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Reciprocal polynomial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대수학(algebra)에서, 다음과 같은

임의의 필드(field)로부터 계수를 갖는 차수 n다항식(polynomial) p상반 다항식(reciprocal polynomial) 또는 반사 다항식(reflected polynomial)[1][2] p 또는 pR[2][1] 다음 다항식입니다:[3]

본질적으로, 계수는 반대 순서으로 쓰입니다. 그것들은 행렬의 역(inverse of a matrix)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으로 선형 대수(linear algebra)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합니다.

다항식(polynomial) p복소(complex) 계수를 갖는 특별한 경우에서, 즉,

다음에 의해 제공된, 켤레 상반 다항식, p

여기서 복소 켤레(complex conjugate)를 나타내며, 혼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 역시 상반 다항식으로 불립니다.

다항식 p는 만약 p(x) = p(x)이면 자기-상반(self-reciprocal) 또는 회문(palindromic)으로 불립니다. 자기-상반 다항식의 계수는 ai = ani를 만족시킵니다. 켤레 상반 경우에서, 계수는 반드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실수(real)여야 합니다.

Properties

상반 다항식은 다음을 포함하여 원래 다항식과 여러 연결을 가집니다:

  1. p(x) = xnp(x−1)[2]
  2. α가 다항식 p의 근인 것과 α−1p의 근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4]
  3. 만약 p(x) ≠ x이면 p기약(irreducible)인 것과 p가 기약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5]
  4. p원시(primitive)인 것과 p가 원시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4]

상반 다항식의 다른 속성은 얻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만약 다항식이 자기-상반이고 기약이면 그것은 반드시 짝수 차수를 가져야 합니다.[5]

Palindromic and antipalindromic polynomials

자기-상반 다항식은 역시 회문으로 불리는데 왜냐하면 그것의 계수는, 다항식이 올라가는 또는 내려가는 거듭제곱의 순서로 쓰일 때, 회문(palindrome)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즉, 만약 다음이 차수(degree) n의 다항식이면,

Pi = 0, 1, ..., n에 대해 ai = ani이면 회문입니다. 일부 저자는 용어 회문상반을 서로 교환-가능하게 사용합니다.

비슷하게, 차수 n의 다항식, Pi = 0, 1, ... n에 대해 ai = −ani이면 역회문(antipalindromic)이라고 불립니다. 즉, 다항식 PP(x) = – P(x)이면 역회문입니다.

Examples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의 속성으로부터, 다항식 P(x) = (x + 1 )n은 모든 양의 정수 n에 대해 회문이지만, 다항식 Q(x) = (x – 1 )nn이 짝수일 때 회문이고 n이 홀수일 때 역회문을 따릅니다.

역회문 다항식의 다른 예제는 원분 다항식(cyclotomic polynomial)오일러 다항식(Eulerian polynomial)을 포함합니다.

Properties

  • 만약 a가 회문 또는 역회문인 다항식의 근이면, 1/a이 역시 근이고 같은 중복도(multiplicity)를 가집니다.[6]
  • 그 역도 참입니다: 만약 다항식이 a가 근이면 1/a이 역시 근이고 같은 중복도(multiplicity)를 가짐을 만족하는 것이면, 다항식은 회문 또는 역회문입니다.
  • 임의의 다항식 q에 대해, 다항식 q + q은 회문이고 다항식 qq은 역회문입니다.
  • 임의의 다항식 q는 회문과 역회문 다항식의 합으로 쓸 수 있습니다.[7]
  • 두 회문 또는 역회문 다항식의 곱은 회문입니다.
  • 회문 다항식과 역회문 다항식의 곱은 역회문입니다.
  • 홀수 차수의 회문 다항식은 x + 1의 배수 (근으로 –1을 가짐)이고 x + 1에 의한 그것은 몫은 역시 회문입니다.
  • 역회문 다항식은 x – 1의 배수 (근으로 1을 가짐)이고 x – 1에 의한 몫은 회문입니다.
  • 짝수 차수의 역회문 다항식은 x2 – 1의 배수 (근으로 −1과 1을 가짐)이고 x2 – 1에 의한 몫은 회문입니다.
  • 만약 p(x)가 짝수 차수 2d의 회문 다항식이면, p(x) = xdq(x + 1/x)을 만족하는 차수 d의 다항식 q가 있습니다 (Durand 1961).
  • 만약 p(x)가 홀수 특성(characteristic)을 갖는 필드 k에 걸쳐 짝수 차수 2d의 일계수 역회문 다항식이면, 그것은 p(x) = xd (Q(x) − Q(1/x))로 고유하게 쓸 수 있으며, 여기서 Q는 상수 항을 갖지 않는 차수 d의 일계수 다항식입니다.[8]
  • 만약 역회문 다항식 P가 짝수 차수 2n이면, 그것의 (거듭제곱 n의) "중앙" 계수는 0인데 왜냐하면 an = −a2n – n이기 때문입니다.

Real coefficients

그것의 모든 복소수(complex) 근이 복소 평면(complex plane)에서 단위 원 위에 놓이는 실수(real) 계수를 갖는 다항식 (모든 근은 단일모듈러입니다)은 회문 또는 역회문입니다. [9]

Conjugate reciprocal polynomials

다항식은 단위 원(unit circle) 위의 스케일 인수 ω에 대해 만약 이면 켤레 상반(conjugate reciprocal)이고 만약 이면 자기-반전(self-inversive)입니다.[10]

만약 p(z)|z0| = 1, z0 ≠ 1를 갖는 z0최소 다항식(minimal polynomial)이고, p(z)실수(real) 계수를 가지면, p(z)는 자기-상반입니다. 이것은 다음이기 때문에 따릅니다:

그래서 z0는 차수 n를 가지는 다항식 의 근입니다. 그러나, 최소 다항식은 고유하며, 일부 상수 c, 즉, 에 대해, 따라서

.

i = 0에서 n까지 합하고 1은 p의 근이 아님에 주목하십시오. 우리는 c = 1이라고 결론짓습니다.

결과는 원분 다항식(cyclotomic polynomial) Φnn > 1에 대해 자기-상반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형식 x11 ± 1, x13 ± 1, x15 ± 1x21 ± 1의 숫자를, 각각, 5, 6, 4 및 6 차수의 다항식을 사용함으로써 대수적 인수의 이점을 취하는 인수화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특수 숫자 필드 체(special number field sieve)에서 사용됩니다 – 지수의 φ (오일러의 토션트 함수(Euler's totient function))는 10, 12, 8 및 12입니다.

Application in coding theory

상반 다항식은 순환 오류 수정 코드(cyclic error correcting codes)의 이론에서 사용을 찾습니다. xn − 1이 두 다항식의 곱, 말하자면 xn − 1 = g(x)p(x)으로 인수화될 수 있음을 가정합니다. g(x)가 순환 코드 C를 생성할 때, 상반 다항식 pC, C직교 여(orthogonal complement)를 생성합니다.[11] 역시, C자기-직교 (즉, CC)인 것과 pg(x)를 나누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12]

See also

Notes

  1. ^ a b *Graham, Ronald; Knuth, Donald E.; Patashnik, Oren (1994). Concrete mathematics : a foundation for computer science (Second ed.). Reading, Mass: Addison-Wesley. p. 340. ISBN 978-0201558029.
  2. ^ a b c Aigner, Martin (2007). A course in enumeration. Berlin New York: Springer. p. 94. ISBN 978-3540390329.
  3. ^ Roman 1995, pg.37
  4. ^ a b Pless 1990, pg. 57
  5. ^ a b Roman 1995, pg. 37
  6. ^ Pless 1990, pg. 57 for the palindromic case only
  7. ^ Stein, Jonathan Y. (2000), Digital Signal Processing: A Computer Science Perspective, Wiley Interscience, p. 384, ISBN 9780471295464
  8. ^ Katz, Nicholas M. (2012), Convolution and Equidistribution : Sato-Tate Theorems for Finite Field Mellin Transforma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46, ISBN 9780691153315
  9. ^ Markovsky, Ivan; Rao, Shodhan (2008), "Palindromic polynomials, time-reversible systems and conserved quantities" (PDF), Control and Automation: 125–130, doi:10.1109/MED.2008.4602018, ISBN 978-1-4244-2504-4
  10. ^ Sinclair, Christopher D.; Vaaler, Jeffrey D. (2008). "Self-inversive polynomials with all zeros on the unit circle". In McKee, James; Smyth, C. J. (eds.). Number theory and polynomial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Bristol, UK, April 3–7, 2006.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Vol. 35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12–321. ISBN 978-0-521-71467-9. Zbl 1334.11017.
  11. ^ Pless 1990, pg. 75, Theorem 48
  12. ^ Pless 1990, pg. 77, Theorem 51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