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Darboux integral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의 한 가지, 실수 해석학(real analysis)에서, 다르부 적분다르부 합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함수(function)적분(integral)의 하나의 가능한 정의입니다. 다르부 적분은, 함수가 다르부-적분가능인 것과 그것이 리만-적분가능인 것이 필요충분 조건이고, 두 적분의 값이 그것들이 존재하면 같다는 의미에서 리만 적분(Riemann integral)과 동등합니다.[1] 다르부 적분의 정의는 리만 적분의 정의보다 계산 또는 증명에 적용하기 쉽다는 이점을 가집니다. 결과적으로, 미적분학(calculus)과 실수 해석학에 대한 입문 교과서는 종종 실제 리만 적분이라기 보다는 다르부 적분을 사용하여 리만 적분을 개발합니다.[2] 게다가, 정의는 리만–스틸티어스 적분(Riemann–Stieltjes integration)을 정의하는 것으로 쉽게 확장됩니다.[3] 다르부 적분은 발명가 개스통 다르부(Gaston Darboux)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Definition

다르부 적분의 정의는 구간(interval) 에서 임의의 경계진(bounded) 실수(real)-값 함수 에 존재하는 위쪽 및 아래쪽 (다르부) 적분을 고려합니다. 다르부 적분이 존재하는 것과 위쪽 및 아래쪽 적분이 같은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위쪽 및 아래쪽 적분은 차례로 각각 "곡선 아래의 넓이"를 과대- 및 과소평가하는 위쪽 및 아래쪽 (다르부) 합의, 각각, 하한과 상한(infimum and supremum)입니다. 특히, 적분 구간의 주어진 분할에 대해, 위쪽과 아래쪽 합은 그것의 높이가 분할의 각 부분구간에서 각각 f의 상한과 하한인 직사각형 얇은 조각의 넓이를 함께 더합니다. 이들 아이디어는 아래에 보다 정확하게 만듭니다:

Darboux sums

구간 의 분할은 다음을 만족하는 값 xi의 유한 수열입니다:

각 구간 [xi−1, xi]는 분할의 부분구간(subinterval)이라고 불립니다. f: [a, b] → R를 경계진 함수로 놓고, 다음을

[a, b]의 분할로 놓습니다. 다음이라고 놓습니다:

Lower (green) and upper (green plus lavender) Darboux sums for four subintervals

P에 관한 f위쪽 다르부 합은 다음입니다:

P에 관한 f아래쪽 다르부 합은 다음입니다: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합은 종종 아래쪽과 위쪽 합이라고 불립니다.

Darboux integrals

f위쪽 다르부 적분은 다음입니다:

f아래쪽 다르부 적분은 다음입니다:

일부 문헌에서 밑줄과 윗줄을 갖는 적분 기호는 각각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적분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다르부 합처럼 그것들은 때때로 단순히 아래쪽과 위쪽 적분이라고 불립니다.

만약 Uf = Lf이면, 우리는 공통 값을 다르부 적분이라고 부릅니다.[4] 우리는 역시 f다르부-적분가능 또는 단순히 적분-가능이고 다음으로 놓는다고 말합니다.

f의 적분가능성에 대해 동등하고 때때로 유용한 기준은 모든 각 ε > 0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a, b]의 분할 Pε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5]

Properties

  • 임의의 주어진 분할에 대해, 위쪽 다르부 합은 항상 아래쪽 다르부 합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게다가, 낮은 다르부 합은 [a, b]에 걸쳐 취해진 너비 (ba)와 높이 inf(f)의 직사각형에 의해 아래로 경계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위쪽 합은 너비 (ba)와 높이 sup(f)의 직사각형에 의해 위로 경계진 것입니다.
  •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적분은 다음을 만족시킵니다:
  • (a, b)에서 임의의 c가 주어지면:
  •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적분은 반드시 선형은 아닙니다. g:[a, b] → R가 역시 경계진 함수라고 가정하면, 위쪽과 아래쪽 적분은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킵니다.
  • 상수 c ≥ 0에 대해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 상수 c ≤ 0에 대해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 다음 함수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런-다음 F립시츠 연속(Lipschitz continuous)입니다. 동일한 결과는 만약 F가 위쪽 다르부 적분을 사용하여 정의되면 유지됩니다.

Examples

A Darboux-integrable function

우리는 함수 f(x) = x가 구간 [0, 1]에서 다르부 적분-가능임을 보이고 그 값을 결정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합니다. 이것을 하기 위해, 우리는 [0, 1]을 각각 길이 1/n을 갖는 n 같은 크기의 부분구간으로 분할합니다. 우리는 n 같은 크기의 부분구간의 분할을 Pn으로 나타냅니다.

이제 f(x) = x가 [0, 1]에서 엄격하게 증가하므로, 임의의 특정 부분구간의 하한은 그것의 시작점에 의해 제공됩니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특정 부분구간의 상한은 그것의 끝점에 의해 제공됩니다. Pn에서 k번째 부분구간의 시작점은 (k−1)/n이고 끝점은 k/n입니다. 따라서 파티션 Pn의 아래쪽 다르부 합은 다음에 의해 주어집니다:

유사하게, 위쪽 다르부 합은 다음에 의해 주어집니다:

다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임의의 ε > 0에 대해, 우리는 을 갖는 임의의 분할 Pn은 다음을 만족시킴을 가집니다:

이것은 f가 다르부 적분가능임을 보여줍니다. 적분의 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임을 주목하십시오:

Darboux sums
Upper Darboux sum example
Darboux upper sums of the function y = x2
Lower Darboux sum example
Darboux lower sums of the function y = x2

A nonintegrable function

우리는 함수 가 다음으로 정의됨을 가집니다:

유리수와 무리수는 둘 다 R조밀한 부분집합(dense subset)이므로, f는 임의의 분할의 모든 각 부분구간에서 0과 1의 값을 취함을 따릅니다. 따라서 임의의 분할 P에 대해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적분이 같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Refinement of a partition and relation to Riemann integration

When passing to a refinement, the lower sum increases and the upper sum decreases.

분할 세분화는 모든 i = 0, …, n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정수(integer)가 있음을 만족하는 분할 입니다:

다시 말해서, 세분화를 만들기 위해, 부분구간을 더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임의의 기존 자름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만약 의 세분화이면:

만약 P1, P2가 같은 구간의 두 분할이면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세분화일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이고

다음임을 따릅니다:

리만 합은 항상 대응하는 아래쪽과 위쪽 다르부 합 사이에 놓입니다. 형식적으로, 만약 가 함께 (리만 적분(Riemann integral)의 정의에서 처럼) 다음 태그-지정된 분할을 만들고:

만약 PT에 해당하는 의 리만 합이 R이면, 다음입니다:

이전 사실로부터, 리만 적분은 적어도 다르부 적분만큼 강력합니다: 만약 다르부 적분이 존재하면, 충분히 미세한 분할에 해당하는 위쪽과 아래쪽 다르부 합은 적분 값에 가까울 것이므로, 같은 분할에 걸쳐 임의의 리만 합은 역시 적분의 값에 가까울 것입니다. 위쪽 다르부 적분 또는 아래쪽 다르부 적분의 값에 임의적으로 가깝게 되는 태그-지정된 분할이 있고 (아래를 참조), 결과적으로, 만약 리만 적분이 존재하면, 다르부 적분은 마찬가지로 존재해야 합니다.

See also

Notes

  1. ^ David J. Foulis; Mustafa A. Munem (1989). After Calculus: Analysis. Dellen Publishing Company. p. 396. ISBN 978-0-02-339130-9.
  2. ^ Spivak, M. (1994). Calculus (3rd. edition). Houston, TX: Publish Or Perish, Inc. pp. 253–255. ISBN 0-914098-89-6.
  3. ^ Rudin, W. (1976).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3r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pp. 120–122. ISBN 007054235X.
  4. ^ Wolfram MathWorld
  5. ^ Spivak 2008, chapter 13.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