른 응용입니다: 만약 나머지가 영이면, 선형의 나누는 식은 인수입니다. 인수 정리의 반복된 적용은 다항식을 인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3]

References

  1. ^ Piotr Rudnicki (2004). "Little Bézout Theorem (Factor Theorem)" (PDF). Formalized Mathematics. 12 (1): 49–58.
  2. ^ Larson, Ron (2014), College Algebra, Cengage Learning
  3. ^ Larson, Ron (2011), Precalculus with Limits, Cengage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