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삼차 함수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Graph of a cubic function with 3 real roots (where the curve crosses the horizontal axis—where y = 0). The case shown has two critical points. Here the function is f(x) = (x3 + 3x2 − 6x − 8)/4.

수학(mathematics)에서, 삼차 함수는 다음 형식의 함수(function)입니다:

여기서 계수 a, b, c, 및 d는 실수이고, 변수 x는 실수 값을 취하고, a ≠ 0입니다. 다시 말해서, 삼차 함수는 차수 삼의 다항 함수(polynomial function)이고, 실수 함수(real function)입니다. 특히, 도메인(domain)코도메인(codomain)은 실수의 집합입니다.

f(x) = 0를 설정하면 다음 형식의 삼차 방정식(cubic equation)을 산출합니다:

그의 해는 함수의 근(roots)으로 불립니다.

삼차 함수는 하나 또는 셋의 실수 근을 가집니다 (적어도 하나의 실수 근의 존재는 모든 홀수-차수 다항 함수에 대해 참입니다).

삼차 함수의 그래프(graph)는 단일 변곡점(inflection point)을 가집니다. 게다가, 삼차 함수는 극댓값과 극솟값을 같이 가질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단조적(monotonic)이라서 극값을 가지지 않습니다. 삼차 함수의 그래프는 그것의 변곡점에 관해 대칭입니다; 즉, 삼차 함수는 변곡점을 중심으로 반 바퀴 회전 아래에서 불변, 즉, 변곡점에 대해 점대칭입니다.

극점 및 변곡점

The roots, stationary points, inflection point and concavity of a cubic polynomial x3 − 3x2 − 144x + 432 (black line) and its first and second derivatives (red and blue).

삼차 함수의 극점은 접선의 함수의 기울기가 영인 점입니다. 따라서 삼차 함수 f의 극점은 삼차 함수의 도함수(derivative)가 영인 것을 만족시킵니다:

만약 이 이차방정식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실근을 가지면, 두 개의 극점이 있으며, 하나는 극댓점이고, 다른 하나는 극솟점입니다. 만약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면, 오직 하나의 임계점이 있으며, 이것은 변곡점(inflection point)입니다. 만약 실근을 가지지 않으면, (실수) 극점은 없습니다. 후자의 두 가지 경우에서, 삼차 함수는 엄격하게 단조적(monotonic), 즉, 증가함수 또는 감소함수입니다.

함수의 변곡점은 해당 함수가 오목성(concavity)을 변경하는 곳입니다. 변곡점은 이차 도함수(second derivative)가 영이고, 삼차 도함수가 비-영일 때 발생합니다 (선행 계수가 영이 아니기 때문에 만족시킵니다).

따라서 삼차 함수는 항상 단일 변곡점이 있으며, 이것은 다음에서 발생합니다:

평행이동과 홀수함수

Cubic functions of the form
The graph of any cubic function is similar to such a curve.

삼차 함수는 변곡점에 대해 대칭이므로, 변곡점을 원점으로 이동하면, 대칭점이 원점인 홀수 함수가 됩니다.

먼저, 일반적인 삼차 함수 -축으로 만큼 평행이동시킵니다.

이것을 전개하면, 결과가 홀수함수가 되므로, 이차항의 계수와 상수항은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선행 계수는 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지 일차항의 계수가 전개될 필요가 있습니다:

삼차함수와 직선

삼차함수가 극대와 극소를 가지려면, 그것의 도함수가 두 개의 실근을 가져야 합니다. 이때, 삼차함수의 극대 또는 극소를 지나면서 -축과 나란히 접선을 생각해 보십시오.

먼저 삼차함수를 로 놓으면, 삼차함수와 에서 접하고 에서 만납니다. 즉, 를 연립방정식을 풀었을 때, (이)중근(실근) 과 또 다른 실근 을 가집니다.

따라서, 삼차함수는 아래와 같이 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삼차함수를 미분하면, 두 개의 실근 를 가집니다.

따라서, 이고, 로 내분하는 점이 임을 의미합니다.

한편, 삼차함수와 에서 접하고 에서 만납니다. 따라서, 삼차함수는 아래와 같이 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삼차함수의 변곡점에 대한 대칭성에 의해, 이고, 로 내분하는 점이 임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삼차함수는 변곡점에 대해 대칭이므로, 극댓점과 극솟점의 중점이 변곡점이 됩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비율 2에 해당하는 부분이 절반씩 나뉘게 됩니다.

이 사실은 극댓점과 극솟점이 아니더라도, 삼차 함수의 위의 한 점과 그 점을 변곡점에 대해 대칭한 점, 두 점으로 바꿔어도 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변곡점은 대칭이동되지 않으므로 이 상황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이 때에는 위와는 다르게 다음과 같이 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삼차 함수, 에서 접하면서 에서 만나므로,

이것을 미분하면,

이때, 이므로, 이 방정식을 만족하는 다른 근이 와 기울기가 같은 -좌표입니다.

식 자체는 위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좌표의 위치도 동일함을 알 수 있고, 따라서 거리비가 같습니다.

두 경우의 비교

위의 두 경우가 달라보이지만, 물론 숫자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같은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경우에서, 다음의 연립방정식의 근이 이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연립방정식의 결과가, 선행 계수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한편, 다음 연립방정식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런 그래프는 두 번째 경우의 그래프로 바뀌게 되는데, 왜냐하면 연립방정식의 결과는 같기 때문이고, 역시 연립방정식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물론, 삼차함수와 일차함수의 식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첫 번째 경우는 극대 또는 극소에 접하고, 두 번째 경우는 극대 또는 극소가 아닌 점에서 접합니다.

변곡점을 통과하는 직선

삼차함수가 극값을 가질 때, 변곡점을 통과하는 직선과 삼차함수는 세 점에서 만납니다 (변곡점에 접하는 직선은 예외적으로 한 곳에서 만납니다). 이때, 삼차함수의 변곡점, 극점 및 교점 사이의 비율 관계가 있습니다.

문제를 단순화하기 하기 위해 평행이동을 해서, 변곡점의 -좌표를 0으로 만들고, 변곡점을 통과하는 직선도 기울기를 0으로 만듭니다.

그림처럼, 삼차함수 는 세 점에서 만나므로, 아래와 같이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제 극값을 구하기 위해, 양쪽 변을 미분하면,

극값은 이 방정식을 0으로 만드는 -좌표이므로,

즉, 그림처럼, 변곡점에서 극솟점까지의 거리, , 변곡점에서 교점까지의 거리, 입니다. 여기서는 변곡점을 원점에 두어서 좌표가 거리로 결정되지만, 다른 경우에는 먼저 거리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 관계는, 삼차함수와 일차 함수의 식이 바뀌더라도, 만나는 좌표가 같기 때문에, 유지됩니다.

삼차함수와 접선 사이의 넓이

이차함수, 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는 일차함수, 사이의 넓이는 다음의 과정으로 구해집니다. 먼저 두 방정식을 연립하면

이것으로부터, 아래와 같이 식을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계산의 편의를 위해, 축으로, 만큼 평행이동해도 넓이는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하려는 넓이는

이차함수와 일차함수의 꼴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두 함수가 만나는 점, 즉, 두 함수를 연립한 의 이차방정식의 실근에 의존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두 이차함수가 두 점에서 만나는 경우도 같은 식을 이용해서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차함수와 유사한 상황이 삼차함수에서 발생합니다.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극점 중 하나에서 접선을 그었을 때, 삼차함수와 접선 사이의 넓이를 생각해 보십시오.

구하려는 넓이는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이것을 계산하는 것은 시간 소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쉬운 계산 방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먼저, 주어진 그림에서 를 원점으로 평행이동하더라도, 넓이는 바뀌지 않습니다. 이것을 식으로 표현하면, 원래 방정식으로부터

여기서 입니다.

평행이동 후의 넙이는 그것의 정적분의 절댓값입니다:

이 상황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접점이 극점이 아닌 접선과 삼차함수가 두 점 에서 만날 때 유지됩니다.

응용예제

응용예제1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가)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나) 방정식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2이다.

일 때, 의 값을 구하시오. [4점] [2020학년도 수능 나형 30번]

해설: mowoum:삼차_함수#응용예제1

응용예제2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삼차함수 와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ㄱ) 곡선 위의 점 에서의 접선과 곡선 위의 점 에서의 접선은 모두 축이다.

(ㄴ) 점 에서 곡선 에 그은 접선의 개수는 2이다.

(ㄷ) 방정식 는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진다.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는 실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라 할 때, 이다. 의 값을 구하시오. (단, 는 유리수이다.) [4점] [2019학년도 수능 나형 30번]

해설: mowoum:삼차_함수#응용예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