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Skew-symmetric matrix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 특히 선형 대수(linear algebra)에서, 반-대칭(skew-symmetric 또는 antisymmetric 또는 antimetric[1]) 행렬은 그 전치(transpose)가 그것의 음수와 같은 정사각 행렬입니다. 즉, 그것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킵니다:[2]: p. 38 

행렬의 엔트리의 관점에서, 만약 -번째 행과 -번째 열에 있는 엔트리를 나타내면, 반-대칭 조건은 다음과 동등합니다:

Example

다음 행렬은

반대칭인데 왜냐하면

Properties

전체에 걸쳐, 우리는 모든 행렬 엔트리가 그 특성(characteristic)이 2와 같지 않은 필드(field) 에 속한다고 가정합니다. 즉, 1 + 1 ≠ 0이라고 가정하며, 여기서 1은 주어진 필드의 곱셈 항등식을 나타내고 0은 덧셈 항등식을 나타냅니다. 만약 필드의 특성이 2이면, 반-대칭 행렬은 대칭 행렬(symmetric matrix)과 같은 것입니다:

  • 두 반-대칭 행렬의 합은 반-대칭입니다.
  • 반-대칭 행렬의 스칼라 배수는 반-대칭입니다.
  • 반-대칭 행렬의 대각선 위에 있는 원소는 영이고, 따라서 그것의 대각합(trace)은 영과 같습니다.
  • 만약 가 실수 반-대칭 행렬이고 가 실수 고윳값(eigenvalue)이면, , 즉. 반-대칭 행렬의 비-영 고윳값은 비-실수입니다.
  • 만약 가 실수 반-대칭 행렬이면, 역가능(invertible)이며, 여기서 는 항등 행렬입니다.
  • 만약 가 반-대칭 행렬이면, 은 대칭 음수 반-항정 행렬(negative semi-definite matrix)입니다.

Vector space structure

위의 처음 두 속성의 결과로, 고정된 크기의 모든 반-대칭 행렬의 집합은 벡터 공간(vector space)을 형성합니다. 반-대칭 행렬의 공간은 차원(dimension) 을 가집니다.

행렬의 공간을 나타낸다고 놓습니다. 반-대칭 행렬은 스칼라 (주요 대각선 위쪽 편에 있는 엔트리의 개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대칭 행렬(symmetric matrix) 스칼라 (주요 대각선 위에 또는 위쪽 편에 있는 엔트리의 개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반-대칭 행렬의 공간을 나타내고 대칭 행렬의 공간을 나타낸다고 놓습니다. 만약 이면,

를 주목하십시오. 이것은 그 특성(characteristic)이 2와 다른 임의의 필드(field)로부터 엔트리를 갖는 모든 각 정사각 행렬에 대해 참입니다. 그런-다음, 이기 때문에, 여기서 직접 합(direct sum)을 나타냅니다.

위에 표준 안의 곱(inner product)에 의해 나타냅니다. 실수 행렬 가 반-대칭인 것과 다음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이것은 역시 모든 에 대해 와 동등합니다 (한 가지 의미는 명백하고, 다른 하나는 모든 에 대해 의 평범한 결과입니다).

이 정의는 기저(basis)의 선택과 무관하므로, 반-대칭은 선형 연산자(linear operator) 안의 곱(inner product)의 선택에만 의존하는 속성입니다.

반-대칭 행렬은 교차 곱(cross products)을 행렬 곱셈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만약 가 반-대칭 (또는 반-에르미트) 행렬이면, 몯 에 대해 입니다.

Determinant

반-대칭 행렬이라고 놓습니다. 행렬식(determinant)은 다음을 만족시킵니다:

특히, 이 홀수이고, 놓여있는 필드가 특성 2의 것이 아니므로, 행렬식은 사라집니다. 따라서, 모든 홀수 차원 반-대칭 행렬은 그 행렬식이 항상 영이기 때문에 특이 행렬입니다. 이 결과는 카를 구스타프 야코비(Carl Gustav Jacobi) (Eves, 1980)의 이름을 따서 야코비의 정리(Jacobi’s theorem)라고 불립니다.

짝수-차원의 경우가 더 흥미 롭습니다. 그것은 짝수 에 대한 의 행렬식은 케일리에 의해 처음 입증된 의 엔트리에서 다항식(polynomial)의 제곱으로 쓸 수 있음이 밝혀졌습니다:[3]

이 다항식은 파피안(Pfaffian)이라고 불리고 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실수 반-대칭 행렬의 행렬식은 항상 비-음수입니다. 어쨌든, 이 마지막 사실은 다음과 같은 기본 방법으로 입증될 수 있습니다: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순수한 허수이고 (아래 참조) 같은 중복도를 갖는 켤레 고윳값은 모든 각 고윳값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행렬식은 고윳값의 곱이므로, 각 고윳값은 그것의 중복에 따라 반복되며, 행렬식은 0이 아니면 그것은 양의 실수임이 따라옵니다.

차수 의 반-대칭 행렬의 행렬식의 확장에서 구별되는 항 의 개수는 케일리, 실베스터, 및 파프에 의해 이미 고려되어 왔습니다. 취소로 인해, 이 숫자는 인 차수 의 일반 행렬의 항 개수와 비교할 때 매우 작습니다. 수열 (OEIS에서 수열 A002370)은 다음과 같습니다:

1, 0, 1, 0, 6, 0, 120, 0, 5250, 0, 395010, 0, …

그리고 그것은 지수 생성 함수(exponential generating function)로 인코딩됩니다:

후자는 (짝수 에 대해) 점근선으로 산출합니다:

양수 항과 음수 항의 개수는 전체의 대략적으로 절반이지만, 이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점 더 커집니다 (OEIS에서 수열 A167029).

Cross product

3×3 반-대칭 행렬은 교차 곱을 행렬 곱셈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벡터 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런-다음 다음 행렬을 정의하여

교차 곱은 다음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전 방정식의 양쪽 변을 계산하고 결과의 각 해당 원소를 비교함으로써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다음을 가집니다:

즉, 반-대칭 3×3 행렬의 교환자는 3-벡터의 교차-곱으로 식별될 수 있습니다. 반-대칭 3×3 행렬은 회전 그룹 리 대수(Lie algebra)이기 때문에, 이것은 3-공간 , 교차 곱 및 3-차원 회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무한소 회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Spectral theory

행렬은 자신의 전치와 닮은(similar) 것이므로, 그것들은 같은 고윳값을 가져야 합니다.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eigenvalues)은 항상 ±λ 쌍으로 나타난다 (추가적인 짝-없는 0 고윳값이 있는 홀수-차원의 경우를 제외)는 것이 따라옵니다. 스펙트럼 정리(spectral theorem)에서, 실수 반-대칭 대칭 행렬에 대해, 비-영 고윳값은 모두 순수한 허수이고 따라서 형식이며, 여기서 각 는 실수입니다.

실수 반-대칭 행렬은 정규 행렬(normal matrices, 인접과 교환함)이고 따라서 임의의 실수 반-대칭 행렬은 유니태리 행렬(unitary matrix)에 의해 대각화될 수 있다고 말하는 스펙트럼 정리의 적용을 받습니다. 실수 반-대칭 행렬의 고윳값은 허수이므로, 실수 행렬에 의해 대각화될 수 없습니다. 어쨌든, 특수 직교 변환(special orthogonal transformation)을 통해 모든 각 반-대칭 행렬을 블록 대각(block diagonal) 형식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4][5] 구체적으로 특히, 모든 각 실수 반-대칭 행렬은 형식으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는 직교이고 실수 양수-한정 에 대해 다음과 같습니다:

이 행렬의 비-영 고윳값은 ±λk i입니다. 홀수-차원의 경우에서, 는 항상 영의 적어도 하나의 행과 열을 가집니다.

더 일반적으로, 모든 각 복소수 반-대칭 행렬은 형식으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는 유니태리이고 는 위에 주어진 블록-대각 형식을 가지며 는 여전히 실수 양수-한정입니다. 이것은 복소 정사각 행렬의 율라(Youla) 분해의 예입니다.[6]

Skew-symmetric and alternating forms

임의적인 특성의 필드(field) 에 걸쳐 벡터 공간(vector space) 위에 반-대칭 형식(skew-symmetric form) 에서 모든 에 대해 다음임을 만족하는

다음과 같은 쌍선형 형식(bilinear form)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은 2와 같지 않은 특성의 필드에 걸쳐 벡터 공간에 대한 바람직한 속성을 갖는 형식을 정의하지만, 특성 2의 필드에 걸쳐 벡터 공간에서, 그 정의가 대칭 형식의 정의와 동일한데, 왜냐하면 모든 각 원소는 자체의 덧셈 역이기 때문입니다.

벡터 공간(vector space) 가 특성 2를 포함하는 임의적인 특성(characteristic)의 필드에 걸쳐 있는 곳에서, 에서 모든 벡터 에 대해 다음임을 만족하는 쌍선형 형식 교대하는 형식(alternating form)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필드가 특성 2가 아닐 때 반-대칭 형태와 동등하며, 다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쌍선형 형식 는 일단 기저(basis)가 선택되면 임을 만족하는 행렬 로 표시될 것이고, 반대로 위의 행렬 에 보내는 형식을 생성합니다. 대칭 형식, 반-대칭 형식, 및 교대 형식 각각에 대해, 나타내는 행렬은 각각 대칭 형식, 반-대칭 형식, 및 교대 형식입니다.

Infinitesimal rotations

Lua error in Module:TNT at line 167: Missing Commons dataset I18n/Module:TNT.tab.

Coordinate-free

보다 본질적으로 (즉, 좌표를 사용 없이), 안의 곱(inner product)을 갖는 벡터 공간 위에 반-대칭 선형 변환은 단순한 이중-벡터 (2-블레이드) 의 합인 공간 위에 이중벡터(bivectors)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대응 관계는 맵 에 의해 제공되며, 여기서 는 벡터 에 대한 코벡터 이중입니다; 직교정규 좌표에서 이것들은 정확히 기본 반-대칭 행렬입니다. 이 특성화는 벡터 필드 (당연히 2-벡터)의 컬(curl)을 무한소 회전 또는 "컬(curl)"로 해석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그 이름입니다.

Skew-symmetrizable matrix

행렬 가 반-대칭임을 만족하는 역가능 대각 행렬(diagonal matrix) 가 존재하면 반-대칭가능(skew-symmetrizable)이라고 말합니다. 실수 행렬에 대해, 때때로 에 대해 양수 엔트리를 갖기 위한 조건이 추가됩니다.[7]

See also

References

  1. ^ Richard A. Reyment; K. G. Jöreskog; Leslie F. Marcus (1996). Applied Factor Analysis in the Natur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8. ISBN 0-521-57556-7.
  2. ^ Lipschutz, Seymour; Lipson, Marc (September 2005). Schaum's Outline of Theory and Problems of Linear Algebra. McGraw-Hill. ISBN 9780070605022.
  3. ^ Cayley, Arthur (1847). "Sur les determinants gauches" [On skew determinants]. Crelle's Journal. 38: 93–96. Reprinted in Cayley, A. (2009). "Sur les Déterminants Gauches". The Collected Mathematical Papers. Vol. 1. pp. 410–413. doi:10.1017/CBO9780511703676.070. ISBN 978-0-511-70367-6.
  4. ^ Voronov, Theodore. Pfaffian, in: Concise Encyclopedia of Supersymmetry and Noncommutative Structures in Mathematics and Physics, Eds. S. Duplij, W. Siegel, J. Bagger (Berlin, New York: Springer 2005), p. 298.
  5. ^ Zumino, Bruno (1962). "Normal Forms of Complex Matrices".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3 (5): 1055–1057. Bibcode:1962JMP.....3.1055Z. doi:10.1063/1.1724294.
  6. ^ Youla, D. C. (1961). "A normal form for a matrix under the unitary congruence group". Can. J. Math. 13: 694–704. doi:10.4153/CJM-1961-059-8.
  7. ^ Fomin, Sergey; Zelevinsky, Andrei (2001). "Cluster algebras I: Foundations". arXiv:math/0104151v1.

Further reading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