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Family of sets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집합 이론(set theory) 및 관련된 분야에서, 주어진 집합(set) S부분집합(subset)의 모음 FS부분집합의 가족 또는 S에 걸쳐 집합의 가족이라고 합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집합의 모음은 무엇이든지 집합의 가족 또는 집합-가족 또는 집합-시스템이라고 불립니다.

용어 "모음"은 여기에서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일부 문맥에서, 집합의 가족은 임의의 지정된 구성원의 반복된 복사본을 포함하도록 허용될 수 있고,[1][2][3] 다른 문맥에서 그것은 집합이라기보다는 적절한 클래스(proper class)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한 집합 S의 부분집합의 유한 가족은 역시 초월그래프(hypergraph)라고 불립니다.

Examples

  • 거듭제곱 집합 P(S)는 S에 걸쳐 집합의 가족입니다.
  • 집합 Sk-부분집합 S(k) (즉, 부분집합 원소의 숫자를 k로 갖는 S의 부분집합)은 집합의 가족을 형성합니다.
  • S = {a,b,c,1,2}라고 놓습니다. S에 걸쳐 집합의 가족의 예제는 (중복집합(multiset) 의미에서) F = {A1, A2, A3, A4}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A1 = {a,b,c}, A2 = {1,2}, A3 = {1,2} 및 A4 = {a,b,1}입니다.
  • 모든 순서 숫자(ordinal number)의 클래스 Ord는 집합의 가족입니다. 즉, 그것은 집합 자체가 아니지만 대신 적절한 클래스(proper class)입니다.

Properties

Related concepts

수학의 다른 영역에서 가져온 특정 유형의 대상은 순수하게 일부 유형의 대상의 집합의 모음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집합의 가족과 동등합니다:

  • 초그래프(hypergraph)는, 역시 집합 시스템이라고 불리며, 각각 임의적인 집합일 수 있는 또 다른 초가장자리(hyperedges)의 집합과 함께 꼭짓점 집합에 의해 형성됩니다. 초그래프의 초가장자리는 집합의 가족을 형성하고, 임의의 집합의 가족은 꼭짓점으로 집합의 합집합을 가지는 초그래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추상적 단순 복합체(abstract simplicial complex)단순 복합체(simplicial complex), 면을 맞대어 연결된, 선분, 삼각형, 사면체, 및 고차원 심플렉스(simplices)의 합집합에 의해 형성된 모양의 개념의 조합론적 추상화입니다. 추상 단순 복합체에서, 각 심플렉스는 단순히 그것의 꼭짓점의 집합으로 표현됩니다. 가족에서 임의의 집합의 부분집합이 역시 가족에 속해 있는 반복없이 유한 집합의 임의의 가족은 추상적 단순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 발생 구조(incidence structure)의 집합, 의 집합, 및 발생 관계라고 하는 (임의적인) 이항 관계(binary relation)로 구성되며, 어떤 점이 어떤 선에 속하는지 지정합니다. 발생 구조는 집합의 가족 (심지어 둘의 구별되는 선이 같은 점의 집합을 포함하더라도), 각 선에 속하는 점의 집합에 의해 지정될 수 있고, 집합의 임의의 가족은 이러한 방식에서 발생 구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이진 블록 코드(block code)는 코드단어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0과 1, 모두 같은 길이의 문자열(string)입니다. 각 코드단어 쌍이 큰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를 가지면, 그것은 오류-수정 코드(error-correcting code)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블록 코드는 역시 각 코드단어를 1을 포함하는 위치의 집합으로 설명함으로써 집합의 가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은 쌍 (X, τ)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X는 집합 (이라고 함)이고 τ는 X에 걸쳐 집합 (열린 집합이라고 함)의 가족입니다. τ는 빈 집합과 X 자체를 모두 포함해야 하고, 집합 합집합과 유한 집합 교집합 아래에 닫혀 있어야 합니다.

Special types of set families

슈페르너 가족(Sperner family)은 집합 중 어느 것도 다른 집합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가족입니다. 슈페르너의 정리(Sperner's theorem)는 슈페르너 가족의 최대 크기를 경계짓습니다.

헬리 가족(Helly family)은 빈 교집합을 갖는 최소 부분가족이 경계진 크기를 가짐을 만족하는 집합-가족입니다. 헬리의 정리(Helly's theorem)는 경계진 차원의 유클리드 공간에서 볼록 집합이 헬리 가족을 형성한다고 말합니다.

추상적 단순 복합체(abstract simplicial complex)아래방향-닫힌 것인 집합-가족 F입니다. 즉, F에 있는 집합의 모든 각 부분집합은 역시 F에 있습니다. 매트로이드(matroid)증대 속성(augmentation property)이라고 하는 추가 속성을 갖는 추상적 단순 복합체입니다.

Families of sets over
Is necessarily true of
or, is closed under:
Directed
by
F.I.P.
π-system Yes Yes No No No No No No No No
Semiring Yes Yes No No No No No No Yes Never
Semialgebra (Semifield) Yes Yes No No No No No Yes Yes Never
Monotone class No No No No No only if only if No No No
λ-system (Dynkin System) Yes Yes No only if
Yes No only if or
they are disjoint
Yes Yes Never
Ring (Order theory) Yes Yes Yes No No No No No No No
Ring (Measure theory) Yes Yes Yes Yes No No No No Yes Never
δ-Ring Yes Yes Yes Yes No Yes No No Yes Never
𝜎-Ring Yes Yes Yes Yes No Yes Yes No Yes Never
Algebra (Field) Yes Yes Yes Yes Yes No No Yes Yes Never
𝜎-Algebra (𝜎-Field) Y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Yes Never
Dual ideal Yes Yes Yes No No No Yes Yes No No
Filter Yes Yes Yes Never Never No Yes Yes Yes
Prefilter (Filter base) Yes No No Never Never No No No Yes
Filter subbase No No No Never Never No No No Yes
Topology Yes Yes Yes No No No
(even arbitrary unions)
Yes Yes Never
Is necessarily true of
or, is closed under:
directed
downward
finite
intersections
finite
unions
relative
complements
complements
in
countable
intersections
countable
unions
contains contains Finite
Intersection
Property

Additionally, a semiring is a π-system where every complement is equal to a finite disjoint union of sets in
A semialgebra is a semiring that contains
All families are assumed to be non-empty.
are arbitrary elements of


See also

Notes

  1. ^ Brualdi 2010, pg. 322
  2. ^ Roberts & Tesman 2009, pg. 692
  3. ^ Biggs 1985, pg. 89

References

  • Biggs, Norman L. (1985), Discrete Mathematics, Oxford: Clarendon Press, ISBN 0-19-853252-0
  • Brualdi, Richard A. (2010), Introductory Combinatorics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ISBN 0-13-602040-2
  • Roberts, Fred S.; Tesman, Barry (2009), Applied Combinatorics (2nd ed.), Boca Raton: CRC Press, ISBN 978-1-4200-9982-9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