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Proposi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용어 제안(proposition)은 현대 분석적 철학(analytic philosophy)에서 넓은 사용을 가집니다.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참 또는 거짓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명제입니다. 그것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진리(truth)-값의 주요 소지자(primary bearers), 신념(belief)의 대상 및 다른 "제안적 태도(propositional attitude)" (즉, 믿게되는, 의심되는 것, 등), 해당-조항의 조언자(referent), 및 선언적 문장(sentence)의미(meaning). 제안은 태도의 공유할 수 있는 대상이고 진리와 허위의 주요 소지자입니다. 이 규정은 공유할 수 없는 생각- 및 말-토큰, 거짓이 될 수 없는 구체적 사건 또는 사실을 포함하여, 제안에 대해 특정 후보를 배제합니다.[1]

Historical usage

By Aristotle

아리스토텔레스 논리(Aristotelian logic)제안(proposition)을 '연결사(Copula)'의 도움과 함께 주어(subject)술어(predicate)를 확인하거나 거부하는 문장으로 식별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안은 "모든 사람은 필멸입니다" 또는 "소크라테스는 사람입니다"의 형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예제에서 주어는 "남자"이고, 술어는 "필멸"이고 연결사는 "입니다"이고, 두 번째 예제에서 주어는 "소크라테스", 술어는 "남자"이고 연결사는 "입니다"입니다.[2]

By the logical positivists

종종, 제안은 열린 공식(open formula)에 의해 표현된 것으로부터 그들을 구별하기 위해 닫힌 공식(closed formulae)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의미에서, 제안은 진실의 소지자(truth-bearer)인 "명제"입니다. 제안의 이 개념은 논리적 실증(logical positivism)의 철학적 학파에 의해 뒷받침되었습니다.

일부 철학자들은 선언적 것 이외의 일부 (또는 모든) 종류의 말 또는 행동이 역시 제안적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예–아니오 질문(yes–no question)은 제안을 제시하고, 그들의 진리값(truth value)에 대한 탐구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일부 기호(sign)는 문장을 형성하는 것없이 심지어 언어적이 아닌 제안의 선언적 주장일 수 있습니다. 즉, 교통 기호는 참 또는 거짓인 명확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제안은 믿음(belief)의 내용과 욕구, 선호, 희망과 같은 유사한 의도적 태도(intentional attitudes)로 역시 언급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내가 새 차를 갖는 것을 희망합니다" 또는 "나는 눈이 오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또는, "눈이 올 것"인지 여부). 희망, 믿음, 의심, 등은 그들이 이런 종류의 내용을 취할 때 따라서 제안적 태도라고 불립니다.[1]

By Russell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은 제안이 성분으로 대상과 속성을 가진 구조화된 엔터디라고 주장했습니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의 견해 (제안이 그것이 참인 것에서 일의 가능한 세계/상태의 집합인 것을 따르는)에 사이의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러셀 평가에 대한, 일의 모든 같은 상태에서 참인 두 제안은 여전히 구별될 것임입니다. 예를 들어, 제안 "2 더하기 2는 4와 같다"는 러셀 평가에서 "3 더하기 3은 6과 같습니다"로부터 구별됩니다. 만약 제안이 가능한 세계의 집합이라면, 어쨌든, 모든 수학적 진실 (및 모든 다른 필요한 진실)은 같은 집합 (모든 가능한 세계의 집합)입니다.[citation needed]

Relation to the mind

정신과 관련하여, 제안은 그들이 제안적 태도(propositional attitudes)에 맞을 때 주로 논의됩니다. 제안적 태도는 우리가 제안 (예를 들어, '비가 옵니다', '눈은 하얗습니다', 등)을 향해 취할 수 있는 대중 심리학(folk psychology) (믿음, 욕망, 등)의 단순히 특징적인 태도입니다. 영어에서, 제안은 보통 "that 절"(예를 들어, "Jane believes that it is raining")에 의해 대중 심리적 태도를 따릅니다. 정신의 철학(philosophy of mind)심리학(psychology)에서, 정신의 상태는 주로 제안적 태도로 종종 구성됩니다. 제안은 보통 태도의 "정신의 내용"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만약 제인이 비가 오는 중이라고 믿는 정신 상태를 가지면, 그녀의 정신 내용은 제안 '비가 내리는 중'입니다. 게다가, 그러한 정신 상태는 무언가에 대한 것 (즉, 제안)이므로, 그들은 의도적인(intentional) 정신 상태라고 말합니다. 제안이 제안적 태도와 관련할 때 그들을 둘러싼 철학적 논쟁은 최근에 그들이 대리인의 내부적 또는 외부적인지 여부, 또는 그들이 정신-의존적 또는 정신-독립적 엔터디인지 여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정신의 철학에서 내부주의와 외부주의(internalism and externalism)에 대한 엔터디를 참조하십시오).

Treatment in logic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아리스토텔레스 논리(Aristotelian logic)에서 제안은 문장의 특정 종류이며, 연결사(copula)의 도움과 함께 주어(subject)술어(predicate)를 확인 또는 거부하는 것입니다.[2]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안은 "모든 사람은 필멸입니다"와 "소크라테스는 남자입니다"와 같은 형식을 취합니다.

제안은 현대 형식적 논리에서 형식적 언어의 대상으로 나타납니다. 형식적 언어는 기호의 다른 유형으로 시작합니다. 이들 유형은 변수(variables), 연산자(operators), 함수 기호(function symbols), 술어 (또는 관계) 기호(predicate (or relation) symbols), 수량화기(quantifiers)제안적 상수(propositional constants)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그룹화 기호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에서 편의를 위해 종종 더해지지만 논리적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기호는 진리-값(truth-values)이 할당될 문자열을 구성하기 위해, 재귀(recursive) 규칙에 따라 함께 연쇄(concatenated)됩니다. 규칙은 연산자, 함수 및 술어 기호, 및 수량화기가 다른 문자열과 연결되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제안은 그런-다음 특정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제안이 취하는 형식은 논리 유형에 따라 취합니다.

제안, 문장, 또는 문장 논리(propositional, sentential, or statement logic)라고 불리는 논리의 유형은 오직 연산자와 명제 상수를 그것의 언어에서 기호로 포함합니다. 이 언어에서 제안은 원자 제안으로 여겨지는 명제 상수, 및 제안에 연산자를 재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구성되는 합성 (또는 복합) 제안이 있습니다.[3] 적용은 여기서 해당하는 연결 규칙이 적용되었다고 말하는 것의 간단한 짧은 방법입니다.

술어, 정량화, 또는 n-차 논리라고 불리는 논리 유형은 그들의 언어에서 기호로 변수, 연산자, 술어 및 함수 기호, 및 수량화기가 포함됩니다. 이들 논리의 제안은 더 복잡합니다. 먼저, 우리는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이 항(term)을 정의함으로써 시작합니다:

  1. 하나의 변수, 또는
  2. 함수 기호의 애리티(arity)에 필요한 항의 숫자에 적용되는 함수 기호.

예를 들어, 만약 +가 이진 함수 기호이고 x, y, 및 z가 변수이면, x+(y+z)는 항이며, 이것은 다양한 순서에서 기호와 함께 쓸 수 있습니다. 한번 항이 정의되면, 제안은 그런-다음 다음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1. 그것의 애리티에 필요한 항의 숫자에 적용되는 술어 기호, 또는
  2. 그것의 애리티에 필요한 제안의 숫자에 적용되는 연산자, 또는
  3. 제안에 적용되는 수량화기.

예를 들어, 만약 =가 이진 술어 기호이고 가 수량화기이면, ∀x,y,z [(x = y) → (x+z = y+z)]는 제안입니다. 제안의 이 보다 복잡합 구조는 이들 논리를 추론 사이의 더 세밀한 구별을 만드는 것, 즉, 표현력을 더 크게 가지는 것을 허용합니다.

이 문맥에서, 제안은, 비록 이들 용어가 보통 단일 텍스트 이내에서 동어의가 아닐지라도, 문장, 명제, 명제 형식, 공식, 및 잘-형식된 공식으로 역시 불립니다. 이 정의는 의미론적(semantic) 또는 정신적(mental) 대상에 반대로, 제안을 구문적(syntactic) 대상으로 취급합니다. 즉, 이 의미에서 제안은 의미가 없고, 형식적, 추상적인 대상입니다. 그들은 의미와 진리-값을 각각 해석(interpretations)평가(valuations)으로 불리는 것에 매핑함으로써 할당됩니다.

수학(mathematics)에서, 제안은 술어 논리에서–하지만 보다 비공식적 방법에서 유사한 방법으로 종종 구성되고 해석됩니다. 어쨌든, 이 용어는 그 중요성이 본성에 의해 일반적으로 중립적인 입증된 수학적 명제를 나타내기 위해 역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4] 이 카테고리에서 다른 유사한 용어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제안은 만약 그들이 일부 광범위한 의미에서 성분이 있으면 구조화된 제안(structured propositions)이라고 불립니다.[1][6]

제안의 구조화된 견해를 가정하면, 우리는 특정 개체에 대한 단일 제안(singular propositions)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의 이름을 따서 지은, 역시 러셀 제안(Russellian propositions)), 임의의 특정 개체에 대한 것이 아닌 일반 명제(general propositions), 특정 개체에 대한 것이지만 해당 개체를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특수화된 제안(particularized propositions) 사이의 구별이 가능합니다. [7]

Objections to propositions

제안의 조작-가능한 정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두 의미있는 선언적 문장이 같은 제안을 표현하는 것과 그들이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citation needed]

따라서 동의어의 관점에서 제안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Snow is white" (영어)와 "눈은 하얗습니다" (한글)는 다른 문장이지만, 그들은 같은 것을 말하므로, 그들은 같은 제안을 표현합니다.

두 의미있는 선언적 문장-토큰이 같은 제안을 표현하는 것과 그들이 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citation needed]

불행하게도, 위의 정의는 두 동일한 문장/문장-토큰이 같은 의미를 갖는 것처럼 보일 수 있고, 따라서 같은 명제를 표현하고 여전히 다른 진리-값을 갖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예를 들어, 스파르타쿠스에 의해 말해진 및 존 스미스에 의해 말해진 "나는 스파르타쿠스입니다"는 다른 진리-값을 가집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수요일에 말했던 및 목요일에 말했던 "오늘은 수요일입니다"는 다른 진리-값을 가집니다. 이들 예제는 명제의 잘못된 같은-단어를 초래하는 공통 언어에서 모호성의 문제를 반영합니다. 스파르타쿠스에 의해 말해진 "나는 스파르타쿠스입니다"는 개별 발언이 스파르타쿠스라고 불리는 사람의 선언이고 그것은 참입니다. 존 스미스에 의해 말할 때, 그것은 다른 발언자에 대한 선언이고 그것은 거짓입니다. 항 "나"는 다른 것을 의미하므로, "나는 스파르타쿠스입니다"는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된 문제는 동일한 문장이 같은 진리-값을 가지지만, 다른 제안을 표현할 때입니다. 문장 "나는 철학자이다"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둘 다에 의해 말할 수 있었습니다. 경우 둘 다에서, 그 명제는 참이지만, 다른 어떤 것을 의미입니다.

이들 문제는 문제가-있는 항에 대해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술어 논리(predicate logic)에서 해결되므로, "X는 철학자입니다"는 X에 대해 대체된 소크라테스 또는 플라톤을 가질 수 있으며, "소크라테스는 철학자입니다" 및 "플라톤은 철학자입니다"는 다른 제안인 것으로 묘사됩니다. 비슷하게, "나는 스파르타쿠스입니다"는 "X는 스파르타쿠스입니다"가 되며 여기서 X는 개별 스파르타쿠스와 존 스미스를 나타내는 항으로 대체됩니다.

예제 문제는 따라서 만약 문장이 그들의 항이 모호하지 않은 의미를 가지는 충분한 정밀도로 공식화되면 피해질 수 있습니다.

많은 철학자와 언어학자들은 제안의 모든 정의가 너무 모호해서 유용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에 대해, 그것은 철학과 의미론(semantics)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단지 오해의-소지가-있는 개념입니다. 콰인(W.V. Quine)은 번역의 불확실성이 제안의 임의의 의미있는 논의를 막았고, 그들이 문장(sentences)에 이익이 되도록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8] 스트로슨(Strawson)은 용어 "명제(statement)"의 사용을 옹호했습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a b c McGrath, Matthew; Frank, Devin. "Proposition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Plato.stanford.edu. Retrieved 2014-06-23.{{cite web}}: CS1 maint: url-status (link)
  2. ^ a b Groarke, Louis. "Aristotle: Logic — From Words into Propositions".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Retrieved 2019-12-10.{{cite web}}: CS1 maint: url-status (link)
  3. ^ "Mathematics | Introduction to Propositional Logic | Set 1". GeeksforGeeks. 2015-06-19. Retrieved 2019-12-11.
  4. ^ "The Definitive Glossary of Higher Mathematical Jargon — Proposition". Math Vault. 2019-08-01. Retrieved 2019-12-11.{{cite web}}: CS1 maint: url-status (link)
  5. ^ Robinson, R. Clark (2008–2009). "Basic Ideas of Abstract Mathematics" (PDF). math.northwestern.edu. Retrieved 2019-12-10.{{cite web}}: CS1 maint: date format (link) CS1 maint: url-status (link)
  6. ^ Fitch, Greg; Nelson, Michael (2018), Zalta, Edward N. (ed.), "Singular Proposition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pring 2018 ed.),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019-12-11
  7. ^ Structured Propositions by Jeffrey C. King
  8. ^ Quine, W. V. (1970). Philosophy of Logic. NJ USA: Prentice-Hall. pp. 1–14. ISBN 0-13-663625-X.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