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Faà di Bruno's formula

This is a reviewed translation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파 디 브루노의 공식(Faà di Bruno's formula)은 Francesco Faà di Bruno (1855, 1857)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비록 그가 처음으로 공식을 발표하거나 증명하지는 못했을지라도, 고차 도함수에 대한 체인 규칙(chain rule)을 일반화하는 수학(mathematics)에서 항등식입니다. 파 디 브루노 보다 50년 이상 전인, 1800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루이 프랑수아 앙투안 아르보가(Louis François Antoine Arbogast)는 미적분학 교과서에서 이 공식을 언급했으며,[1] 이 주제에 대한 첫 번째 출판된 참고 문헌으로 여겨집니다.[2]

아마도 가장 잘-알려진 형태의 파 디 브루노의 공식은 다음임을 말합니다:

여기서 합은 다음 구속-조건을 만족시키는 비-음의 정수 (m1, ..., mn)의 모든 n-튜플(tuple)에 걸친 것입니다:

때때로, 그것을 기억할 만한 패턴으로 제공하기 위해, 아래에 논의된 조합적 해석을 가진 계수가 덜 명확한 방법으로 쓰입니다:

m1 + m2 + ... + mn = k의 같은 값을 가진 항들을 결합하고, m jj > n − k + 1에 대해 영이어야 함에 주목하면 벨 다항식(Bell polynomial) Bn,k(x1,...,xnk+1)의 관점에서 표현된 약간 더 간단한 공식으로 어어집니다:

Combinatorial form

공식은 "조합론적" 형식을 가집니다:

여기서

  • π집합 { 1, ..., n }의 모든 분할의 집합 Π를 통해 실행됩니다,
  • "Bπ"는 변수 B가 분할 π의 모든 "블록"의 목록을 통과함을 의미하고,
  • |A|는 집합 A의 카디널리티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π|는 분할 π에서 블록의 숫자이고 |B|는 블록 B의 크기입니다).

Example

다음은 n = 4 경우에 대해 조합론적 형식의 구체적인 표현입니다.

패턴은 다음입니다:

인수 은 분명한 방법에서 정수 4의 분할 2 + 1 + 1에 해당합니다. 그것과 함께 가는 인수 는 해당 분할에서 세 개의 피합수가 있다는 사실에 해당합니다. 그들 인수들과 함께 가는 계수 6은 크기가 그것을 크기 2의 부분과 크기 1의 두 부분으로 부수는 네 구성원의 집합의 정확히 여섯 분할이 있다는 사실에 해당합니다.

비슷하게, 세 번째 줄에서 인수 는 정수 4의 분할 2 + 2에 해당하고 (4, 왜냐하면 우리가 사차 도함수를 찾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는 해당 분할에서 두 개의 피함수 (2 + 2)가 있다는 사실에 해당합니다. 계수 3은 4 대상을 2의 그룹으로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는 사실에 해당합니다. 같은 개념은 다른 것들에 적용됩니다.

기억할 만한 계획은 다음처럼 입니다:

Combinatorics of the Faà di Bruno coefficients

이들 분할-세는 파 디 브루노 계수는 "닫힌-형식" 표현을 가집니다. 정수 n의 다음 정수 분할(integer partition)에 해당하는 크기 n집합의 분할(partitions of a set)의 숫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들 계수는 벨 다항식(Bell polynomials)에서 역시 발생하며, 이것은 누적(cumulant)의 연구와 관련됩니다.

Variations

Multivariate version

y = g(x1, ..., xn)으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다음 항등식은 n 개의 변수가 모두 구별되는지, 모두 동일한지, 구분-불가능한 변수의 여러 구분-가능한 클래스로 분할되느지 여부와 상관없이 유지됩니다 (만약 그것이 불투명해 보인다면, 아래의 매우 구체적인 예제를 참조하십시오):[3]

(위에서 처럼) 여기서

  • π집합 { 1, ..., n }의 모든 분할의 집합 Π를 통해 실행됩니다,
  • "Bπ"는 변수 B가 분할 π의 모든 "블록"의 목록을 통과함을 의미하고,
  • |A|는 집합 A의 카디널리티를 나타냅니다 (그래서 |π|는 분할 π 내의 블록의 숫자이고 |B|는 블록 B의 크기입니다).

보다 일반적인 버전은, 모든 함수가 벡터- 및 심지어 바나흐-공간-값인, 경우에 대해 유지됩니다. 이런 경우에서 우리는 프레셰 도함수(Fréchet derivative) 또는 가르토 도함수(Gâteaux derivative)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제

다음 표현에서 다섯 항은 집합 { 1, 2, 3 }의 다섯 분할에 대한 분명한 방법에 해당하고, 각 경우에서 f의 도함수의 차수는 분할에서 부분의 숫자입니다:

만약 세 변수가 서로 구별할 수 없다면, 위의 다섯 항 중 세 개는 역시 서로 구별할 수 없고, 우리는 고전적인 일-변수 공식을 가집니다.

Formal power series version

형식적 거듭제곱 급수(formal power series)이고 을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합성 는 다시 형식적 거듭제곱 급수이고,

여기서 c0 = a0이고 n ≥ 1에 대해 다른 계수 cnn합성(compositions)에 걸쳐 합 또는 n분할(partitions)에 걸쳐 동등한 합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은 부분의 숫자를 나타내는 k를 갖는 n의 합성의 집합,

또는

여기서

은 부분-의-주파수 형식에서, nk 부분으로 분할의 집합입니다.

첫 번째 형식은 "검사에 의한" 에서 xn의 계수를 추출하여 얻어지고, 두 번째 형식는 그런-다음 동류 항을 묶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다항 정리(multinomial theorem)를 적용함으로써 얻습니다.

특별한 경우 f(x) = ex, g(x) = ∑n ≥ 1 an /n! xn지수 공식(exponential formula)을 제공합니다. 특별한 경우 f(x) = 1/(1 − x), g(x) = ∑n ≥ 1 (−an) xn은 경우 a0 = 1에서 형식적 거듭제곱 급수 ∑n ≥ 0 an xn역수(reciprocal)에 대해 표현을 제공합니다.

스탠리[4]는 지수 거듭제곱 급수에 대해 버전을 제공합니다. 형식적 거듭제곱 급수(formal power series)에서

우리는 0에서 n번째 도함수를 가집니다:

이것은 함수의 값으로 구성될 수는 없는데, 왜냐하면 이들 급수는 순수하게 공식적이기 때문입니다; 이 문맥에서 수렴 또는 발산으로 그러한 일은 없습니다.

만약

이면, 계수는 cn (이것은 만약 우리가 형식적 거듭제곱 급수라기 보다는 수렴하는 급수로 다루면 0에서 평가된 hn번째 도함수일 것입니다)은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여기서 π는 집합 {1, ..., n}의 모든 분할의 집합을 통해 실행하고 B1, ..., Bk는 분할 π의 블록이고, | Bj |는 j = 1, ..., k에 대해, j번째 블록의 구성원의 숫자입니다.

공식의 이 버전은 조합론(combinatorics)의 목적에 특별하게 매우 적합합니다.

우리는 다음처럼 위의 표기법에 관해 역시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Bn,k(a1,...,ank+1)는 벨 다항식(Bell polynomials)입니다.

A special case

만약 f(x) = ex이면, f의 모든 도함수는 같고 모든 각 항에 공통적인 인수입니다. 경우에서 g(x)가 누적-생성하는 함수(cumulant-generating function)이면, f(g(x))는 모멘트-생성하는 함수(moment-generating function)이고, g의 다양한 도함수에서 다항식은 누적(cumulant)의 함수로 모멘트(moment)를 표현하는 다항식입니다.

Notes

  1. ^ (Arbogast 1800).
  2. ^ According to Craik (2005, pp. 120–122): see also the analysis of Arbogast's work by Johnson (2002, p. 230).
  3. ^ Hardy, Michael (2006). "Combinatorics of Partial Derivatives". Electronic Journal of Combinatorics. 13 (1): R1. {{cite journal}}: Invalid |ref=harv (help)
  4. ^ See the "compositional formula" in Chapter 5 of Stanley, Richard P. (1999) [1997]. Enumerative Combinator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5309-4.

References

Historical surveys and essays

Research work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