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Polyg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Some polygons of different kinds: open (excluding its boundary), boundary only (excluding interior), closed (including both boundary and interior), and self-intersecting.

기하학(geometry)에서, 다각형(polygon, /ˈpɒlɪɡɒn/)은 닫힌 다각형 체인(polygonal chain) (또는 다각형 회로(polygonal circuit))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된 유한 숫자의 직진 선분(line segment)에 의해 설명되는 평면(plane) 도형(figure)입니다. 경계진 평면 영역(region), 경계짓는 회로, 또는 함께 둘은 다각형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다각형 회로의 선분은 가장자리(edges) 또는 (sides)이라고 불립니다. 둘의 가장자리가 만나는 점은 다각형의 꼭짓점(vertex) 또는 모서리(corners)입니다. 고체 다각형의 내부는 때때로 몸체(body)라고 불립니다. n-각형(n-gon)은 n 변을 갖는 다각형입니다; 예를 들어, 삼각형(triangle)은 3-각형입니다.

단순 다각형(simple polygon)은 자체와 교차하지 않는 다각형입니다. 수학자들은 종종 오직 단순 다각형의 경계짓는 다각형 체인에 관심을 갖고 그들은 이에 따라 다각형을 정의합니다. 다각형 경계는 자체에 걸쳐 교차하는 것을 허용하며, 별 다각형(star polygon) 및 다른 자체-교차하는 다각형(self-intersecting polygons)을 생성합니다.

다각형은 임의의 차원의 숫자에서 보다 일반적인 폴리토프(polytope)의 2-차원 예제입니다. 다른 목적에 대해 정의된 다각형의 많은 보다 일반화가 있습니다.

Etymology

단어 polygon그리스어(Greek) 형용사 πολύς (polús) '많은', '다수의' 및 γωνία (gōnía) '모서리' 또는 '각도'에서 파생됩니다. γόνυ (gónu) '무릅'이 gon의 기원일 수 있다고 제안되어 왔습니다.[1]

Classification

Some different types of polygon

Number of sides

다각형은 주로 변의 숫자에 따라 분류됩니다. 아래 테이블을 참조하십시오.

Convexity and intersection

다각형은 볼록성 또는 비볼록-성의 유형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습니다:

  • 볼록(Convex): 다각형을 통해 그려진 (가장자리 또는 모서리에 접하지 않는) 임의의 직선은 그것의 경계를 정확히 두 번 만납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그것의 내부 각도는 180°보다 작습니다. 동등하게, 경계 위에 끝점을 갖는 임의의 선분은 그것의 끝점 사이의 오직 내부 점을 통과합니다.
  • 비-볼록: 직선이 그것의 경계를 두 번보다 많이 만나는 찾아질 수 있습니다. 동등하게, 다각형 외부를 통과하는 두 경계 점 사이의 선분이 존재합니다.
  • 단순(Simple): 다각형의 경계는 자체와 교차하지 않습니다. 모든 볼록 다각형은 단순입니다.
  • 오목(Concave): 비-볼록과 단순. 180°보다 큰 적어도 하나의 내부 각도가 있습니다.
  • 별-모양(Star-shaped): 전체 내부는 임의의 가장자리 교차없이 적어도 한 점에서 보일 수 있습니다. 다각형은 단순이어야 하고, 볼록 또는 오목일 수 있습니다. 모든 볼록 다각형은 별-모양입니다.
  • 자기-교차하는(Self-intersecting): 다각형의 경계가 자체와 교차합니다. 용어 복잡(complex)이 때때로 단순과 대조적으로 사용되지만, 이 사용법은 둘의 복소(complex) 차원으로 구성하는 복소 힐베르트(Hilbert) 평면에 존재하는 복소 다각형(complex polygon)의 아이디어외 혼동될 위험이 있습니다.
  • 별 다각형(Star polygon): 규칙적으로 자체 교차하는 다각형. 다각형은 별일 수도 없고 별-모양일 수도 없습니다.

Equality and symmetry

정규성의 속성은 다른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다각형은 정규인 것과 그것이 등각형과 등변형 둘 다인 것, 또는 동등하게 순환과 정변 둘 다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비-볼록 정규 다각형은 정규 별 다각형(star polygon)이라고 불립니다.

Miscellaneous

  • 직선(Rectilinear): 다각형의 변이 수직에서 만납니다. 즉, 모든 그것의 내부 각도는 90도 또는 270도입니다.
  • 주어진 직선 L에 관한 단조(Monotone) : L직교(orthogonal)하는 모든 각 직선은 다각형과 두 번보다 많이 교차하지 않습니다.

Properties and formulas

Partitioning an n-gon into n − 2 triangles

유클리드 기하학(Euclidean geometry)이 전체에 가정됩니다.

Angles

임의의 다각형은 변의 수만큼 모서리를 가집니다. 각 모서리는 여러 각도를 가집니다.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다음입니다:

  • 내부 각도(Interior angle) – 단순 n-각형의 내부 각도의 합은 (n − 2)π 라디안(radian) 또는 (n − 2) × 180 도(degrees)입니다. 이것은 단순 n-r각형 (n 변을 가짐)은 (n − 2) 삼각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그것의 각각이 π 라디안 또는 180도의 각도 합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볼록 정규 n-각형의 임의의 내부 각도의 측정은 라디안 또는 도입니다. 정규 별 다각형(star polygon)의 내부 각도는 푸앵소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으며, 그것의 같은 논문에서 그는 넷의 정규 별 다면체(regular star polyhedra)를 설명했으며, 정규 -각형 (중앙 밀도 q를 갖는 p-각형)에 대해, 각 내부 각도는 라디안 또는 도입니다.[2]
  • 외부 각도(Interior angle) – 외부 각도는 내부 각도의 보충 각도(supplementary angle)입니다. 볼록 n-각형을 따라 추적할 때, 모서리에서 "돌린" 각도는 외부 각도입니다. 다각형 주위를 모든 방향으로 추적하면 하나의 완전한 회전(turn)을 만들므로, 외부 각도의 합은 360°여야 합니다. 이 논증은 만약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외부 각도가 회전된 전체에서 빼지면 오목 단순 다각형으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n-각형 주위를 추적하면, 외부 각도의 합 (꼭짓점에서 회전하는 총량)은 360°의 임의의 정수 배수 d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각형(pentagram)의 경우 720°이고 각 "팔" 또는 역-평행사변형(Antiparallelogram)에 대해 0°이며, 여기서 d는 다각형의 밀도(density) 또는 회전하는 숫자(turning number)입니다. 역시 orbit (dynamics)를 참조하십시오.

Area

Coordinates of a non-convex pentagon.

이 섹션에서, 고려 사항 아래에서 다각형의 꼭짓점은 순서대로 로 취합니다. 일부 공식의 편의를 위해, 표기법 (xn, yn) = (x0, y0)이 역시 사용될 것입니다.

만약 다각형이 비-자기-교차하는 것 (즉, 단순(simple))이면, 부호화된 넓이(area)는 다음입니다:

또는, 행렬식(determinant)을 사용하여,

여기서 사이의 제곱된 거리입니다.[3][4]

부호화된 넓이는 꼭짓점의 순서화와 평면의 방향(orientation)의 순서화에 따라 다릅니다. 공통적으로, 양의 방향은 양의 x-축을 양의 y-축에 매핑하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정의됩니다. 만약 꼭짓점이 반시계방향으로 순서화되면 (즉, 양의 방향에 따라), 부호화된 넓이는 양수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음수입니다. 두 경우에서, 넓이 공식은 절댓값(absolute value)에서 정확합니다. 이것은 공통적으로 신발끈 공식(shoelace formula) 또는 측량자의 공식이라고 불립니다.[5]

단순 다각형의 넓이 A는 역시 만약 변의 길이, a1, a2, ..., an외부 각도(exterior angle), θ1, θ2, ..., θn가 알려져 있으면, 다음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습니다:

이 공식은 1963년에 롭시츠(Lopshits)에 의해 기술되었습니다.[6]

만약 다각형이 모든 그것의 꼭짓점이 격자 점임을 만족하는 같은 간격 격자 위에 그려질 수 있으면, 픽의 정리(Pick's theorem)는 내부와 경계 격자 점의 숫자를 기반으로 하는 다각형의 넓이에 대한 간단한 공식: 전자의 숫자 더하기 후자의 숫자의 절반, 빼기 1을 제공합니다.

둘레 p와 넓이 A를 갖는 모든 각 다각형에서, 같은-둘레 부등식(isoperimetric inequality) 이 유지됩니다.[7]

같은 넓이의 임의의 둘의 단순 다각형에 대해, 볼야이–게르빈 정리(Bolyai–Gerwien theorem)는 첫 번째 다각형이 두 번째 다각형을 형성하기 위해 재조립될 수 있는 다각형 조각으로 절단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다각형의 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넓이를 결정하지 않습니다.[8] 어쨌든, 만약 다각형이 단순이고 순환이면, 변은 넓이를 결정합니다.[9] 주어진 변의 길이를 갖는 모든 n-각형 중에서, 가장 큰 넓이를 갖는 것은 순환입니다. 주어진 둘레를 갖는 모든 n-각형 중에서, 가장 큰 넓이를 갖는 것은 정규 (및 따라서 순환)입니다.[10]

Regular polygons

많은 특수 공식이 정규 다각형(regular polygon)의 넓이에 적용됩니다.

정규 다각형의 넓이는 내접된 원(inscribed circle)의 반지름 r과 그것의 둘레 p의 관점에서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이 반지름은 역시 아포팀(apothem)으로 이름-짓고 종종 a로 표시됩니다.

그것의 둘레접된 원(circumscribed circle)의 반지름 R의 관점에서 정규 n-각형의 넓이는 다음처럼 삼각법적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11][12]

s와 내부 각도 를 갖는 단위-반지름 원에서 내접된 정규 n-각형의 넓이는 역시 다음처럼 삼각법적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Self-intersecting

자체-교차하는 다각형(self-intersecting polygon)의 넓이는 다른 답을 제공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 단순 다각형에 대해 공식을 사용하여, 우리는 다각형 내의 특정 영역이 영역의 밀도라고 부르는 인수에 곱해진 그것들의 넓이를 가질 수 있음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오각형의 중심에 있는 중앙의 볼록 오각형은 밀도 2를 가집니다. 교차-사변형의 둘의 삼각형 영역 (그림 8)은 반대-부호화된 밀도를 가지고, 그것들 넓이를 더하면 전체 그림에 대해 영의 총 넓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13]
  • 둘러싸인 영역을 점 집합으로 고려하면, 우리는 둘러싸인 점 집합의 넓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각형에 의해 덮혀진 평면의 넓이 또는 자체-교차하는 것과 같은 윤곽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단순 다각형의 넓이에 해당합니다. 교차-사변형의 경우에서, 그것은 둘의 단순 삼각형으로 취급됩니다.

Centroid

이전 섹션에서와 같이 꼭짓점 좌표에 대해 같은 규칙을 사용하여, 고체 단순 다각형의 도형중심의 좌표는 다음입니다:

이들 공식에서, 넓이 의 부호화된 값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삼각형(triangle) (n = 3)에 대해, 꼭짓점과 고체 모양의 도형중심은 같지만, 일반적으로, 이것은 n > 3에 대해 참이 아닙니다. n 꼭짓점을 갖는 다각형의 꼭짓점 집합의 도형중심(centroid)은 다음 좌표를 가집니다:

Generalizations

다각형의 아이디어는 다양한 방법에서 일반화되어 왔습니다. 보다 중요한 몇 가지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Naming

단어 polygon후기 라틴어(Late Latin) polygōnum (명사), 그리스어(Greek) πολύγωνον (polygōnon/polugōnon), πολύγωνος (polygōnos/polugōnos, 남성형 형용사)의 중성의 명사 사용에서 유래하며, "많은-각도"를 의미합니다. 개별 다각형은 변의 숫자에 따라 이름-지정 (때때로 분류)되며, 그리스어-파생된 숫자 접두사(numerical prefix)와 접미사 -gon을 조합하여, 예를 들어, 오각형(pentagon), 십이각형(dodecagon) 등이 있습니다. 삼각형(triangle), 사변형(quadrilateral)비각형(nonagon)은 예외입니다.

십각형 (10-변) 및 십이각형 (12-변) 외에도, 수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수치적 표기법, 예를 들어, 17-각형 및 257-각형을 사용합니다.[16]

예외는 구두 형식 (예를 들어, 20 및 30)으로 쉽게 표현되거나 수학자가 아닌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변 카운트에 대해 존재합니다. 일부 특수 다각형은 역시 그것들의 고유한 이름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정규(regular) 별(star) 오각형(pentagon)은 역시 펜터그램(pentagra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각형 이름과 기타 속성
이름 속성
monogon 1 일반적으로 다각형으로 인식되지는 않지만,[17] 그래프 이론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 때때로 이 용어를 사용합니다.[18]
digon 2 일반적으로 유클리드 평면에서 다각형으로 인식되지 않지만, 그것은 구형 다각형(spherical polygon)으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19]
triangle (or trigon) 3 유클리드 평면에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그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습니다.
quadrilateral (or tetragon) 4 자체와 교차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오목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비-순환일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그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습니다.
pentagon 5 [20] 정규 별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별 오각형은 펜터그램(pentagram) 또는 펜터클(pentacle)로 알려져 있습니다.
hexagon 6 [20] 그 평면을 타일링(tile)할 수 있습니다.
heptagon (or septagon) 7 [20] 정규 형식이 컴퍼스와 직선자(compass and straightedge)구성-가능(constructible)이 아님을 만족하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어쨌든, 그것은 뉴시스 구성(neusis construction)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습니다.
octagon 8 [20]
nonagon (or enneagon) 9 [20]"Nonagon"은 라틴어 [novem = 9]를 그리스어와 혼합합니다; "enneagon"은 순수한 그리스어입니다.
decagon 10 [20]
hendecagon (or undecagon) 11 [20] 정규 형식이 컴퍼스, 직선자, 및 각도 삼등분(angle trisector)으로 구성될 수 없음을 만족하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 어쨌든, 그것은 뉴시스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21]
dodecagon (or duodecagon) 12 [20]
tridecagon (or triskaidecagon) 13 [20]
tetradecagon (or tetrakaidecagon) 14 [20]
pentadecagon (or pentakaidecagon) 15 [20]
hexadecagon (or hexakaidecagon) 16 [20]
heptadecagon (or heptakaidecagon) 17 구성-가능 다각형[16]
octadecagon (or octakaidecagon) 18 [20]
enneadecagon (or enneakaidecagon) 19 [20]
icosagon 20 [20]
icositrigon (or icosikaitrigon) 23 정규 형식이 뉴시스(neusis)로 구성될 수 없음을 만족하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22][21]
icositetragon (or icosikaitetragon) 24 [20]
icosipentagon (or icosikaipentagon) 25 정규 형식이 뉴시스로 구성될 수 있는지 여부가 알려져 있지 않음을 만족하는 가장 단순한 다각형입니다.[22][21]
triacontagon 30 [20]
tetracontagon (or tessaracontagon) 40 [20][23]
pentacontagon (or pentecontagon) 50 [20][23]
hexacontagon (or hexecontagon) 60 [20][23]
heptacontagon (or hebdomecontagon) 70 [20][23]
octacontagon (or ogdoëcontagon) 80 [20][23]
enneacontagon (or enenecontagon) 90 [20][23]
hectogon (or hecatontagon)[24] 100 [20]
257-gon 257 구성-가능 다각형[16]
chiliagon 1000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25]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26] 데이비드 흄(David Hume)[27] 포함한 철학자들은 토론에서 천각형(chiliagon)을 예제로 사용해 왔습니다.
myriagon 10,000 예를 들어 데카르트의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에서 일부 철학적 토론에서 예제로 사용됨
65537-gon 65,537 구성-가능 다각형[16]
megagon[28][29][30] 1,000,000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의 천각형(chiliagon)의 예제와 같이, 백만-변 다각형은 시각화될 수 없는 잘-정의된 개념의 삽화로 사용되어 왔습니다.[31][32][33][34][35][36][37] 메가곤은 역시 정규 다각형(regular polygon)이 원으로 수렴하는 삽화로 사용됩니다.[38]
apeirogon 무한하게 많은 변의 퇴화 다각형.

20보다 많고 100보다 작은 가장자리를 갖는 다각형의 이름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접두사를 조합합니다.[20] "kai" 용어는 13-각형과 그 이상에 적용되고 케플러(Kepler)에 의해 사용되었고 준-정규 다면체(quasiregular polyhedra)의 이름-짓는 것에서 연결된 접두사 숫자의 명확성을 위해 존 콘웨이(John H. Conway)에 의해 옹호되었지만,[24] 모든 출처가 그것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Tens and Ones final suffix
-kai- 1 -hena- -gon
20 icosi- (icosa- when alone) 2 -di-
30 triaconta- (or triconta-) 3 -tri-
40 tetraconta- (or tessaraconta-) 4 -tetra-
50 pentaconta- (or penteconta-) 5 -penta-
60 hexaconta- (or hexeconta-) 6 -hexa-
70 heptaconta- (or hebdomeconta-) 7 -hepta-
80 octaconta- (or ogdoëconta-) 8 -octa-
90 enneaconta- (or eneneconta-) 9 -ennea-

History

Historical image of polygons (1699)

다각형은 고대 이래로 알려져 왔습니다. 정규 다각형(regular polygon)은 비-볼록 정규 다각형 (별 다각형), 펜타그램(pentagram)으로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졌으며, 기원전 7세기에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에 의한 카에레(Caere)에서 발견되었고 현재 카피톨리누스 박물관(Capitoline Museum)에 있는 크라테르(krater)에 나타납니다.[39][40]

일반적으로 비-볼록 다각형의 최초의 알려진 시스템적인 연구는 14세기 토머스 브래드워딘(Thomas Bradwardine)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41]

1952년, 제프리 콜린 셰퍼드(Geoffrey Colin Shephard)는 각 실수(real) 차원이 복소 다각형(complex polygons)을 만들기 위해 허수(imaginary) 차원에 수반되는 복소 평면으로 다각형의 아이디어를 일반화했습니다.[42]

In nature

The Giant's Causeway, in Northern Ireland

다각형은 수정(crystal)의 평평한 패싯으로 가장 공통적으로 암석에서 나타나며, 여기서 변 사이의 각도는 수정이 만들어지는 광물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정규 육각형은 용암(lava)의 냉각이 빽빽하게 채워진 현무암(basalt) 기둥 영역을 형성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북아일랜드자이언츠 코즈웨이캘리포니아데빌스 포스트파일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생물학(biology)에서, 꿀벌(bee)에 의해 만들어진 밀랍 벌집(honeycomb)의 표면은 육각형(hexagon)의 배열이고, 각 셀의 변과 밑변은 역시 다각형입니다.

Computer graphics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s)에서, 다각형은 모델링과 렌더링에 사용되는 원시(primitive)입니다. 그것들은 꼭짓점(vertices)의 배열 (기하학적 꼭짓점(geometrical vertices)의 좌표뿐만 아니라, 색상, 음영 및 질감과 같은 다각형의 다른 속성), 연결성 정보, 및 재료(materials)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정의됩니다.[43][44]

임의의 표면은 다각형 그물(polygon mesh)이라는 테셀레이션으로 모델링됩니다. 만약 정사각형 메쉬가 변당 n + 1 점 (꼭짓점)을 가지면, 메쉬에서 n 제곱된 정사각형이 있거나, 정사각형에 두 개의 삼각형이 있기 때문에 2n 제곱된 삼각형이 있습니다. 삼각형당 (n + 1)2 / 2(n2) 꼭짓점이 있습니다. n이 크면, 이것은 1/2에 가까워집니다. 또는, 정사각형 메쉬 내부의 각 꼭짓점은 넷의 가장자리 (직선)를 연결합니다.

이미징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장면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다각형의 구조를 불러옵니다. 이것은 활성 메모리로 전송되고 마지막으로 장면이 보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시스템 (스크린, TV 모니터, 등)으로 전송됩니다. 이 과정 동안, 이미징 시스템은 처리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송할 준비가 된 올바른 원근법으로 다각형을 렌더링합니다. 비록 다각형은 이차원일지라도, 시스템 컴퓨터를 통해 그것들은 올바른 삼-차원 방향으로 시각적 장면에 배치됩니다.

컴퓨터 그래픽과 계산 기하학(computational geometry)에서, 종종 주어진 점 는 일련의 선분으로 지정된 단순 다각형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것은 다각형에서 점(point in polygon) 테스트라고 불립니다.[45]

See also

References

Bibliography

  • Coxeter, H.S.M.; Regular Polytopes, Methuen and Co., 1948 (3rd Edition, Dover, 1973).
  • Cromwell, P.; Polyhedra, CUP hbk (1997), pbk. (1999).
  • Grünbaum, B.; Are your polyhedra the same as my polyhedra? Discrete and comput. geom: the Goodman-Pollack festschrift, ed. Aronov et al. Springer (2003) pp. 461–488. (pdf)

Notes

  1. ^ Craig, John (1849). A new universal etymological technological, and pronouncing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Oxford University. p. 404. Extract of p. 404
  2. ^ Kappraff, Jay (2002). Beyond measure: a guided tour through nature, myth, and number. World Scientific. p. 258. ISBN 978-981-02-4702-7.
  3. ^ B.Sz. Nagy, L. Rédey: Eine Verallgemeinerung der Inhaltsformel von Heron. Publ. Math. Debrecen 1, 42–50 (1949)
  4. ^ Bourke, Paul (July 1988). "Calculating The Area And Centroid Of A Polygon" (PDF). Retrieved 6 Feb 2013.
  5. ^ Bart Braden (1986). "The Surveyor's Area Formula" (PDF).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17 (4): 326–337. doi:10.2307/2686282. JSTOR 268628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11-07.
  6. ^ A.M. Lopshits (1963). Computation of areas of oriented figures. translators: J Massalski and C Mills Jr. D C Heath and Company: Boston, MA.
  7. ^ "Dergiades, Nikolaos, "An elementary proof of the isoperimetric inequality", Forum Mathematicorum 2, 2002, 129–130" (PDF).
  8. ^ Robbins, "Polygons inscribed in a circl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2, June–July 1995.
  9. ^ Pak, Igor (2005). "The area of cyclic polygons: recent progress on Robbins' conjectures". Advances in Applied Mathematics. 34 (4): 690–696. arXiv:math/0408104. doi:10.1016/j.aam.2004.08.006. MR 2128993. S2CID 6756387.
  10. ^ Chakerian, G. D. "A Distorted View of Geometry." Ch. 7 in Mathematical Plums (R. Honsberger, editor).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979: 147.
  11. ^ Area of a regular polygon - derivation from Math Open Reference.
  12. ^ A regular polygon with an infinite number of sides is a circle: .
  13. ^ De Villiers, Michael (January 2015). "Slaying a geometrical 'Monster': finding the area of a crossed Quadrilateral" (PD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2015 (18): 23–28.
  14. ^ Coxeter (3rd Ed 1973)
  15. ^ Günter Ziegler (1995). "Lectures on Polytopes". Springer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ISBN 978-0-387-94365-7. p. 4.
  16. ^ a b c d Mathworld
  17. ^ Grunbaum, B.; "Are your polyhedra the same as my polyhedra",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the Goodman-Pollack Festschrift, Ed. Aronov et al., Springer (2003), p. 464.
  18. ^ Hass, Joel; Morgan, Frank (1996), "Geodesic nets on the 2-spher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24 (12): 3843–3850, doi:10.1090/S0002-9939-96-03492-2, JSTOR 2161556, MR 1343696.
  19. ^ Coxeter, H.S.M.; Regular polytopes, Dover Edition (1973), p. 4.
  20.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Salomon, David (2011). The Computer Graphics Manual.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88–90. ISBN 978-0-85729-886-7.
  21. ^ a b c Benjamin, Elliot; Snyder, C. Mathematical Proceeding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156.3 (May 2014): 409-424.; https://dx.doi.org/10.1017/S0305004113000753
  22. ^ a b Arthur Baragar (2002) Constructions Using a Compass and Twice-Notched Straightedge,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9:2, 151-164, doi:10.1080/00029890.2002.11919848
  23. ^ a b c d e f The New Elements of Mathematics: Algebra and Geometry by Charles Sanders Peirce (1976), p.298
  24. ^ a b "Naming Polygons and Polyhedra". Ask Dr. Math. The Math Forum – Drexel University. Retrieved 3 May 2015.
  25. ^ Sepkoski, David (2005). "Nominalism and constructivism in seventeenth-century mathematical philosophy". Historia Mathematica. 32: 33–59. doi:10.1016/j.hm.2003.09.002.
  26. ^ Gottfried Martin (1955), Kant's Metaphysics and Theory of Scienc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 22.
  27. ^ David Hume, The Philosophical Works of David Hume, Volume 1, Black and Tait, 1826, p. 101.
  28. ^ Gibilisco, Stan (2003). Geometry demystified (Online-Ausg. ed.). New York: McGraw-Hill. ISBN 978-0-07-141650-4.
  29. ^ Darling, David J., The universal book of mathematics: from Abracadabra to Zeno's paradoxes, John Wiley & Sons, 2004. p. 249. ISBN 0-471-27047-4.
  30. ^ Dugopolski, Mark, College Algebra and Trigonometry, 2nd ed, Addison-Wesley, 1999. p. 505. ISBN 0-201-34712-1.
  31. ^ McCormick, John Francis, Scholastic Metaphysics, Loyola University Press, 1928, p. 18.
  32. ^ Merrill, John Calhoun and Odell, S. Jack, Philosophy and Journalism, Longman, 1983, p. 47, ISBN 0-582-28157-1.
  33. ^ Hospers, John, An Introduction to Philosophical Analysis, 4th ed, Routledge, 1997, p. 56, ISBN 0-415-15792-7.
  34. ^ Mandik, Pete, Key Terms in Philosophy of Mind,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0, p. 26, ISBN 1-84706-349-7.
  35. ^ Kenny, Anthony, The Rise of Moder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p. 124, ISBN 0-19-875277-6.
  36. ^ Balmes, James, Fundamental Philosophy, Vol II, Sadlier and Co., Boston, 1856, p. 27.
  37. ^ Potter, Vincent G., On Understanding Understanding: A Philosophy of Knowledge, 2nd ed, Fordham University Press, 1993, p. 86, ISBN 0-8232-1486-9.
  38. ^ Russell, Bertrand,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reprint edition, Routledge, 2004, p. 202, ISBN 0-415-32505-6.
  39. ^ Heath, Sir Thomas Little (1981),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Volume 1, Courier Dover Publications, p. 162, ISBN 978-0-486-24073-2. Reprint of original 1921 publication with corrected errata. Heath uses the Latinized spelling "Aristophonus" for the vase painter's name.
  40. ^ Cratere with the blinding of Polyphemus and a naval battle Archived 2013-11-12 at the Wayback Machine, Castellani Halls, Capitoline Museum, accessed 2013-11-11. Two pentagrams are visible near the center of the image,
  41. ^ Coxeter, H.S.M.; Regular Polytopes, 3rd Edn, Dover (pbk), 1973, p. 114
  42. ^ Shephard, G.C.; "Regular complex polytopes", Proc. London Math. Soc. Series 3 Volume 2, 1952, pp 82-97
  43. ^ "opengl vertex specification".
  44. ^ "direct3d rendering, based on vertices & triangles".
  45. ^ Schirra, Stefan (2008). "How Reliable Are Practical Point-in-Polygon Strategies?". In Halperin, Dan; Mehlhorn, Kurt (eds.). Algorithms - ESA 2008: 16th Annual European Symposium, Karlsruhe, Germany, September 15-17, 2008, Proceeding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 5193. Springer. pp. 744–755. doi:10.1007/978-3-540-87744-8_62.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