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Block matrix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에서, 블록 행렬(block matrix) 또는 분할된 행렬(partitioned matrix)은 블록 또는 부분행렬(submatrices)이라는 구역으로 나누어진 것으로 해석되는 행렬(matrix)입니다.[1] 직관적으로, 블록 행렬로 해석되는 행렬은 수평 직선과 수직 직선의 모음을 갖는 원래 행렬로 시각화될 수 있으며, 이는 행렬을 더 작은 행렬의 모음으로 분해하거나 분할(partition)합니다.[2] 임의의 행렬은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블록 행렬로 해석될 수 있으며, 각 해석은 해당 행과 열이 분할되는 방법에 따라 정의됩니다.

이 개념은 을 모음 그룹으로 분할하고 그런-다음 을 모음 으로 분할함으로써 행렬 에 대해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원래 행렬의 엔트리가 일부 의 일부 오프셋 엔트리와 1-대-1 방법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원래 행렬은 이들 그룹의 "전체"로 고려되며, 여기서 입니다.

블록 행렬 대수는 일반적으로 행렬의 카테고리(categories)이중-곱(biproducts)에서 발생합니다.[3]

Example

A 168×168 element block matrix with 12×12, 12×24, 24×12, and 24×24 sub-matrices. Non-zero elements are in blue, zero elements are grayed.

다음 행렬은

다음과 같은 4개의 2×2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습니다:

분할된 행렬은 그런-다음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Block matrix multiplication

인수의 부분행렬에 대한 대수만 포함하는 블록 분할된 행렬 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인수의 분할은 임의적이지 않고, 사용될 모든 부분행렬 곱이 정의됨을 만족하는 두 행렬 사이의 "적합한(conformable) 분할"이 필요합니다.[4] 행 분할과 열 분할을 갖는 행렬 A가 주어졌을 때

그리고 행 분할과 열 분할을 갖는 행렬 가 주어졌을 때,

이때 의 분할과 호환되며, 다음 행렬 곱은

블록-별로 수행할 수 있으며, 행 분할과 열 분할을 갖는 행렬로 를 산출합니다. 결과 행렬 에서 행렬은 다음과 같이 곱함으로써 계산됩니다:

또는, 반복되는 인덱스에 걸쳐 암시적으로 합하는 아인슈타인 표기법(Einstein notation)을 사용하여:

Block matrix inversion

만약 행렬이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면, 다음과 같이 블록-별로 반전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AD는 임의적인 크기의 정사각 블록이고, BC는 분활화에 적합(conformable)합니다. 게다가, AP에서 A의 슈어 여: P/A = DCA−1B는 역-가능이어야 합니다.[5]

동등하게, 블록을 순열함으로써:

여기서, DP에서 슈어 여: P/D = ABD−1C는 역가능이어야 합니다.

만약 AD가 둘 다 역가능이면, 다음과 같습니다:

와인스틴-아론샤인 항등식(Weinstein–Aronszajn identity)에 의해, 블록-대각 행렬에서 두 행렬 중 하나는 나머지 하나가 역가능일 때 정확히 역가능입니다.

Block matrix determinant

위의 -행렬의 행렬식에 대한 공식은 적절한 추가 가정 아래에서 4개의 부분행렬 로 구성된 행렬에 대해 계속 유지됩니다. 라이프니츠 공식이나 슈어 여(Schur complement)를 포함하는 인수분해를 사용하여 입증될 수 있는 가장 쉬운 그러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공식을 사용하여, 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s)이 같고 의 특성 다항식의 곱과 같음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만약 또는 대각화-가능(diagonalizable)이면, 는 역시 대각화가능입니다. 그 전환은 거짓입니다; 간단히 를 확인하십시오.

만약 역가능(invertible)이면 (그리고 유사하게 가 역가능이면[6]), 다음을 가집니다:

만약 -행렬이면, 이것은 으로 단순화됩니다.

만약 블럭이 같은 크기의 정사각 행렬이면 추가 공식이 유지됩니다. 예를 들어, 교환하면 (즉, 이면), 다음과 같습니다:

[7]

이 공식은 다시 개별 블록 사이의 적절한 교환성 조건 아래에서 블록보다 많은 것으로 구성된 행렬로 일반화되어 왔습니다.[8]

에 대해, 다음 공식은 유지됩니다 (심지어 가 교환하지 않더라도)

Block diagonal matrices

블록 대각 행렬(block diagonal matrix)은 주요-대각 블록이 정사각 행렬이고 모든 비-대각 블록이 영 행렬임을 만족하는 정사각 행렬(square matrix)인 블록 행렬입니다. 즉, 블록 대각 행렬 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

여기서 는 모든 k = 1, ..., n에 대해 정사각 행렬입니다. 다시 말해, 행렬 직접 합(direct sum)입니다. 그것은 역시 또는 diag()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후자는 대각 행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형식입니다). 임의의 정사각 행렬은 하나의 블록만 갖는 블록 대각 행렬로 자명하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행렬식(determinant)대각합(trace)에 대해, 다음 속성이 유지됩니다:

블록 대각 행렬이 역가능인 것과 그것의 각 주요 대각선 블록이 역가능인 것은 필요충분(iff) 조건이고, 이 경우에서 그 역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 또 다른 블록 대각 행렬입니다:

고윳값과 고유벡터(eigenvalues and eigenvectors)는 단순히 결합된 의 그것들입니다.

Block tridiagonal matrices

블록 삼중대각 행렬(block tridiagonal matrix)은 또 다른 특수 블록 행렬로, 블록 대각 행렬과 마찬가지로 정사각 행렬이며, 아래쪽 대각선, 주요 대각선(main diagonal) 및 위쪽 대각선에 정사각 행렬 (블록)을 가지고, 모든 다른 블록은 영 행렬입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삼중대각 행렬(tridiagonal matrix)이지만 스칼라의 위치에 부분행렬을 가집니다. 블록 삼중대각 행렬 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가집니다:

여기서 , , 및 는 각각 아래쪽, 주요, 및 위쪽 대각의 정사각 부분-행렬입니다.

블록 삼중대각 행렬은 엔지니어링 문제 (예를 들어, 전산 유체 역학)의 수치 해에서 종종 발생합니다. LU 분해를 위한 최적화된 수치적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계수 행렬로 블록 삼중대각 행렬을 갖는 방정식 시스템에 대한 효율적인 해 알고리듬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삼중대각 행렬을 포함하는 방정식 시스템의 효율적인 해에 사용되는 토머스 알고리듬(Thomas algorithm)은 행렬 연산을 사용하여 블록 삼중대각 행렬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블록 LU 분해 참조).

Block Toeplitz matrices

블록 퇴플리츠 행렬(block Toeplitz matrix)은 또 다른 특수 블록 행렬로, 퇴플리츠 행렬(Toeplitz matrix)은 대각선 아래로 반복된 원소를 가지는 것처럼 행렬의 대각선 아래로 반복되는 블록을 포함합니다.

블록 퇴플리츠 행렬 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Block transpose

개별 블록이 재정렬되지만 전치되지 않는 블록 행렬에 대해 특별한 형식의 행렬 전치(transpose)도 정의될 수 있습니다. 블록 를 갖는 블록 행렬이라고 놓으면, 의 블록 전치는 블록 를 갖는 블록 행렬 입니다.[9]

기존 대각합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블록 전치도 임을 만족하는 선형 매핑(linear mapping)입니다. 어쨌든, 일반적으로 속성은 의 블록이 교환하지 않은 한 유지되지 않습니다.

Direct sum

임의적인 행렬 (크기 )와 (크기 )에 대해, 로 표시되고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직접 합(direct sum)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이 연산은 자연스럽게 임의적인 차원 배열로 일반화됩니다 (가 같은 차원의 숫자를 가진다는 조건으로 합니다).

행렬의 두 벡터 공간(vector spaces)직접 합(direct sum)에 있는 임의의 원소는 두 행렬의 직접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Application

선형 대수(linear algebra) 용어에서, 블록 행렬의 사용은 기저 벡터(basis vectors)의 해당 '묶음(bunches)' 측면에서 생각되는 선형 매핑(linear mapping)에 해당합니다. 그것은 도메인(domain)치역(range)의 직접 합 분해를 구별한다는 아이디어와 다시 일치합니다. 그것은 블록이 영 행렬(zero matrix)이면 항상 특히 중요합니다; 그것은 더해지는 숫자가 부분-합으로 매핑하는 정보를 전달합니다.

선형 매핑과 직접 합을 통한 해석이 주어졌을 때, 정사각 행렬 (m = n인 경우)에 대해 발생하는 특수한 유형의 블록 행렬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위해 우리는 n-차원 공간 V자기사상(endomorphism)으로 해석을 가정할 수 있습니다; 행과 열의 묶음이 같은 블록 구조는 (두 개가 아닌) V 위에 단일 직접 합 분해에 해당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해당 경우에서, 예를 들어, 명백한 의미에서 대각(diagonal) 블록은 모두 정사각입니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는 조르당 정규 형식(Jordan normal form)을 설명하는 데 필요합니다.

이 기술은 VLSI 칩 설계를 포함한 행렬의 계산, 열-행 확장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고, 많은 컴퓨터 과학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됩니다. 빠른 행렬 곱셈(matrix multiplication)을 위한 슈트라센 알고리듬(Strassen algorithm)과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탐지와 복구를 위한 Hamming(7,4) 인코딩이 그 예입니다.

이 기술은 A,B,C, 및 D 행렬의 원소가 모두 해당 원소에 대해 같은 필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렬 A는 복소수 필드에 걸쳐 있을 수 있고, 반면에 행렬 D는 실수 필드에 걸쳐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행렬 중 하나 내에서 연산을 단순화하면서 행렬과 관련된 유효한 연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에 실수 원소만 있으면 역을 찾는 것은 복소수 원소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보다 계산이 덜 걸립니다. 그러나 실수는 복소수의 부분필드이므로 (더 나아가서 그것은 투영으로 고려될 수 있음), 행렬 연산은 잘 정의될 수 있습니다.

See also

Notes

  1. ^ Eves, Howard (1980). Elementary Matrix Theory (reprint ed.). New York: Dover. p. 37. ISBN 0-486-63946-0. Retrieved 24 April 2013. We shall find that it is sometimes convenient to subdivide a matrix into rectangular blocks of elements. This leads us to consider so-called partitioned, or block, matrices.
  2. ^ Anton, Howard (1994). Elementary Linear Algebra (7th ed.). New York: John Wiley. p. 30. ISBN 0-471-58742-7. A matrix can be subdivided or partitioned into smaller matrices by inserting horizontal and vertical rules between selected rows and columns.
  3. ^ Macedo, H.D.; Oliveira, J.N. (2013). "Typing linear algebra: A biproduct-oriented approach". Science of Computer Programming. 78 (11): 2160–2191. arXiv:1312.4818. doi:10.1016/j.scico.2012.07.012.
  4. ^ Eves, Howard (1980). Elementary Matrix Theory (reprint ed.). New York: Dover. p. 37. ISBN 0-486-63946-0. Retrieved 24 April 2013. A partitioning as in Theorem 1.9.4 is called a conformable partition of A and B.
  5. ^ Bernstein, Dennis (2005). Matrix Mathema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44. ISBN 0-691-11802-7.
  6. ^ Taboga, Marco (2021). "Determinant of a block matrix", Lectures on matrix algebra.
  7. ^ Silvester, J. R. (2000). "Determinants of Block Matrices" (PDF). Math. Gaz. 84 (501): 460–467. doi:10.2307/3620776. JSTOR 362077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3-18. Retrieved 2021-06-25.
  8. ^ Sothanaphan, Nat (January 2017). "Determinants of block matrices with noncommuting blocks".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512: 202–218. arXiv:1805.06027. doi:10.1016/j.laa.2016.10.004. S2CID 119272194.
  9. ^ Mackey, D. Steven (2006). Structured linearizations for matrix polynomials (PDF) (Thesis). University of Manchester. ISSN 1749-9097. OCLC 930686781.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