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Euclid's lemma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숫자 이론(number theory)에서, 유클리드의 보조정리(Euclid's lemma)는 소수(prime number)의 기본 속성을 포획하는 보조정리(lemma)입니다. 즉:[note 1]

유클리드의 보조정리 — 만약 소수 p가 두 정수 ab의 곱 ab를 나누면, p는 그들 정수 ab 중 적어도 하나를 나누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만약 p = 19, a = 133, b = 143이면, ab = 133 × 143 = 19019이고, 이것은 19에 의해 나뉘므로, 보조정리는 133 또는 143의 하나 또는 둘 다가 마찬가지로 그래야 함을 의미합니다. 사실, 133 = 19 × 7입니다.

본질적으로, 만약 보조정리의 전제가 유지되지 않으면, 즉 p합성수(composite number)이면, 그 결과는 참 또는 거짓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 = 10, a = 4, b = 15의 경우에서, 합성수 10은 ab = 4 × 15 = 60을 나누지만, 10은 4도 15도 나누지 않습니다.

이 속성은 산술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의 증명에서 핵심입니다. [note 2] 그것은 소수 원소(prime element), 소수를 임의의 교환 링(commutative ring)으로의 일반화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유클리드의 보조정리는 정수에서 기약 원소(irreducible element)가 역시 소수 원소임을 보여줍니다. 그 증명은 귀납법(induction)을 사용하므로 그것은 모든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에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Formulations

소수(prime number)로 놓고, 가 두 정수 의 곱을 나누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기호에서 이것은 으로 쓰입니다. 그것의 부정, 를 나누지 않는 것은 로 쓰입니다.) 그런-다음 또는 (또는 둘 다)입니다. 동등한(Equivalent) 명제는 다음입니다:

  • 만약 이면, 입니다.
  • 만약 이면, 입니다.

유클리드의 보조정리는 소수로부터 임의의 정수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Theorem — 만약 이고, 상대적으로 소수(relatively prime)이면, 입니다.

이것은 일반화인데 왜냐하면 만약 이 소수이면, 다음 둘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 또는
  • 와 상대적으로 소수입니다. 이 두 번째 가능성에서, 이므로 입니다.

History

그 보조정리는 유클리드(Euclid)원론(Elements)의 책 VII에서 제안 30으로 처음 나타납니다. 그것은 초등 숫자 이론을 다루는 거의 모든 각 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4][5][6][7][8]

그 보조정리의 정수로의 일반화는 1681년 장 프리스테(Jean Prestet)의 책 New Elements of Mathematics에 나타났습니다.[9]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의 논문 Disquisitiones Arithmeticae에서, 그 보조정리의 명제는 유클리드의 제안 14 (섹션 2)이며, 그는 이것을 정수의 소수 인수의 분해 곱 (정리 16)의 고유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하며, 그 존재를 "명백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이 존재와 고유성으로부터 그는 그런-다음 소수를 정수로의 일반화를 추론합니다.[10] 이러한 이유에 대해, 유클리드의 보조정리의 일반화는 때때로 가우스의 보조정리라고 참조되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 사용법이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이차 잔여에 대한 가우스의 보조정리(Gauss's lemma on quadratic residues)와 혼동되어 때문입니다.[11]

Proof

Proof using Bézout's lemma

보통의 증명은 베주의 항등식(Bézout's identity)이라고 불리는 또 다른 보조정리를 포함합니다.[12] 이것은 만약 xy상대적으로 소수 정수(relatively prime integers)이면 (즉, 그것들이 1과 −1 이외의 공약 약수를 공유하지 않으면), 다음을 만족하는 정수 rs가 존재함을 말합니다:

an을 상대적으로 소수로 놓고, n|ab임을 가정합니다. 베주의 항등식에 의해, 다음을 만드는 rs가 있습니다:

양쪽 변에 b를 곱하면:

왼쪽에서 첫 번째 항은 n으로 나뉘고, 두 번째 항은 ab로 나뉘며, 이것은 가설에 의해 n으로 나뉩니다. 그러므로, 그들의 합, b는 역시 n으로 나뉩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된 유클리드의 보조정리의 일반화입니다.

Proof of Elements

유클리드의 보조정리는 유클리드의 원론(Euclid's Elements)의 책 VII에서 제안 30에서 입증됩니다. 원래 증명은 있는 그대로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우리는 Euclid (1956, pp. 319–332)로부터 주석을 인용합니다.

Proposition 19
만약 네 숫자가 비례하면, 첫 번째와 네 번째에서 생성된 숫자는 두 번째와 세 번째에서 생성된 숫자와 같습니다; 그리고, 만약 첫 번째와 네 번째에서 생성된 숫자가 두 번째와 세 번째에서 생성된 숫자와 같으면, 네 숫자는 비례합니다.[note 3]
Proposition 20
그것들과 같은 비율을 갖는 그것들 중 가장 적은 숫자는 같은 비율을 갖는 그것들과 같은 횟수로 측정합니다–클수록 크고 적을수록 적습니다.[note 4]
Proposition 21
서로 소수는 그것들과 같은 비율을 갖는 숫자 중 가장 작은 숫자입니다.[note 5]
Proposition 29
임의의 소수는 그것이 측정하지 않는 임의의 숫자의 소수입니다.[note 6]
Proposition 30
만약 두 숫자가, 서로 곱함으로써, 같은 숫자를 만들고, 임의의 소수가 그 곱을 측정하면, 역시 원래 숫자 중 하나를 측정합니다.[note 7]
Proof of 30
만약 c, 하나의 소수가 ab를 측정하면, ca 또는 b 중 하나를 측정합니다.
ca를 측정하지 못함을 가정합니다.
그러므로, c, a는 서로 소수입니다.VII. 29
abmc를 가정합니다.
그러므로 c : ab : m. VII. 19
따라서 [VII. 20, 21bnc이며, 여기서 n은 어떤 정수입니다.
그러므로 cb를 측정합니다.
비슷하게, 만약 cb를 측정하지 않으면, ca를 측정합니다.
그러므로 c는 두 숫자 a, b 중 하나 또는 나머지 다른 것을 측정합니다.
Q.E.D.[18]

See also

Footnotes

Notes

  1. ^ It is also called Euclid's first theorem[1][2] although that name more properly belongs to the side-angle-side condition for showing that triangles are congruent.[3]
  2. ^ In general, to show that a domain is a unique factorization domain, it suffices to prove Euclid's lemma and the ascending chain condition on principal ideals (ACCP)
  3. ^ If abcd, then adbc; and conversely.[13]
  4. ^ If abcd, and a, b are the least numbers among those that have the same ratio, then cna, dnb, where n is some integer.[14]
  5. ^ If abcd, and a, b are prime to one another, then a, b are the least numbers among those that have the same ratio.[15]
  6. ^ If a is prime and does not measure b, then a, b are prime to one another.[16]
  7. ^ If c, a prime number, measure ab, c measures either a or b.[17]

Citations

  1. ^ Bajnok 2013, Theorem 14.5
  2. ^ Joyner, Kreminski & Turisco 2004, Proposition 1.5.8, p. 25
  3. ^ Martin 2012, p. 125
  4. ^ Gauss 2001, p. 14
  5. ^ Hardy, Wright & Wiles 2008, Theorem 3
  6. ^ Ireland & Rosen 2010, Proposition 1.1.1
  7. ^ Landau & Goodman 1999, Theorem 15
  8. ^ Riesel 1994, Theorem A2.1
  9. ^ Euclid 1994, pp. 338–339
  10. ^ Gauss 2001, Article 19
  11. ^ Weisstein, Eric W. "Euclid's Lemma". MathWorld.
  12. ^ Hardy, Wright & Wiles 2008, §2.10
  13. ^ Euclid 1956, p. 319
  14. ^ Euclid 1956, p. 321
  15. ^ Euclid 1956, p. 323
  16. ^ Euclid 1956, p. 331
  17. ^ Euclid 1956, p. 332
  18. ^ Euclid 1956, pp. 331−332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