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avalieri's principle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Two stacks of coins with the same volume, illustrating Cavalieri's principle in three dimensions

기하학(geometry)에서, 카발리에리의 원리(Cavalieri's principle), 불가분의 방법(method of indivisibles)을 현대적 구현은, 보나벤투라 카발리에리(Bonaventura Cavalieri)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다음과 같습니다:[1]

  • 2-차원 경우: 평면에서 두 영역이 해당 평면에 있는 두 평행 직선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만약 이들 두 직선에 평행한 모든 각 직선이 같은 길이의 선분에서 두 영역을 교차하면, 두 영역은 같은 넓이를 가집니다.
  • 3-차원 경우: 세 공간 (고체)에서 두 영역이 두 평행 평면 사이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만약 이들 두 평면에 평행한 모든 각 평면이 같은 넓이의 교차-단면(cross-sections)에서 두 영역을 교차하면, 두 영역은 같은 부피를 가집니다.

오늘날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적분 미적분(integral calculus)을 향한 초기 단계로 보고, 푸비니의 정리(Fubini's theorem)층 케이크 표현(layer cake representation)의 일반화와 같은 일부 형식에서 사용되지만,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사용한 결과는 적분을 통해 더 직접적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다른 방향에서,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극한을 사용하지만 무한소(infinitesimals)를 사용하지 않는 고대 그리스의 소진의 방법(method of exhaustion)에서 성장했습니다.

History

Bonaventura Cavalieri, the mathematician the principle is named after.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원래 불가분의 방법(method of indivisibles)이라고 불렸으며,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는 그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카발리에리는 그의 Geometria indivisibilibus continuorum nova quadam ratione promota (기하학, 연속체의 불가분에 의해 새로운 방법에서 발전, 1635) 및 그의 Exercitationes geometricae sex (6개의 기하학 연습 문제, 1647)에서 정교화된, 불가분의 완전한 이론을 개발했습니다.[2] 카발리에리의 연구는 원리를 확립했지만, 그의 출판물에서 그는 연속체가 결합된 역설과 종교적 논쟁을 피하기 위한 노력으로 불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부인했었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결과를 찾기 위해 그것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3]

기원전 3세기에서, 아르키메데스는, 카발리에리의 원리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4] 그의 연구 The Method of Mechanical Theorems에서 원뿔과 원기둥의 부피가 주어졌을 때 구의 부피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기원후 5세기에서, 조충지(Zu Chongzhi)와 그의 아들 조긍지(Zu Gengzhi)는 구의 부피를 찾는 유사한 방법을 확립했습니다.[5] 카발리에리의 불가분에서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존 월리스(John Wallis)무한소(infinitesimals)로의 전환은 미적분학의 역사에서 주요한 발전이었습니다. 불가분은 평면 도형은 무한한 숫자의 1-차원 직선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되도록 여차원(codimension) 1의 실체였습니다. 한편, 무한소는 그것들이 구성하는 도형과 같은 차원의 실체였습니다; 따라서, 평면 도형은 극한소 너비의 "평행사변형"으로 만들어집니다. 산술 진행의 합에 대해 공식을 적용하여, 월리스는 삼각형을 너비 1/∞의 극한소 평행사변형으로 분할함으로써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했습니다.

2-dimensional

Cycloids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region bounded by two cycloidal arcs traced by a point on the same circle rolling in one case clockwise on the line below it, and in the other counterclockwise on the line above it, has the same length as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circle.

N. Reed는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사용함으로써 사이클로이드(cycloid)로 둘러싸인 넓이를 찾는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6] 반지름 r의 원은 그것 아래 선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위 선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원 위의 한 점이 두 개의 사이클로이드를 추적합니다. 원이 임의의 특정 거리를 굴렸을 때, 시계 방향으로 돌았을 각도와 반시계 방향으로 돌았을 각도는 같습니다. 따라서 사이클로이드를 추적하는 두 점은 같은 높이에 있습니다. 따라서 그것들을 통과하는 선은 수평입니다 (즉, 원이 굴러가는 두 선에 평행입니다). 결과적으로 원의 각 수평 교차-단면은 사이클로이드의 두 호로 둘러싸인 영역의 대응하는 수평 교차-단면과 같은 길이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카발리에리의 원리에 따라, 원은 해당 영역과 같은 넓이를 가집니다.

단일 사이클로이드 아치를 경계로 하는 직사각형을 생각해 보십시오. 사이클로이드의 정의에서, 그것은 너비 r이고 높이 2r을 가지므로, 그것의 넓이는 원 넓이의 4배입니다. 아치가 직사각형과 만나는 중간 점에서 직사각형을 이등분함으로써 사이클로이드 아치 위에 있는 이 직사각형 내의 넓이를 계산하고, 한 조각을 180° 회전하고 그것과 함께 직사각형의 나머지 절반을 위에 씌웁니다. 넓이가 원의 두 배인 새로운 직사각형은 두 사이클로이드 사이의 "렌즈" 영역으로 구성되며, 그 넓이는 위에서 원의 넓이와 같게 계산되었고, 원래 직사각형에서 사이클로이드 아치 위의 영역을 형성하는 두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사이클로이드의 하나의 완전한 아치 위의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넓이는 원의 넓이와 같고, 아치로 둘러싸인 넓이는 원 넓이의 3배입니다.

3-dimensional

Cones and pyramids

임의의 각뿔(pyramid)의 부피는, 원뿔 (원형 밑면)을 포함하여 밑면의 모양에 관계없이, (1/3) × 밑면 × 높이라는 사실은 한 경우만이라도 그것이 참이라는 것을 알면 카발리에리의 원리에 의해 수립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삼각형 각기둥의 내부를 같은 부피의 3개의 각뿔 구성 요소로 분할함으로써 단일 사례에서 수립할 수 있습니다.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수단으로 이 세 개의 부피의 상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사실, 카발리에리의 원리 또는 유사한 무한소 논증은 원뿔과 심지어 각뿔의 부피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Hilbert's third problem)의 내용입니다 – 다면체 각뿔과 원뿔은 잘라서 표준 모양으로 자르고 재배열될 수 없고, 대신 무한한 (무한소) 수단에 의해 비교되어야 합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들 부피를 계산하기 위해 아르키메데스의 역학 논증 또는 소진의 방법(method of exhaustion)과 같은 다양한 선구적인 기술을 사용했습니다.

Paraboloids

The disk-shap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ipped paraboloid is equal to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ylinder part outside the inscribed paraboloid.

반지름 이고 높이 의 원기둥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 원기둥의 꼭대기는 원기둥의 바닥 면 중심에 있고 밑면은 원기둥의 꼭대기 면인 포물면체(paraboloid) 와 둘레접합니다.

역시, 치수는 같지만 꼭대기와 밑면이 뒤집힌 포물면체 를 생각해 보십시오.

모든 각 높이 에 대해, 뒤집힌 포물면체의 디스크-모양 교차-단면 넓이 는 내접된 포물면체 외부 원기둥 부분의 고리-모양 교차-단면 넓이 와 같습니다.

그러므로, 뒤집힌 포물면체의 부피는 내접된 포물면체 외부 원기둥 부분의 부피와 같습니다. 다시 말해서, 포물면체의 부피는 이며, 그것의 둘레접하는 원기둥의 부피의 절반입니다.

Spheres

The disk-shap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here is equal to the ring-shap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cylinder part that lies outside the cone.

만약 원뿔(cone)의 부피가 라는 것을 안다면,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구(sphere)의 부피가 라는 사실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은 반지름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수행됩니다: 반지름 의 구와 반지름 과 높이 의 원기둥을 생각해 보십시오. 원기둥 내부에는 꼭대기가 원기둥의 한 밑면의 중심에 있고 밑면이 원기둥의 다른 밑면인 원뿔이 있습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ean theorem)에 따르면, "적도" 위의 단위에 위치한 평면은 반지름 과 넓이 의 원에서 구와 교차합니다. 원뿔의 외부에 있는 원기둥의 부분과 평면의 교차 넓이도 입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높이 에 위치한 수평 평면의 구와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 원의 넓이는 해당 평면과 원뿔의 "외부"에 있는 원기둥 부분의 교차의 넓이와 같습니다; 따라서 카발리에리의 원리를 적용하여, 절반 구의 부피는 원뿔 "외부"에 있는 원기둥 부분의 부피와 같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원뿔의 부피는 원기둥 부피의 이고, 따라서 원뿔 외부의 부피는 원기둥 부피의 입니다. 그러므로, 구의 위쪽 절반의 부피는 원기둥 부피의 입니다. 원기둥의 부피는 다음과 같습니다:

("base"은 넓이의 단위에 있습니다; "height"는 거리의 단위에 있습니다. 넓이 × 거리 = 부피.)

그러므로 위쪽 절반-구의 부피는 이고 전체 구의 부피는 입니다.

The napkin ring problem

If a hole of height is drilled straight through the center of a sphere, the volume of the remaining band does not depend on the size of the sphere. For a larger sphere, the band will be thinner but longer.

냅킨 고리 문제(napkin ring problem)라고 불리는 것에서, 카발리에리의 원리에 의해 남아있는 밴드가 높이 인 구의 중심을 통해 직선으로 구멍을 뚫을 때 남아있는 재료의 부피는 놀랍게도 구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남아있는 고리의 교차-단면은 평면 고리-모양이며, 그 넓이는 두 원의 넓이 사이의 차이입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르면, 두 원 중 하나의 넓이는 이며, 여기서 은 구의 반지름이고 는 적도의 평면에서 절단 평면까지의 거리이고, 다른 원의 넓이는 입니다. 이것을 빼면 가 취소됩니다; 따라서 에 대한 최종 답변의 의존성이 없습니다.

See also

  • Fubini's theorem (Cavalieri's principle is a particular case of Fubini's theorem)

References

  1. ^ Howard Eves, "Two Surprising Theorems on Cavalieri Congruence",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volume 22, number 2, March, 1991), pages 118–124
  2. ^ Katz, Victor J. (1998), A History of Mathematics: An Introduction (2nd ed.), Addison-Wesley, p. 477.
  3. ^ Alexander, Amir (2015). Infinitesimal: How a Dangerous Mathematical Theory Shaped the Modern World. Great Britain: Oneworld. pp. 101–103. ISBN 978-1-78074-642-5.
  4. ^ "Archimedes' Lost Method". Encyclopedia Britannica.
  5. ^ Zill, Dennis G.; Wright, Scott; Wright, Warren S. (2009).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3 ed.). Jones & Bartlett Learning. p. xxvii. ISBN 978-0-7637-5995-7. Extract of page 27
  6. ^ Reed, N. (December 1986). "70.40 Elementary proof of the area under a cycloid". The Mathematical Gazette. 70 (454): 290–291. doi:10.2307/3616189. JSTOR i285660.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