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Integer parti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Partition (number theory))
Young diagrams associated to the partitions of the positive integers 1 through 8. They are arranged so that images under the reflection about the main diagonal of the square are conjugate partitions.
Partitions of n with biggest addend k

숫자 이론(number theory)조합론(combinatorics)에서, 역시 정수 분할(integer partition)로 불리는, 양의 정수(integer) n분할(partition)은 n을 양의 정수의 합(sum)으로 쓰는 방법입니다. 오직 그들 합해지는-숫자(summand)의 순서에서 다른 두 합은 같은 분할로 여겨집니다. (만약 순서가 중요하면, 합은 합성(composition)이 됩니다.) 예를 들어 4는 다음의 다섯 구별되는 방법에서 분할될 수 있습니다:

4
3 + 1
2 + 2
2 + 1 + 1
1 + 1 + 1 + 1

순서-종속적인 합성(composition) 1 + 3은 3 + 1과 같은 분할이지만, 두 구별되는 합성 1 + 2 + 1과 1 + 1 + 2은 2 + 1 + 1과 같은 분할을 나타냅니다.

분할에서 합해지는-숫자는 부분(part)으로 역시 불립니다. n의 분할의 숫자는 분할 함수 p(n)에 의해 제공됩니다. 그래서 p(4) = 5입니다. 표기법 λnλn의 분할임을 의미합니다.

분할은 영 다이어그램(Young diagram) 또는 퍼얼스 다이어그램(Ferrers diagram)과 함께 그래픽적으로 시각화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대칭 다항식(symmetric polynomial), 대칭 그룹(symmetric group)그룹 표시 이론(group representation theory)의 연구를 포함하여 수학(mathematics)물리학(physics)의 많은 가지에서 발생합니다.

Examples

5의 7 분할은 다음입니다:

  • 5
  • 4 + 1
  • 3 + 2
  • 3 + 1 + 1
  • 2 + 2 + 1
  • 2 + 1 + 1 + 1
  • 1 + 1 + 1 + 1 + 1

일부 교재에서, 분할은 더하기 기호를 갖는 표현이 아니라 더해지는-숫자의 수열로 취급됩니다. 예를 들어, 분할 2 + 2 + 1은 튜플 (2, 2, 1) 또는 훨씬 더 간결한 형식 (22, 1)으로 대신 쓸 수 있으며, 여기서 위첨자는 항의 반복 횟수를 나타냅니다.

Representations of partitions

분할을 나타내는 두 가지 공통적인 다이어그램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노먼 매클라우드 퍼얼스(Norman Macleod Ferrers)의 이름을 따서 지은 퍼얼스 다이어그램, 및 영국의 수학자 알프레드 영(Alfred Young)의 이름을 따서 지은 영 다이어그램입니다. 둘 다는 여러 가지 가능한 관례가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위-왼쪽 구석에 다이어그램을 정렬하는 영어 표기법(English notation)을 사용합니다.

Ferrers diagram

양의 숫자 14의 분할 6 + 4 + 3 + 1은 다음 다이어그램에 의해 표현될 수 있습니다:

******
****
***
*

14개 원은 각 행이 분할의 부분의 크기를 가진 4개의 행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숫자 4의 5 분할에 대해 다이어그램은 아래에 목록화되어 있습니다:

**** ***
*
**
**
**
*
*
*
*
*
*
4 = 3 + 1 = 2 + 2 = 2 + 1 + 1 = 1 + 1 + 1 + 1

Young diagram

정수 분할의 대안적인 시각적 표현은 영 다이어그램(Young diagram)입니다 (역시 퍼얼스 다이어그램으로 종종 불립니다). 퍼얼스 다이어그램에서 처럼, 점과 함께 분할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영 다이어그램은 상자 또는 사각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분할 5 + 4 + 1에 대해 영 다이어그램은 다음입니다:

반면에 같은 분할에 대해 퍼얼스 다이어그램은 다음입니다:

*****
****
*

이 겉으로 보기에 자명한 변화가 별도로 언급할만한 가치가 있어 보이지 않는 반면에, 영 다이어그램은 대칭 함수(symmetric functions)그룹 표시 이론(group representation theory)의 연구에서 매우 유용함이 밝혀집니다: 다양한 규칙을 지키는 숫자 (또는 때때로 보다 복잡한 대상)을 갖는 영 다이어그램의 상자를 채우는 것은 영 타블로(Young tableaux)로 불리는 대상의 가족을 이어지고, 이들 타블로는 조합론적 및 표시-이론적 중요성을 가집니다.[1] 함께 어울려 인접한 사각형에 의해 만들어진 유형에서 처럼, 영 다이어그램은 폴리오미노(polyomino)의 특별한 종류입니다.[2]

Partition function

분할 함수(partition function) 은 비-음의 정수 의 가능한 분할(partitions)숫자(number)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인데 왜냐하면 정수 는 다섯 분할 , , , , 및 를 가집니다.

에 대해 이 함수의 값은 다음입니다:

1, 1, 2, 3, 5, 7, 11, 15, 22, 30, 42, 56, 77, 101, 135, 176, 231, 297, 385, 490, 627, 792, 1002, 1255, 1575, 1958, 2436, 3010, 3718, 4565, 5604, ... (OEIS에서 수열 A000041).

분할 함수에 대해 닫힌-형식 표현(closed-form expression)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것은 정확하게 근사하는 점근 전개(asymptotic expansions) 및 그것이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는 재귀 관계(recurrence relation) 둘 다를 가집니다. 그것은 논증의 제곱근(square root)지수 함수(exponential function)로 증가합니다.[3] 그것의 생성하는 함수(generating function)곱셈의 역(multiplicative inverse)오일러 함수(Euler function)입니다; 오일러의 오각 숫자 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에 의해, 이 함수는 그 인수의 오각 숫자(pentagonal number) 거듭-제곱의 교대하는 합입니다.

스리미바자 라마누젠(Srinivasa Ramanujan)은 먼저 분할 함수가 모듈러 산술(modular arithmetic)에서 비-자명한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지금 라마누젠의 합동(Ramanujan's congruences)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 십진수 표시가 자릿수 4 또는 9로 끝날 때마다, 의 파티션의 숫자는 5로 나누어질 것입니다.[4]

Restricted partitions

조합론과 숫자 이론 둘 다에서, 다양한 제한을 받는 분할의 가족이 종종 연구됩니다.[5] 이 섹션은 몇 개의 그러한 제한을 조사합니다.

Conjugate and self-conjugate partitions

만약 우리가 그의 주요 대각선을 따라 분할 6 + 4 + 3 + 1의 그림을 뒤집으면, 우리는 14의 또 다른 분할을 얻습니다:

******
****
***
*
****
***
***
**
*
*
6 + 4 + 3 + 1 = 4 + 3 + 3 + 2 + 1 + 1

행을 열로 바꿈으로써, 우리는 숫자 14의 분할 4 + 3 + 3 + 2 + 1 + 1을 얻습니다. 그러한 분할은 서로의 켤레로 말합니다.[6] 숫자 4의 경우에서, 분할 4 및 1 + 1 + 1 + 1은 켤레 쌍이고, 분할 3 + 1 및 2 + 1 + 1은 서로의 켤레입니다. 물론 흥미는 분할 2 + 2이며, 이것은 켤레로 자신을 가집니다. 그러한 분할은 자기-켤레로 말합니다.[7]

주장: 자체-켤레 분할의 숫자는 구별하는 홀수 부분을 갖는 분할의 숫자와 같습니다.

증명 (개요): 치명적인 관찰은 모든 각 홀수 부분이 자기-켤레 다이어그램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에서 "접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
*
*

우리는 그런-다음, 다음 예제에서 묘사된 것처럼, 구별되는 홀수 부분을 갖는 분할의 집합과 자체-켤레 분할의 집합 사이의 전단사를 얻을 수 있습니다:

ooooooooo
*******
xxx

ooooo
o****
o*xx
o*x
o*
9 + 7 + 3 = 5 + 5 + 4 + 3 + 2
Dist. odd self-conjugate

Odd parts and distinct parts

숫자 8의 22 분할 사이에, 오직 홀수 부분을 포함하는 6가 있습니다:

  • 7 + 1
  • 5 + 3
  • 5 + 1 + 1 + 1
  • 3 + 3 + 1 + 1
  • 3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대안적으로, 우리는 숫자가 한 번보다 많이 발생하는 않는 분할을 셀 수 있습니다. 그러한 분할은 구별되는 부분을 갖는 분할로 불립니다. 만약 우리가 구별되는 부분을 갖는 8의 분할을 세면, 우리는 역시 6을 얻습니다:

  • 8
  • 7 + 1
  • 6 + 2
  • 5 + 3
  • 5 + 2 + 1
  • 4 + 3 + 1

이것은 일반적인 속성입니다. 각 양수에 대해, 홀수 부분을 갖는 분할의 숫자는 q(n)으로 표시되는 구별되는 부분을 갖는 분할의 숫자와 같습니다.[8][9] 이 결과는 1748년에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에 의해 입증되었고[10] 나중에 글레이셔의 정리(Glaisher's theorem)로 일반화되었습니다.

모든 제한된 분할의 모든 각 유형에 대해, 주어진 제한을 만족시키는 분할의 숫자에 대해 해당하는 함수가 있습니다. 중요한 예제는 q(n)입니다. q(n)의 처음 몇 개의 값은 (q(0)=1로 시작하여) 다음입니다:

1, 1, 1, 2, 2, 3, 4, 5, 6, 8, 10, ... (OEIS에서 수열 A000009).

q(n)에 대해 생성하는 함수(generating function) (구별되는 부분으로 분할)는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11]

오각 숫자 정리(pentagonal number theorem)q에 대해 재귀를 제공합니다:[12]

q(k) = ak + q(k − 1) + q(k − 2) − q(k − 5) − q(k − 7) + q(k − 12) + q(k − 15) − q(k − 22) − ...

여기서 ak는 만약 일부 정수 m에 대해 k = 3m2m이면 (−1)m이고 그렇지 않으면 0입니다.

Restricted part size or number of parts

켤레를 취함으로써, n의 정확히 k 부분으로 나누는 분할의 숫자 pk(n)는 가장 큰 부분이 크기 kn의 분할의 숫자와 같습니다. 함수 pk(n)는 다음 재귀를 만족시킵니다:

pk(n) = pk(nk) + pk−1(n − 1)

이때 초기 값은 p0(0) = 1이고 만약 또는 이고 nk이 둘 다 영이 아니면 pk(n) = 0입니다.[13]

우리는 다음에 의해 함수 p(n)을 다시-덮습니다:

고정된 kn 변수를 취하는, 그러한 분할에 대해 하나의 가능한 생성하는 함수는 다음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T가 양의 정수의 집합이면 n의 분할의 숫자는, 그의 부분의 모두가 T에 속하는, 다음 생성하는 함수(generating function)를 가집니다:

이것은 변화-만들기 문제(change-making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집합 T는 이용-가능한 동전을 지정합니다). 두 가지 특별한 경우로서, 우리는 모든 부분이 1 또는 2인 n의 분할의 숫자 (또는, 동등하게, n을 1 또는 2 부분로의 분할의 숫자)는 다음임을 가집니다:

그리고 모든 부분이 1, 2 또는 3인 n의 분할의 숫자 (또는, 동등하게, n을 최대 세 부분으로의 분할의 숫자)는 (n + 3)2 / 12에 가장-가까운 정수입니다.[14]

Asymptotics

p(n)에 대해 점근 증가 비율(asymptotic growth rate)은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여기서 입니다.[15]

만약 A가 자연수의 집합이면, 우리는 pA(n)를 nA의 원소로 나누는 분할의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놓습니다. 만약 A가 양의 자연 밀도(natural density) α를 소유하면 다음이고

거꾸로 만약 이것 점근 속성이 pA(n)에 대해 유지되면 A는 자연 밀도 α를 가집니다.[16] 이 결과는 1942년에 에르되시(Erdős)에 의해 증명의 스케치와 함께 언급되었습니다.[17][18]

만약 A가 유한 집합이면, 이 해석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유한 집합의 밀도는 영입니다). 만약 A가 그의 최대 공통 약수가 1인 k 원소를 가지면, 다음입니다:[19]

Partitions in a rectangle and Gaussian binomial coefficients

우리는 부분의 숫자와 크기를 동시에 역시 극한할 수 있습니다. p(N, M; n)은 각각 최대 M 부분, 최대 N 크기의 각각을 갖는 n의 분할의 숫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놓습니다. 동등하게, 이들은 그의 영 다이어그램이 M × N 사각형 안에 맞는 분할입니다. n을 크기 최대 N의 정확하게 M 부분으로의 분할을 세고, 그러한 분할의 각 부분으로부터 1을 빼면 nM을 최대 M 부분으로의 분할을 산출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얻어지는 다음 재귀 관계가 있습니다:[20]

.

가우스 이항 계수(Gaussian binomial coefficient)는 다음으로 정의됩니다:

가우스 이항 계수는 다음 상등에 의해 p(N, M; n)의 생성하는 함수(generating function)와 관련됩니다:

Rank and Durfee square

분할의 랭크는 분할이 크기 적어도 k의 적어도 k 부분을 포함하도록 가장-큰 숫자 k입니다. 예를 들어, 분할 4 + 3 + 3 + 2 + 1 + 1은 랭크 3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 3인 3 부분을 포함하지만,  ≥ 4인 4 부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랭크 r의 분할의 페러스 다이어그램 또는 영 다이어그램에서, 위-왼쪽에서 엔트리의 r x r 정사각형은 더피 정사각형(Durfee square)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
**
*
*

더피 정사각형은 분할 항등식의 증명에서 조합론 안에서 응용을 가집니다.[21] 그것은 역시 h-인덱스(h-index)의 형식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다른 통계량은 분할의 랭크(rank of a partition) (또는 다이슨 랭크), 즉, 가장 큰 부분 을 갖는 k 부분의 분할에 대해 차이 로 때때로 불립니다. 이 통계량 (이것은 위에서 설명된 하나의 관련이 없음)는 라마누젠 합동(Ramanujan congruences)의 연구에서 나타납니다.

Young's lattice

영 다이어그램의 포함에 의해 주어진 분할에 대한 자연스러운 부분 순서(partial order)가 있습니다. 이 부분적으로 순서화 집합은 영의 격자(Young's lattice)로 알려져 있습니다. 격자는 표시 이론(representation theory)의 문맥에서 원래 정의되었으며, 여기서 그것은, 특성 영에서, 그들의 분기하는 속성과 함께 모든 n에 대해 대칭 그룹(symmetric group) Sn기약 표시(irreducible representation)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것은 역시 순전히 조합론적 속성에 대해 중요한 연구를 받아 왔습니다; 특히, 그것은 차이 포셋(differential poset)의 동기-부여 예제입니다.

See also

Notes

  1. ^ Andrews 1976, p. 199.
  2. ^ Josuat-Vergès, Matthieu (2010), "Bijections between pattern-avoiding fillings of Young diagram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Series A, 117 (8): 1218–1230, arXiv:0801.4928, doi:10.1016/j.jcta.2010.03.006, MR 2677686.
  3. ^ Andrews 1976, p. 69.
  4. ^ Hardy & Wright 2008, p. 380.
  5. ^ Alder, Henry L. (1969). "Partition identities - from Euler to the present".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76: 733–746. doi:10.2307/2317861.
  6. ^ Hardy & Wright 2008, p. 362.
  7. ^ Hardy & Wright 2008, p. 368.
  8. ^ Hardy & Wright 2008, p. 365.
  9. ^ Notation follows Abramowitz & Stegun 1964, p. 825
  10. ^ Andrews, George E. (1971). Number Theory.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pp. 149–50.
  11. ^ Abramowitz & Stegun 1964, p. 825, 24.2.2 eq. I(B)
  12. ^ Abramowitz & Stegun 1964, p. 826, 24.2.2 eq. II(A)
  13. ^ Richard Stanley, Enumerative Combinatorics, volume 1,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Chapter 1, section 1.7.
  14. ^ Hardy, G.H. (1920). Some Famous Problems of the Theory of Numbers. Clarendon Press.
  15. ^ Andrews 1976, pp. 70, 97.
  16. ^ Nathanson 2000, pp. 475–85.
  17. ^ Erdős, Pál (1942). "On an elementary proof of some asymptotic formulas in the theory of partitions". Ann. Math. (2). 43: 437–450. doi:10.2307/1968802. Zbl 0061.07905.
  18. ^ Nathanson 2000, p. 495.
  19. ^ Nathanson 2000, pp. 458–64.
  20. ^ Andrews 1976, pp. 33–34.
  21. ^ see, e.g., Stanley 1999, p. 58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