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Underdetermined system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에서, 선형 방정식의 시스템(system of linear equations) 또는 다항 방정식의 시스템(system of polynomial equations)은, 만약 미지수보다 더 적은 방정식이 있으면, 미달-결정된(underdetermined) 것으로 여깁니다[1] (대조적으로 초과-결정 시스템(overdetermined system)은 미지수보다 더 많은 방정식이 있습니다). 용어는 제약을 세는 것(constraint counting)의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습니다. 각 미지수(unknown)는 이용-가능한 자유도(degree of freedom)로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도입된 각 방정식은 1 자유도를 제한하는 제약(constraint)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초과-결정과 미달-결정 사이의) 결정적 경우는 방정식의 숫자와 자유 변수의 숫자가 같을 때 발생합니다. 자유도를 제공하는 모든 각 변수에 대해, 자유도를 제거하는 해당하는 제약이 존재합니다. 미달-결정된(underdetermined) 경우는, 대조적으로, 시스템이 미달-제약되었을 때–즉, 미지수가 방정식의 숫자를 초과할 때 발생합니다.

Solutions of underdetermined systems

미달-결정된 선형 시스템은 해를 없는 것 또는 무수하게 많은 해 중에 하나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은 임의의 해가 없는 미달-결정 시스템입니다; 해를 가지지 않는 방정식의 임의의 시스템은 불일치된(inconsistent) 것이라고 말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시스템

은 일치된 것이고, (x, y, z) = (1, −2, 2), (2, −3, 2), 및 (3, −4, 2)와 같은, 해의 무한대를 가집니다. 이들 해의 모두는 먼저 두 번째 방정식을 첫 번째 방정식으로 빼고, 모든 해가 z=2를 만족해야 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특성화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사용하여 두 방정식에서 y의 임의의 값은, x=–1–y과 함께, 가능한 것임을 보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루셰–카펠리 정리(Rouché–Capelli theorem)에 따라, (미달-결정된 또는 그렇지 않은) 선형 방정식의 임의의 시스템은 만약 증가된 행렬(augmented matrix)랭크(rank)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의 랭크보다 크면, 불일치된 것입니다. 만약, 다른 한편으로, 이들 두 행렬의 랭크가 같으면, 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해를 반드시 가집니다; 왜냐하면 미달-결정된 시스템에서 이 랭크는 반드시 미지수보다 적기 때문으로써, 사실 해의 무한대가 있으며, k 자유 매개변수를 가지는 일반적인 해이며 여기서 k는 변수의 숫자와 랭크 사이의 차이입니다.

미달-결정된 시스템이 해를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algorithm]|알고리듬(algorithm)]]이 있고, 만약 그것이 임의의 것을 가지면, 모든 해를 (위의 k와 같은) 변수 k의 선형 함수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가장 간단한 것 중 하나는 가우스 소거법(Gaussian elimination)입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 선형 방정식 시스템(System of linear equations)을 참조하십시오.

Homogeneous case

(모든 상수 항으로 0을 갖는) 동차 미달-결정된 선형 시스템은 항상 비-자명한 해를 가집니다 (게다가 모든 미지수가 0인 자명한 해를 가집니다). 벡터 공간(vector space)을 형성하는, 그러한 해는 무한대가 있으며, 그 자원은 미지수와 시스템 행렬의 랭크(rank) 사이의 차이입니다.

Underdetermined polynomial systems

해가 없는 것 또는 무한히 많은 것 중에 하나를 가지는, 선형 미달-결정된 시스템의 주요 속성은 다음 방법으로 다항 방정식의 시스템(systems of polynomial equations)으로 확장됩니다.

미지수보다 더 적은 방정식을 갖는 다항 방정식의 시스템은 미달-결정된(underdetermined)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무한히 많은 복소수 해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algebraically closed field)의 해) 또는 불일치된 것을 가집니다. 그것이 불일치된 것과 0 = 1이 방정식의 (다항식 계수를 가진) 선형 조합인 것 (이것이 힐베르트의 영점정리(Hilbert's Nullstellensatz)입니다)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만약 n 개의 변수에서 t 방정식의 미달-결정된 시스템 (t < n)이 해를 가지면, 모든 복소수 해의 집합은 적어도 n - t 차원(dimension)대수적 집합(algebraic set)입니다. 만약 미달-결정된 시스템이 무작위로 선택되면, 차원은 확률 1과 함께 n - t와 같습니다.

Underdetermined systems with other constraints and in optimization problems

일반적으로, 선형 방정식의 미달-결정된 시스템은, 만약 있다면, 해의 무한한 숫자를 가집니다. 어쨌든, 선형 상등 제약이 적용되는 최적화 문제(optimization problems)에서, 해 중 오직 하나가 관련되는데, 즉 그 하나가 목적 함수(objective function)의 가장 큰 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을 제공합니다.

일부 문제는 변수의 하나 이상이 정수 값을 취하는 것으로 제약됩니다. 정수 제약은 정수 프로그래밍(integer programming)디오판토스 방정식(Diophantine equations) 문제를 야기하며, 이것은 해의 오직 유한한 숫자를 가질 것입니다.

코딩 이론(coding theory), 특히 오류 수정 코드(error correcting codes)신호 처리(signal processing) (예를 들어, 압축 감지(compressed sensing))에서 나타나는 제약의 또 다른 종류는 0과 다를 수 있는 변수의 숫자에 대한 위쪽 경계로 구성됩니다. 오류 수정 코드에서, 이 경계는 동시에 수정될 수 있는 오류의 최대 숫자에 해당합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Biswa Nath Datta (4 February 2010). Numerical Linear Algebra and Applications, Second Edition. SIAM. pp. 263–. ISBN 978-0-89871-6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