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ube root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Cubic root)
Plot of y = 3x. The plot is symmetric with respect to origin, as it is an odd function. At x = 0 this graph has a vertical tangent.
A unit cube (side = 1) and a cube with twice the volume (side = 32 = 1.2599... OEISA002580).

수학(mathematics)에서, 숫자 x세제곱근(cube root)은 y3 = x를 만족하는 숫자 y입니다. 모든 비-영 실수(real number)는 정확히 하나의 실수 세제곱근과 복소수 켤레(complex conjugate)의 쌍 세제곱근을 가지고, 모든 비-영 복소수(complex number)는 셋의 구별되는 복소수 세제곱근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8의 실수 세제곱근은 23 = 8이기 때문에 로 표시되는 2이고, 반면에 8의 다른 세제곱근은 입니다. −27i의 셋의 세제곱근은

일부 문맥에서, 특히 그의 세제곱근이 취해지는 숫자가 실수일 때, 세제곱근 중에 하나 (이 특별한 경우에서 실수 하나)는 제곱근 기호(radical sign) 로 표시되는, 주요 세제곱근(principal cube root)이라고 불립니다. 세제곱이 만약 오직 실수를 고려하지만, 역시 복소수를 고려하지 않으면 삼차 함수(cube function)역 함수(inverse function)입니다: 비록 우리가 항상 을 가질지라도, 한 숫자의 세제곱의 세제곱근은 항상 이 숫자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8의 세제곱근이지만 (즉, ), 입니다.

Formal definition

숫자 x의 세제곱근은 다음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숫자 y입니다:

Properties

Real numbers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y3 = x를 만족하는 하나의 실수 y가 있습니다. 세제곱 함수(cube function)는 증가하므로, 둘의 다른 입력에 대해 같은 결과를 제공하지 않고, 모든 실수를 덮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전단사, 또는 일-대-일입니다. 그런-다음 우리가 모든 실수의 고유한 세제곱근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정의가 사용되면, 음수의 세제곱근은 음수입니다.

The three cube roots of 1

만약 xy복소수(complex)로 허용되면, (만약 x가 비-영이면) 셋의 해가 있고 따라서 x는 셋의 제곱근을 가집니다. 실수는 하나의 실수 세제곱근과 복소 켤레(complex conjugate) 쌍을 형성하는 둘의 세제곱근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1의 세제곱근은 다음입니다:

이들 근 중 마지막 둘은 임의의 실수 또는 복소수의 모든 근 사이의 관계로 이어집니다. 만약 숫자가 특정 실수 또는 복소수의 하나의 세제곱근이면, 다른 두 개의 세제곱근은 해당 세제곱근에 1의 두 개의 복소수 세제곱근 중 하나를 곱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Complex numbers

Plot of the complex cube root together with its two additional leaves. The first image shows the main branch, which is described in the text.
Riemann surface of the cube root. One can see how all three leaves fit together.

복소수에 대해, 주요 세제곱근은 보통 가장 큰 실수 부분(real part)을 갖는 세제곱근, 또는, 동등하게, 그것의 편각(argument)이 최소 절댓값(absolute value)을 갖는 세제곱근으로 정의됩니다. 그것은 다음 공식에 의해 자연 로그(natural logarithm)의 주요 값과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x를 다음으로 쓰면,

여기서 r은 비-음의 실수이고 θ는 다음 범위에 있으며,

,

주요 복소 세제곱근은 다음입니다:

이것은 극 좌표(polar coordinates)에서, 우리는 반지름의 세제곱근을 취하고 세제곱근을 정의하기 위해 극 각도를 삼으로 나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정의와 함께, 음수의 주요 세제곱근은 복소수이고, 예를 들어 3−8은 −2가 아니라, 오히려 1 + i3이 될 것입니다.

이 어려움은 역시 세제곱근을 다중값 함수(multivalued function)로 고려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원래 복소수 x를 세 가지 동등 형식으로 작성하면, 즉,

Visualisation of the square to sixth roots of a complex number z, in polar form re where φ = arg z and r = |z | – if z is real, φ = 0 or π. Principal roots are in black.

이들 세 형식의 주요 복소 세제곱근은 그런-다음 각각 다음입니다:

x = 0이 아닌 한, 비록 x의 세 가지 표현이 동등하더라도, 이들 세 개의 복소수는 구별됩니다. 예를 들어, 3−8은 그때에 −2, 1 + i3, 또는 1 − i3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모노드로미(monodromy)의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연속성(continuity)에 의해 영 주위의 닫힌 경로를 따라 함수 세제곱근을 따른다면, 한 차례 후에 세제곱근의 값이 에 의해 곱해집니다 (또는 나뉩니다).

Impossibility of compass-and-straightedge construction

세제곱근은 그것의 측정이 주어진 각의 3분의 1인 각을 찾는 문제 (각도 삼등분(angle trisection))와 그것의 부피가 주어진 가장자리를 갖는 정육면체의 부피의 두 배인 정육면체의 가장자리를 찾는 문제 (정육면체를 두 배(doubling the cube))에서 발생합니다. 1837년 피에르 완젤(Pierre Wantzel)컴퍼스-와-직선자 구성(compass-and-straightedge construction)으로 이들 둘 중 어느 것도 할 수 없음을 증명했습니다.

Numerical methods

뉴턴의 방법(Newton's method)은 세제곱근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복 방법(iterative method)입니다. 실수 부동-점(floating-point) 숫자에 대해, 이 방법은 a의 세제곱근의 더 나은 근삿값을 연속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다음 반복 알고리듬으로 축소됩니다:

그 방법은 각 반복에서 다음을 만족하는 선택된 셋의 인수를 단순히 평균화하는 것입니다.

.

핼리의 방법(Halley's method)은 비록 반복당 더 많은 연산을 갖지만 각 반복마다 더 빠르게 수렴하는 알고리듬으로 이것을 개선합니다:

이것은 삼차적으로 수렴(converges cubically)하므로, 두 번의 반복은 뉴턴 방법의 세 번의 반복만큼 많은 연산을 수행합니다. 뉴턴의 방법의 각 반복은 1/3a가 미리 계산된다고 가정하면, 둘의 곱셈, 하나의 덧셈과 하나의 나눗셈을 요구하므로, 셋의 반복과 사전계산은 일곱의 곱셈, 셋의 덧셈, 및 셋의 나눗셈을 요구합니다.

핼리의 방법의 각 반복은 셋의 곱셈, 셋의 덧셈, 및 하나의 나눗셈을 요구하므로,[1] 두 번의 반복은 여섯의 곱셈, 엿서의 덧셈, 및 둘의 나눗셈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핼리의 방법은 만약 하나의 나눗셈이 셋의 덧셈보다 더 비용이 들면 더 빠를 가능성을 가집니다.

두 방법 모두와 함께 x0의 나쁜 초기 근삿값은 매우 나쁜 알고리듬 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좋은 초기 근삿값을 찾는 것은 다소 까다롭습니다. 일부 구현은 부동-점 숫자의 지수 비트를 조작합니다; 즉, 그것들은 지수를 3으로 나눔으로써 초기 근삿값에 도달합니다.[1]

역시 n번째 근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이 일반화된 연속 분수(generalized continued fraction)가 역시 유용합니다:

만약 xa의 세제곱근에 대한 좋은 첫 번째 근삿값이고 y = ax3이면, 다음입니다:

두 번째 방정식은 첫 번째에서 분수의 각 쌍을 단일 분수로 결합하고, 따라서 수렴 속도를 두 배로 높입니다.

Appearance in solutions of third and fourth degree equations

삼차의 다항 방정식(polynomial equation) (미지수의 가장 높은 거듭제곱이 3임을 의미)인 삼차 방정식(Cubic equation)은 항상 세제곱근과 제곱근의 관점에서 그것들의 셋의 해로 풀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직 제곱근의 관점에서 더 간단한 표현이 만약 그것들 중 적어도 하나가 유리수(rational number)이면 모든 셋에 대해 존재합니다). 만약 해의 둘이 복소수이면, 모든 셋의 해 표현은 실수의 실수 세제곱근을 포함하고, 반면에 만약 모든 셋의 해가 실수이면 그것들은 복소수의 복소 세제곱근의 관점에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사차 방정식(quartic equation)은 역시 세제곱근과 제곱근의 관점에서 해결될 수 있습니다.

History

세제곱근의 계산은 기원전 1800년만큼 일찍이 바빌로니아 수학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2] 기원전 4세기에 플라톤(Plato)은 주어진 정육면체(cube)의 부피의 2배를 갖는 정육면체의 가장자리의 컴퍼스-과-직선자 구성(compass-and-straightedge construction)을 요구하는 정육면체를 두 배(doubling the cube)의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것은 현재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길이 32의 구성을 요구했습니다.

세제곱근을 추출하는 방법은 기원전 2세기경에 편찬되고 기원 3세기에 유 휘(Liu Hui)에 의해 논평된 중국 수학 텍스트,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에 나타납니다.[3] 그리스 수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히어로(Hero of Alexandria)는 기원 1세기에 세제곱근을 계산하는 방법을 고안했습니다. 그의 공식은 에우토키오스에 의한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에 대한 논평에서 다시 언급했습니다.[4] 499년에 인도 수학과 인도 천문학의 고전 시대에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아리아바타(Aryabhata)Aryabhatiya (섹션 2.5)에서 많은 자릿수를 갖는 숫자의 세제곱근을 찾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5]

See also

References

  1. ^ a b "In Search of a Fast Cube Root". metamerist.com.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12-27.
  2. ^ Saggs, H. W. F. (1989). Civilization Before Greece and Rome. Yale University Press. p. 227. ISBN 978-0-300-05031-8.
  3. ^ Crossley, John; W.-C. Lun, Anthony (1999).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Companion and Commentary. Oxford University Press. p. 213. ISBN 978-0-19-853936-0.
  4. ^ Smyly, J. Gilbart (1920). "Heron's Formula for Cube Root". Hermathena. 19 (42). Trinity College Dublin: 64–67. JSTOR 23037103.
  5. ^ Aryabhatiya Archived 15 August 2011 at Archive.today Marathi: आर्यभटीय, Mohan Apte, Pune, India, Rajhans Publications, 2009, p.62, ISBN 978-81-7434-480-9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