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Argument (complex analysis)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Figure 1. This Argand diagram represents the complex number lying on a plane. For each point on the plane, arg is the function which returns the angle .

수학(mathematics) (특히, 복소 해석학(complex analysis))에서, 복소수 z편각(argument)는, arg(z)로 나타내며, 양의 실수(real) 축(axis)과 원점과 z를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angle)이며, 그림 1에서 로 보이는 복소 평면(complex plane)에서 한 점으로 표시됩니다. 그것은 비-영 복소수(complex number)에 연산을 수행하는 다중-값 함수(function)입니다. 단일-값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 편각의 주요 값(principal value)이 사용됩니다 (때때로 Arg z로 표시됩니다). 그것은 종종 구간 (−π, π] 내에 놓이는 편각의 고유한 값으로 선택됩니다.[1][2]

Definition

Figure 2. Two choices for the argument

복소수 z = x + iy의 편각은, arg(z)로 나타내며, 둘의 동등한 방법에서 정의됩니다:

  1. 기하학적으로, 복소 평면(complex plane)에서, 양의 실수 축에서 z를 표현하는 벡서로의 2D 극 각도(2D polar angle) . 숫자 값은 라디안(radian)에서 각도에 의해 주어지고, 반시계방향에서 측정되면 양수입니다.
  2. 대수적으로, 어떤 양의 실수 r에 대해 를 만족하는 임의의 실수 양 (오일러의 공식(Euler's formula)을 참조하십시오). 양 rz모듈러스(modulus) (또는 절댓값)이며, |z|: 로 표시됩니다.

이름, 모듈러스에 대해 크기(magnitude)와 편각에 대해 (phase)은 때때로 동등하게 사용됩니다.[3][1]

두 정의 아래에서, 임의의 비-영 복소수는 많은 가능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기하학적 각도로서, 전체 원의 회전은 그 점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하므로, 라디안(radian)의 정수배 (완전한 원)만큼 다른 각도는 오른쪽에서 그림 2에 반영된 것처럼 같습니다. 유사하게, sin and cos주기성(periodicity)에서, 두 번째 정의는 역시 이 속성을 가집니다. 영의 편각은 보통 정의되지 않은 채 남겨집니다.

Alternative Definition

복소수는 역시 복소 근(complex roots)의 관점에서 다음처럼 대수적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이 정의는 아크탄젠트(arctangent)와 같은 다른 계산하기 어려운 함수에 대한 의존도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조각별(piecewise) 정의에 대해 필요성을 제거합니다. 그것의 근(roots)의 관점에서 정의되기 때문에, 제곱근의 주요 가지(principal branch of square root)를 자체의 주요 가지로 상속합니다. 로 나눔으로써 정규화(normalization)는 올바른 값으로 수렴하는 데 필요하지 않지만, 그것은 수렴 속도를 높이고 가 정의되지 않은 채 남겨짐을 보장합니다.

Principal value

Figure 3. The principal value Arg of the blue point at 1 + i is π/4. The red line here is the branch cut and corresponds to the two red lines in figure 4 seen vertically above each other).

원점을 중심으로 완전히 회전은 복소수를 변경하지 않은 채 남기기 때문에, 원점을 임의의 숫자만큼 돎으로써 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는 많은 선택이 있습니다. 이것은 그림 2에서, 다중-값(multi-valued) (집합-값) 함수 의 표시로 보이며, 여기서 수직 직선 (그림에는 표시되지 않음)은 해당 점에 대해 모든 가능한 각도의 선택을 나타내는 높이에서 표면을 자릅니다.

잘-정의된(well-defined) 함수가 요구될 때, 주요 값(principal value)으로 알려진 보통의 선택은 π rad 자체를 제외한 열린-닫힌 구간(interval) (−π rad, π rad]에서 (동등하게, −180° 자체를 제외한 −180에서 +180 도(degree)까지) 값입니다. 이것은 양의 실수 축에서 둘 중 한 방향으로 완전한 원의 절반까지의 각도를 나타냅니다.

일부 저자는 주요 값의 범위를 닫힌-열린 구간 [0, 2π)에 있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Notation

주요 값은 때때로 Arg z에서와 같이 시작 문자를 대문자로 표시하며, 특히 편각의 일반 버전이 역시 고려 중일 때 그렇습니다. 표기법이 다양하므로, argArg는 다른 텍스트에서 상호-교환될 수 있음을 주목하십시오.

편각의 모든 가능한 값의 집합은 Arg의 관점에서 다음처럼 쓸 수 있습니다:

마찬기지로

Computing from the real and imaginary part

만약 하나의 복소수가 그것의 실수와 허수 부분의 관점에서 알려져 있으면, 주요 값 Arg를 계산하는 함수는 두-인수 아크탄젠트 함수 atan2라고 불립니다:

.

atan2 함수 (역시 arctan2 또는 다른 동의어로 불림)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수학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수 있고, 보통 (−π, π] 범위의 값을 반환합니다.[1]

많은 텍스트는 y/x는 기울기이고, arctan는 기울기를 각도로 변환하므로, 그 값이 arctan(y/x)에 의해 제공된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오직 x > 0일 때 정확하므로, 몫이 정의되고 각도가 π/2π/2 사이에 놓이지만, 이 정의를 x가 양수가 아닌 경우에 확장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관련됩니다. 구체적으로 특별히, 우리는 둘의 반평면 x > 0x < 0 (우리가 음의 x-축에서 가지 자르기를 원하면 두 사분면으로 분리됨), y > 0, y < 0에서 따로따로 편각의 주요 값을 정의하고, 그런 다음 함께 수정할 수 있습니다.

4개의 겹치는 반-평면을 갖는 간결한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Arg가 구간 [0, 2π)에 놓이는 것으로 정의된 변형에 대해, 그 값이 음수이면 위의 값에 를 더함으로써 구할 수 있습니다.

대안적으로, 주요 값은 탄젠트 절반-각도 공식(tangent half-angle formula)을 사용하여 균등 방법에서 계산될 수 있으며, 그 함수는 복소 평면에 걸쳐 정의되지만 원점은 제외합니다:

이것은 유리 함수에 의한 원의 매개변수화 (음의 x-축 제외)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버전의 Arg부동 점(floating point) 계산 사용에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지만 (왜냐하면 그것은 x < 0, y = 0 영역 근처에서 오버플로힐 수 있기 때문), 기호적 계산(symbolic calculation)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오버플로를 피하는 마지막 공식의 변형은 때때로 높은 정밀도 계산에서 사용됩니다:

Identities

주요 값 Arg를 정의하는 데 주요 동기 중 하나는 모듈러스-편각 형식에서 복소수를 작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임의의 복소수 z에 대해,

이것은 오직 z가 비-영이면 실제로 유효하지만, z = 0에 대해 만약 Arg(0)가 정의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불확정 형식(indeterminate form)으로 고려하면 유효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추가 항등식이 따릅니다. 만약 z1z2가 둘의 비-영 복소수이면,

만약 z ≠ 0이고 n이 임의의 정수이면,[1]

Example

Using the complex logarithm

에서, 그것은 쉽게 임을 따릅니다. 이것은 복소 로그(complex logarithm)를 사용할 수 있을 때 유용합니다.

Extended Argument

숫자 z의 확장된 편각은 (로 표시됨) 모듈로 2와 일치하는 모든 실수의 집합입니다.[4]

References

  1. ^ a b c d Weisstein, Eric W. "Complex Argument". mathworld.wolfram.com. Retrieved 2020-08-31.
  2. ^ "Pure Maths". internal.ncl.ac.uk. Retrieved 2020-08-31.
  3. ^ Dictionary of Mathematics (2002). phase.
  4. ^ "Algebraic Structure of Complex Numbers". www.cut-the-knot.org. Retrieved 2021-08-29.

Bibliography

  • Ahlfors, Lars (1979). Complex Analysis: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Analytic Functions of One Complex Variable (3rd ed.). New York;London: McGraw-Hill. ISBN 0-07-000657-1.
  • Ponnuswamy, S. (2005). Foundations of Complex Analysis (2nd ed.). New Delhi;Mumbai: Narosa. ISBN 978-81-7319-629-4.
  • Beardon, Alan (1979). Complex Analysis: The Argument Principle in Analysis and Topology. Chichester: Wiley. ISBN 0-471-99671-8.
  • Borowski, Ephraim; Borwein, Jonathan (2002) [1st ed. 1989 as Dictionary of Mathematics]. Mathematics. Collins Dictionary (2nd ed.). Glasgow: HarperCollins. ISBN 0-00-710295-X.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