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Stirling number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Stirling numbers)

수학(mathematics)에서, 스털링 숫자(Stirling numbers)는 다양한 해석적(analytic)조합론적(combinatorial) 문제에서 발생합니다. 그것들은 제임스 스털링(James Stirling)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는 그것들을 그의 책 Methodus differentialis (1730)에서 순수하게 대수적 설정에서 소개했습니다.[1] 그것들은 1769년 Ahmet Oğuz Engin에 의해 재발견되고 조합적 의미를 부여받았습니다.[2]

둘의 다른 숫자의 집합이 이 이름: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를 가집니다. 추가적으로, 라 숫자(Lah numbers)는 때때로 세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로 참조됩니다. 각 종류는 각각의 기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이 기사는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모든 세 종류의 공통 속성은 그것들이 조합론에서 자주 발생하는 다항식의 셋의 다른 수열과 관련하여 계수를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세 가지 모두는 n 원소를 k 비-빈 부분집합으로의 분할의 숫자로 정의될 수 있으며, 각 부분집합 안에서 순서화를 세는 다른 방법을 가집니다.

Notation

스털링 숫자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표기법이 사용 중입니다. 공통적인 표기법은 보통의 (부화화된)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는 다음입니다:

부호없는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unsigned 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에 대해, 이것은 k 서로소 주기(cycle)를 갖는 n 원소의 순열(permutation)의 숫자를 세는 것으로, 다음으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에 대해, 이것은 n 원소의 집합을 k 비-빈 부분집합으로의 분할의 방법의 숫자를 세는 것으로, 다음으로 표시됩니다:[3]

예를 들어, 합 은 모든 순열의 숫자이고, 반면에 합 n번째 벨 숫자(Bell number)입니다.

아브라모위츠와 스티건(Abramowitz and Stegun)은,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에 대해 대문자 흑색문자(blackletter) 를 사용합니다.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s)와 유사하게, 괄호와 중괄호의 표기법은 1935년 요한 카라마타(Jovan Karamata)에 의해 도입되었고 나중에 도널드 커누스(Donald Knuth)에 의해 촉진되었습니다. (괄호 표기법은 가우스 계수(Gaussian coefficient)에 대해 공통 표기법과 충돌합니다.[4]) 표기법의 이런 유형에 대해,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스털링 숫자 공식에 대해 수학적 동기는 스털링 숫자와 지수 생성 함수(Stirling numbers and exponential generating functions)에 대한 기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Expansions of falling and rising factorials

스털링 숫자는 떨어지는 및 올라가는 팩토리얼(falling and rising factorials) (역시 포흐하머 기호로 알려져 있음)의 전개에서 계수를 다항식으로 표현합니다.

즉, 로 표시되는 떨어지는 팩토리얼은 그것의 전개가 (부호화된)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를 계수로 갖는 다음인 x에서 차수 n의 다항식입니다:

.

(x)0 = 1임을 주목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빈 곱(empty product)이기 때문입니다. 조합론자(Combinatorialists)는 역시 때때로 떨어지는 팩토리얼에 대해 표기법 과 올라가는 팩토리얼에 대해 을 사용합니다.[5] (혼란스럽게도, 많은 사람들이 떨어지는 팩토리얼에 사용하는 포흐하머 기호가 올라가는 팩토리얼에 대한 특수 함수(special function)에서 사용됩니다.)

유사하게, 로 표시되는 올라가는 팩토리얼은 그것의 전개가 부호화된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를 계수로 갖는 다음인 x에서 차수 n의 다항식입니다:

.

이들 전개 중 하나는 임을 관찰함으로써 다른 하나에서 유도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는 역 관계를 나타냅니다:

As change of basis coefficients

(불확정) 변수 x다항식(polynomial)의 집합을 벡터 공간으로 고려하면, 다음 세 수열의 각각은 기저(basis)입니다:

즉, x에서 모든 각 다항식은 일부 고유한 계수 에 대해 합 으로 쓸 수 있습니다 (나머지 둘의 기저에 대해 유사하게 쓸 수 있습니다). 위의 관계는 그런-다음, 다음 교환 다이어그램(commutative diagram)에서 요약된 것처럼, 그들 사이의 기저의 변경(change of basis)으로 표현합니다:

둘의 바닥 변화에 대해 계수는 아래쪽의 라 숫자(Lah numbers)에 의해 설명됩니다. 임의의 기저에서 계수는 고유하기 때문에, 우리는 스털링 숫자를 이 방법, 한 기저의 다항식을 또 다른 기저의 관점에서 표현하는 계수로, 즉, 을 위에서 처럼 떨어지는 및 올라가는 팩토리얼과 관련하여 고유한 숫자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떨어지는 팩토리얼은, 스케일링까지, 같은 다항식을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s): 로 정의합니다. 표준 기저 와 기저 사이의 변경은 따라서 유사한 공식에 의해 설명됩니다:

.

As inverse matrices

첫 번째와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는 서로의 역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크로네커 델타(Kronecker delta)입니다. 이들 둘의 관계는 행렬 역 관계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즉, s를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의 아래쪽 삼각형 행렬(lower triangular matrix)로 놓으며, 그것의 행렬 원소는 입니다. 이 행렬의 역(inverse)S,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의 아래쪽 삼각형 행렬(lower triangular matrix)이며, 그것의 엔트리는 입니다. 기호적으로, 이것은 다음으로 쓰입니다:

비록 sS가 무한이므로, 곱 엔트리를 계산하는 것이 무한 합을 포함할지라도, 행렬 곱셈은 이들 행렬이 아래쪽 삼각형이기 때문에 작동하므로, 합에서 오직 유한 숫자의 항이 비-영입니다.

Example

떨어지는 팩토리얼의 기저에서 다항식을 표현하는 것은 연속적인 정수에서 평가된 다항식의 합을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 실제로, 떨어지는 팩토리얼의 합은 단순히 (k≠−1에 대해) 다음 또 다른 떨어지는 팩토리얼로 표현됩니다:

이것은 적분 과 유사하지만, 그 합이 n보다 엄격하게 작은 정수 i에 걸쳐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수의 네 번째 거듭제곱의 n까지의 합은 다음입니다 (이번에는 n을 포함합니다):

여기서 스털링 숫자는 네 원소를 k 비-빈 무-레이블 부분집합으로의 분할의 숫자로 그것들의 정의에서 계산될 수 있습니다.

대조적으로, 표준 기저에서 합 는 일반적으로 더 복잡한 파울하버의 공식(Faulhaber’s formula)에 의해 제공됩니다.

Lah numbers

라 숫자 는 때때로 세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라고 불립니다.[6] 관례에 의해, 만약 또는 이면 입니다.

이들 숫자는 올라가는 팩토리얼의 관점에서 떨어지는 팩토리얼을 표현하는 계수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and

위에서 처럼, 이것은 그것들이 기저 사이의 기저의 변경을 표현함을 의미하며, 다이어그램을 완성합니다. 특히, 하나의 공식은 나머지 다른 공식의 역이며, 따라서:

유사하게, 예를 들어 에서 로의 기저의 변경을 에서 로의 기저의 변경으로 구성하면 에서 로의 직접 기저의 변경을 제공합니다:

행렬의 관점에서, 만약 이 엔트리 를 갖는 행렬을 나타내고 가 엔트리 를 갖는 행렬을 나타내면, 하나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역입니다: 즉, . 유사하게, 첫 번째 종류의 부호화된 스털링 숫자의 행렬을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의 행렬로 구성하면 라 숫자를 제공합니다: 즉, .

숫자 n 원소를 k 비-빈 무-레이블 부분집합의 분할의 숫자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의 각각은 각각 무-순서화, 순환적으로 순서화(cyclically ordered), 또는 선형적으로 순서화입니다. 특히, 이것은 다음 부등식을 의미합니다:

Symmetric formulae

Abramowitz와 Stegun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를 관련시키는 다음 대칭 공식을 제공합니다:[7]

Stirling numbers with negative integral values

스털링 숫자는 음의 정수 값으로 확장될 수 있지만, 모든 저자가 같은 방법으로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8][9][10] 취해진 접근 방식에 관계없이, nk가 비-음의 정수일 때 첫 번째와 두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는 다음 관계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에 대해 다음 테이블을 가집니다:

k
n
−1 −2 −3 −4 −5
−1 1 1 1 1 1
−2 0 1 3 7 15
−3 0 0 1 6 25
−4 0 0 0 1 10
−5 0 0 0 0 1

도날드 커누스는[10] 모든 정수에 대한 재귀 관계(recurrence relation)를 확장함으로써 보다 일반적인 스털링 숫자를 정의했습니다. 이 접근 방법에서, 는 만약 n이 음수이고 k가 비-음수이거나, n이 비-음수이고 k가 음수이면 영이고, 따라서 우리는 임의의 정수 nk에 대해 다음을 가집니다:

다른 한편으로, 양의 정수 nk에 대해, David Branson은[9] 를 정의했습니다 (그러나 또는 는 아닙니다). 이 접근 방법에서, 우리는 첫 번째 종류의 스털링 숫자의 재귀 관계(recurrence relation)의 다음 확장을 가집니다:

,

예를 들어, 이것은 의 값은 다음 테이블로 이어집니다.

k
n
0 1 2 3 4
−1 1 1 1 1 1
−2
−3
−4
−5

이 경우에서 이며 여기서 벨 숫자(Bell number)이고, 따라서 우리는 에 의해 음수 벨 숫자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을 생성합니다.

See also

Citations

  1. ^ Mansour & Schork 2015, p. 5.
  2. ^ Mansour & Schork 2015, p. 4.
  3. ^ Ronald L. Graham, Donald E. Knuth, Oren Patashnik (1988) Concrete Mathematics, Addison-Wesley, Reading MA. ISBN 0-201-14236-8, p. 244.
  4. ^ Donald Knuth
  5. ^ Aigner, Martin (2007). "Section 1.2 - Subsets and Binomial Coefficients". A Course In Enumeration. Springer. pp. 561. ISBN 978-3-540-39032-9.
  6. ^ Sándor, Jozsef; Crstici, Borislav (2004). Handbook of Number Theory II. Kluwer Academic Publishers. p. 464. ISBN 9781402025464.
  7. ^ Goldberg, K.; Newman, M; Haynsworth, E. (1972), "Stirling Numbers of the First Kind, Stirling Numbers of the Second Kind", in Abramowitz, Milton; Stegun, Irene A. (eds.),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with Formulas, Graphs, and Mathematical Tables, 10th printing, New York: Dover, pp. 824–825
  8. ^ Loeb, Daniel E. (1992) [Received 3 Nov 1989]. "A generalization of the Stirling numbers". Discrete Mathematics. 103 (3): 259–269. doi:10.1016/0012-365X(92)90318-A.
  9. ^ a b Branson, David (August 1994). "An extension of Stirling numbers" (PDF). The Fibonacci Quarterly. Retrieved Dec 6, 2017.
  10. ^ a b D.E. Knuth, 1992.

References

  • Rosen, Kenneth H., ed. (2018), Handbook of Discrete and Combinatorial Mathematics, CRC Press, ISBN 978-1-5848-8780-5
  • Mansour, Toufik; Schork, Mathias (2015), Commutation Relations, Normal Ordering, and Stirling Numbers, CRC Press, ISBN 978-1-4665-7989-7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