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Semi-differentiability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One-sided derivative)

수학(mathematics)의 한 분야, 미적분학(calculus)에서, 실수 변수의 실수(real)-값 함수(function) f한-쪽 미분가능성(one-sided differentiability)과 반-미분 가능성(semi-differentiability)의 개념은 미분 가능성(differentiability)보다 약합니다. 특히, 함수 f는, 만약, 대략 말해서, 도함수(derivative)는 값 a로부터 오른쪽 (증가)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수의 인수 x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면, 점 a에서 오른쪽 미분-가능(right differentiable), 만약 도함수가 a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x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면, a에서 왼쪽 미분-가능(left differentiable)이라고 말합니다.

One-dimensional case

This function does not have a derivative at the marked point, as the function is not continuous there. However, it has a right derivative at all points, with constantly equal to 0.

수학(mathematics)에서, 왼쪽-도함수오른쪽 도함수는 함수의 인수에 의해 오직 한 방향 (왼쪽 또는 오른쪽; 즉, 낮은 또는 높은 값)에서 이동에 대해 정의된 도함수(derivative) (함수의 변화율)입니다.

Definitions

f는 실수의 부분-집합 I에 정의된 실수-값 함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놓습니다.

만약 a ∈ II ∩ [a,∞)극한 점(limit point)이고 한-쪽 극한(one-sided limit)

이 실수로 존재하면, fa에서 오른쪽 미분-가능으로 불리고 극한 +f(a)은 a에서 f오른쪽 도함수로 불립니다.

만약 a ∈ II ∩ (–∞,a]의 극한 점이고 한-쪽 극한

이 실수로 존재하면, fa에서 왼쪽 미분-가능으로 불리고 극한 f(a)은 a에서 f왼쪽 도함수로 불립니다.

만약 a ∈ II ∩ [a,∞)의 극한 점이고 I ∩ (–∞,a]이면 및 만약 fa에서 왼쪽 및 오른쪽 미분-가능이면, fa에서 반-미분가능으로 불립니다.

만약 왼쪽 및 오른쪽 도함수가 같으면, 그들이 보통 ("양방향") 도함수와 같은 값을 가집니다. 우리는 대칭 도함수(symmetric derivative)를 역시 정의할 수 있으며, 이것은 (그들이 둘 다 존재할 때) 왼쪽 및 오른쪽 도함수의 산술 평균(arithmetic mean)과 같으므로, 대칭 도함수는 보통 도함수가 존재하지 않을 때 존재할 수 있을 것입니다.[1]

Remarks and examples

Application

만약 실수 직선의 구간 I 위에 정의된 실수-값, 미분-가능 함수 f가 어디에서난 영 도함수를 가지면, 그것은, 평균-값 정리(mean value theorem)의 적용이 보이는 것처럼, 상수입니다. 미분-가능성의 가정은 f의 연속성과 한-쪽 미분-가능성으로 약화될 수 있습니다. 오른쪽 미분-가능 함수에 대해 버전은 아래에 제공되며, 왼쪽 미분-가능 함수에 대해 버전은 유사합니다.

Theorem —  f를 실수 직선의 임의의 구간(interval) I 위에 정의된 실수-값, 연속 함수(continuous function)로 놓습니다. 만약 f가 구간의 상한이 아닌 모든 각 점 a ∈ I에서 오른쪽 미분-가능이면 및 만약 이 오른쪽 도함수가 항상 영이면, f상수(constant)입니다.

Differential operators acting to the left or the right

또 다른 공통적인 사용은 중위 표기법(infix notation)에서 이항 연산자(binary operator)로 취급되는 도함수를 설명하는 것이며, 이것에서 도함수는 왼쪽 또는 오른쪽 피-연산자(operand)에 적용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푸아송 괄호(Poisson bracket)의 일반화를 정의할 때 유용합니다. 함수 fg의 쌍에 대해, 왼쪽 및 오른쪽 도함수는 각각 다음으로 정의됩니다:

괄-호 표기법(bra–ket notation)에서, 도함수 연산자는 정규 도함수로 오른쪽 피-연산자 또는 음의 도함수로 왼쪽 피-연산자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2]

Higher-dimensional case

이 위의 정의는 방향 도함수(directional derivative)의 더 약한 버전을 사용하여 Rn의 부분-집합 위에 정의된 실수-값 함수 f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af의 도메인의 내부 점으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f는 만약 모든 각 방향 u ∈ Rn에 대해, 극한

이 실수로 존재하면 점 a에서 반-미분가능으로 불립니다.

반-미분가능성은 따라서 가르토 미분-가능성(Gateaux differentiability)보다 더 약하며, 그것에 대해 우리는 위의 극한 h → 0에서 h를 오직 양의 값으로 제한하는 것없이 취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 에서 반-미분가능이자만, 그곳에서 가르토 미분-가능은 아닙니다.

(이 일반화는 n = 1에 대해 원래 정의와 동등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한-쪽 극한 점의 개념은 내부 점의 더 강한 개념으로 대체되기 때문임에 주목하십시오.)

Properties

Generalization

실수-값 함수 대신에, 우리는 Rn 또는 바나흐 공간(Banach space)에서 값을 취하는 함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Peter R. Mercer (2014). More Calculus of a Single Variable. Springer. p. 173. ISBN 978-1-4939-1926-0.
  2. ^ Dirac, Paul (1982) [1930]. The Principles of Quantum Mechanics. USA: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20115.
  • Preda, V.; Chiţescu, I. (1999). "On Constraint Qualification i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s: Semidifferentiable Case". J. Optim. Theory Appl. 100 (2): 417–433. doi:10.1023/A:1021794505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