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Trapezoidal rule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The function f(x) (in blue) is approximated by a linear function (in red).

수학(mathematics), 특히 수치 해석학(numerical analysis)에서, 사다리꼴 규칙(trapezoidal rule)은 한정 적분(definite integral)을 근사화하는 기법이며, 역시 trapezoid rule 또는 trapezium rule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에 대해 사다리꼴(Trapezoid)을 참조하십시오:

사다리꼴 규칙은 함수 의 그래프 아래 영역을 사다리꼴(trapezoid)로 근사화하고 그것의 넓이를 계산함으로써 작동합니다. 그것은 다음임을 따릅니다:

An animation that shows what the trapezoidal rule is and how the error in approximation decreases as the step size decreases

사다리꼴 규칙은 왼쪽(left)오른쪽(right) 리만 합(Riemann sum)을 평균함으로써 얻어진 결과로 보일 수 있고, 때때로 이 방법으로 정의됩니다. 그 적분은 적분 구간을 분할하고, 각 부분구간에 사다리꼴 규칙을 적용하고, 그런-다음 결과를 합함으로써 훨씬 더 잘 근사화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 "연쇄된" (또는 "합성") 사다리꼴 규칙은 보통 "사다리꼴 규칙을 갖는 적분"에 의해 의미되는 것입니다. 를 만족하는 의 분할로 놓고 -번째 부분구간의 길이 (즉, )으로 놓으면, 다음입니다:

분할이 규칙적인 간격을 가질 때, 종종 그렇듯이, 즉, 모든 가 같은 값 을 가질 때, 그 공식은 을 인수로 묶어 냄으로써 계산 효율성을 위해 단순화될 수 있습니다:

근사는 분할의 분해-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정확하게 됩니다 (즉, 더 큰 에 대해, 모든 가 감소합니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규칙을 사용하여 추정된 한정 적분 값의 정확도에 대한 오차 경계를 두는 것도 가능합니다.

Illustration of "chained trapezoidal rule" used on an irregularly-spaced partition of .

History

2016년 논문은 사다리꼴 규칙이 황도(ecliptic)를 따라 목성(Jupiter)의 속도를 적분화하는 데 기원전 50년 이전에 바빌로니아(Babylon)에서 사용되었다고 언급합니다.[1]

Numerical implementation

Non-uniform grid

격자 간격이 비-균등할 때, 우리는 다음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niform grid

같게 간격된 패널로 이산화된 도메인에 대해, 상당한 단순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놓으면

적분에 대한 근사는 다음이 됩니다:

Error analysis

An animation showing how the trapezoidal rule approximation improves with more strips for an interval with and . As the number of intervals increases, so too does the accuracy of the result.

합성 사다리꼴 규칙의 오차는 적분 값과 수치적 결과 사이의 차이입니다:

다음을 만족하는 ab 사이의 숫자 ξ가 존재합니다:[2]

만약 피적분이 위로 오목(concave up)이면 (및 따라서 양의 이차 도함수를 가지면), 그 오차는 음수이고 사다리꼴 규칙은 실제 값을 과대평가함을 따릅니다. 이것은 역시 기하학적 그림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사다리꼴은 곡선 아래의 모든 넓이를 포함하고 곡선 위로 확장합니다. 유사하게, 아래로-오목(concave-down) 함수는 넓이가 곡선 아래에서 설명되지 않지만, 어떤 것도 위에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 과소평가를 산출합니다. 만약 근사되는 적분의 구간이 변곡점을 포함하면, 그 오차는 식별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N → ∞에 대해 점근적 오차 추정은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이 오차 추정의 추가적인 항은 오일러–맥클로린 합계 공식에 의해 제공됩니다.

몇 가지 기법이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합니다:[3]

  1. 푸리에 급수(Fourier series)
  2. 잔여 미적분(Residue calculus)
  3. 오일러–맥클로린 합계 공식(Euler–Maclaurin summation formula)[4][5]
  4. 다항식 보간(Polynomial interpolation)[6]


사다리꼴 규칙의 수렴 속력은 함수의 매끄러움의 클래스의 정의로 반영하고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됩니다.[7]

Proof

먼저 임을 가정합니다. 가 구간, 의 하나 위에 사다리꼴 규칙의 오차임을 만족하는 함수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이제 임을 가정하며, 이것은 만약 가 충분하게 매끄러운 것이면 유지됩니다. 그런-다음 다음임을 따릅니다:

이것은 다음과 동등합니다:

, or

이기 때문에,

이들 결과를 사용하여, 우리는 다음을 찾습니다:

이라고 놓으면 우리는 다음을 찾습니다:

모든 지역 오차 항을 합하면 다음을 찾습니다:

그러나 다음이 되도록

우리는 역시 다음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전체 오차는 다음에 의해 경계집니다:

Periodic and peak functions

사다리꼴 규칙은 주기적 함수에 대해 빠르게 수렴합니다. 이것은 오일러-맥클로린 합계 공식(Euler-Maclaurin summation formula)의 쉬운 결과로, 만약 가 주기 를 갖는 번 연속적으로 미분가능이면, 다음이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번째 베르누이 다항식의 주기적 확장입니다.[8] 주기성으로 인해, 끝점에서 도함수는 취소되고 우리는 그 오차가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효과는 가우스(Gaussian), 지수적으로 수정된 가우스(Exponentially modified Gaussian), 및 무시될 수 있는 적분 극한에서 도함수를 갖는 다른 함수와 같은 돌출부-계열 함수에 대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9] 1% 정확도를 갖는 사다리꼴 규칙에 의한 가우스 함수의 전체 적분 평가는 단지 4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10] 심슨의 규칙(Simpson's rule)은 같은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1.8배 더 많은 점을 요구합니다.[10][11]

비록 오일러-맥클로린 합계 공식을 더 높은 차원으로 확장하기 위해 약간의 노력이 있었지만,[12] 더 높은 차원에서 사다리꼴 규칙의 빠른 수렴의 가장 직접적인 증명은 문제를 푸리에 급수의 수렴 문제로 줄이는 것입니다. 이 추론 선은 만약 연속 도함수를 갖는 -차원 공간 위에 주기적이면, 수렴의 속력은 임을 보여줍니다. 매우 큰 차원에 대해, 몬테-카를로 적분이 더 나은 선택일 가능성이 가장 높지만, 2차원과 3차원에 대해 같은-간격된 표본화가 효율적임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역수 격자에서 원시 셀에 걸쳐 같은-간격된 표본화가 몽크홀스트-팩 적분(Monkhorst-Pack integration)으로 알려진 계산적 고체 상태 물리학에서 활용됩니다.[13]

"Rough" functions

C2에 있지 않는 함수에 대해, 위에 제공된 오차 경계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그러한 대략적인 함수에 대한 오차 경계는 유도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위에서 주어진 행동보다 함수 평가 숫자 에서 더 느린 수렴을 보여줍니다. 흥미롭게도, 이 경우에서 사다리꼴 규칙은 종종 같은 숫자의 함수 평가에 대해 심슨의 규칙(Simpson's rule)보다 더 날카로운 경계를 가집니다.[14]

Applicability and alternatives

사다리꼴 규칙은 뉴턴–코츠 공식(Newton–Cotes formulas)이라고 불리는 수치적 적분(numerical integration)에 대해 공식 중의 가족 중 하나로, 이것의 중간점 규칙(midpoint rule)은 사다리꼴 규칙과 유사합니다. 심슨의 규칙(Simpson's rule)은 같은 가족의 또 다른 구성원이고, 일반적으로 비록 모든 특정 경우에서 그렇지 않지만 두 번 연속적으로 미분가능인 함수에 대해 사다리꼴 규칙보다 더 빠른 수렴을 가집니다. 어쨌든, 더 거친 함수 (더 약한 매끄러움 조건을 갖는 함수)의 다양한 클래스에 대해, 사다리꼴 규칙은 일반적으로 심슨의 규칙보다 더 빠른 수렴을 가집니다.[14]

게다가, 사다리꼴 규칙은 주기 함수(periodic function)다양한 방법으로 분석될 수 있는 해당 주기에 걸쳐 적분될 때 극단적으로 정확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7][11] 비슷한 효과가 돌출부 함수에 대해 유효합니다.[10][11]

비-주기적 함수에 대해, 어쨌든 가우스 구적법(Gaussian quadrature)클렌쇼–커티스 구적법(Clenshaw–Curtis quadrature)과 같이 같지 않은 간격된 점을 갖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훨씬 더 정확합니다; 클렌쇼–커티스 구적법은 사다리꼴 규칙이 정확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점에서 주기적 적분의 관점에서 임의적분 적분을 표현하기 위한 변수의 변경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See also

Notes

  1. ^ Ossendrijver, Mathieu (Jan 29, 2016). "Ancient Babylonian astronomers calculated Jupiter's position from the area under a time-velocity graph". Science. 351 (6272): 482–484. doi:10.1126/science.aad8085. PMID 26823423. S2CID 206644971.
  2. ^ Atkinson (1989, equation (5.1.7))
  3. ^ (Weideman 2002, p. 23, section 2)
  4. ^ Atkinson (1989, equation (5.1.9))
  5. ^ Atkinson (1989, p. 285)
  6. ^ Burden & Faires (2011, p. 194)
  7. ^ a b (Rahman & Schmeisser 1990)
  8. ^ Kress, Rainer (1998). Numerical Analysis, volume 181 of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Springer-Verlag.
  9. ^ Goodwin, E. T. (1949). "The evaluation of integrals of the form".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45 (2): 241–245. doi:10.1017/S0305004100024786. ISSN 1469-8064.
  10. ^ a b c Kalambet, Yuri; Kozmin, Yuri; Samokhin, Andrey (2018). "Comparison of integration rules in the case of very narrow chromatographic peaks". Chemometrics and Intelligent Laboratory Systems. 179: 22–30. doi:10.1016/j.chemolab.2018.06.001. ISSN 0169-7439.
  11. ^ a b c (Weideman 2002)
  12. ^ "Euler-Maclaurin Summation Formula for Multiple Sums". math.stackexchange.com.
  13. ^ Thompson, Nick. "Numerical Integration over Brillouin Zones". bandgap.io. Retrieved 19 December 2017.
  14. ^ a b (Cruz-Uribe & Neugebauer 2002)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