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haracterizations of the exponential func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에서, 지수 함수(exponential function)는 여러 방법으로 특성화(characterized)될 수 있습니다. 다음 특성화 (정의)가 가장 공통적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각 특성화가 의미가 있는 이유와 특성화가 서로 독립적이고 동등한(equivalent)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들 고려 사항의 특별한 경우로서, 수학 상수 에 대해 주어진 세 가지 가장 공통적인 정의가 서로 동등하다는 것이 입증될 것입니다.

Characterizations

실수 x에 대해 지수 함수 exp(x) = ex의 6가지 가장 공통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ex극한(limit)에 의해 정의합니다:
  2. ex무한 급수(infinite series)의 값으로 정의합니다: (여기서 n!n팩토리얼(factorial)을 나타냅니다. 하나의 e는 무리수라는 증명(proof that e is irrational)은 이 공식의 특별한 경우를 사용합니다.)
  3. ex를 다음을 만족하는 고유한 숫자 y > 0로 정의합니다: 이것은 적분에 의해 정의되는 자연 로그(natural logarithm) 함수의 역함수입니다.
  4. ex초기 값 문제(initial value problem)에 대한 고유한 해로 정의합니다: (여기서, yy도함수(derivative)를 나타냅니다.)
  5. 지수 함수 ex는 다음 추가적인 조건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키는 모든 xy에 대해 f(1) = ef(x + y) = f(x) f(y)를 갖는 고유한 함수 f입니다:
    • f르베그-측정가능(Lebesgue-measurable)입니다 (Hewitt and Stromberg, 1965, exercise 18.46).
    • f는 적어도 하나의 점에서 연속(continuous)입니다 (Rudin, 1976, chapter 8, exercise 6). (아래에 보인 것처럼, 만약 모든 xy에 대해 f(x + y) = f(x) f(y)이고, f임의의 단일 점에서 연속이면, f는 반드시 모든 점에서 연속입니다.)
    • f증가하는(increasing) 것입니다. (유리수에 대한 ex와 일치하는 증가 함수는 ex와 같아야 합니다.)
    고유성에 대해, 위의 그것들과 같은 몇 가지 추가 조건을 부과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Hewitt와 Stromberg에 의해 설명된 것처럼 다른 함수가 유리수에 걸쳐 실수에 대한 기저(basis for the real numbers over the rationals)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역시 f(1) = e와 "추가 조건"을 단일 조건 f′(0) = 1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6. e를 다음을 만족시키는 고유한 양의 실수로 놓습니다: 이 극한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ex를 이 기저를 갖는 지수 함수로 정의합니다. 이 정의는 특히 지수 함수의 도함수를 계산하는 데 적합합니다.

Larger domains

실수 도메인보다 더 큰 도메인에 대해 지수 함수를 정의하는 한 가지 방법은 먼저 위의 특성화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실수 도메인에 대해 지수 함수를 정의하고 그런-다음 임의의 해석적 함수(analytic function)에 대해 작동하는 방법에서 더 큰 도메인으로 확장하는 것입니다.

일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더 큰 도메인에 대해 직접 특성화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2), 및 (4)는 모두 임의적인 바나흐 대수(Banach algebras)에 적합합니다. (3)은 적분할 수 있는 경로를 따라 비-동등한 경로가 있기 때문에 복소수에 대해 문제를 제시하고, (5)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으로 ( 실수에 대해) 정의된 함수 의 지수 함수가 되지 않고 (5)에서 조건을 만족시킵니다. 복소수의 도메인에 대해 (5)를 충분으로 만들기 위해, 우리는 등각 맵(conformal map)인 점이 존재한다고 규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음임을 규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 (5)에서 대안적인 조건은 가 등각임을 암시적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충분입니다.

Proof that each characterization makes sense

이들 정의 중 일부는 그것들이 잘-정의되었음(well-defined)을 시연하기 위해 정당성을 요구합니다. 예를 들어, 함수의 값이 극한하는 과정(limiting process) (즉, 무한 수열(infinite sequence) 또는 급수(series))의 결과로 정의될 때, 그러한 제한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시연해야 합니다.

Characterization 2

다음이기 때문에, 가 모든 에 대해수렴한다는 비율 테스트(ratio test)에서 따릅니다.

Characterization 3

피적분이 적분-가능 함수(integrable function)이므로, 적분 표현은 잘-정의됩니다. 다음으로 정의된 에서 로의 함수가 전단사(bijection)임을 나타내야 합니다: 는 양수 에 대해 양수이기 때문에, 이 함수는 엄격하게 증가하는(strictly increasing) 것, 따라서 단사(injective)입니다. 만약 다음 두 적분이 유지되면, 그것은 마찬가지로 전사(surjective)입니다. 실제로, 이들 적분은 유지합니다; 그것들은 적분 테스트(integral test)조화 급수(harmonic series)의 발산에서 따릅니다.

Equivalence of the characterizations

다음 증명은 위의 에 대해 제공된 처음 세 가지 특성화의 동등성을 시연합니다. 증명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먼저, 특성화 1과 2의 동등성이 설정되고, 그런-다음 특성화 1과 3의 동등성이 설정됩니다. 다른 특성화를 연결하는 논증은 역시 제공됩니다.

Characterization 1 ⇔ characterization 2

다음 논증은 Rudin, theorem 3.31, p. 63–65에서 하나의 증명으로부터 채택되었습니다.

을 고정된 비-음의 고정 실수로 놓습니다. 다음을 정의합니다:

이항 정리(binomial theorem)에 의해, (최종 부등식을 얻기 위해 x ≥ 0을 사용하여) 다음이 되도록 여기서 은 정의 2의 의미에 있습니다. 여기서, limsups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 수렴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다른 방향에 대해, 위의 표현에 의해, 2 ≤ mn이면,

m을 고정하고, n이 무한대로 접근하도록 놓습니다. 그런-다음 (다시, liminf들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 수렴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제, 위의 부등식을 취하고, m이 무한대로 접근한다고 놓고, 그것을 나머지 다른 부등식과 함께 놓으면, 이것이 됩니다: 다음이 되도록,

이 동등성은 를 사용하고 이 무한대로 갈 때 극한을 취함으로써 음의 실수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 극한-표현의 오차 항은 다음에 의해 설명됩니다: 여기서 분모 을 갖는 항에서 (에서) 다항식의 차수는 입니다.

Characterization 1 ⇔ characterization 3

여기서, 자연로그 함수는 위와 같이 정적분의 관점에서 정의됩니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의 첫 번째 부분에서,

게다가,

이제, 를 고정된 실수로 놓고, 다음이라고 놓습니다:

Ln(y) = x이며, y = ex임을 의미하며, 여기서 ex는 정의 3의 의미에 있습니다.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여기서, 의 연속성이 사용되며, 의 연속성에서 따릅니다:

여기서, 가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결과는 귀납법에 의해, 또는 치환에 의한 적분을 사용하여 자연수 에 대해 설정될 수 있습니다. (실수 거듭제곱으로의 확장은 lnexp가 서로의 역으로 설정될 때까지 기다려야 ab가 실수 b에 대해 eb lna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Characterization 1 ⇔ characterization 5

다음 증명은 Hewitt and Stromberg, exercise 18.46에서 하나의 단순화된 버전입니다. 먼저, 우리는 측정-가능성 (또는 여기서, 르베그-적분가능)이 를 만족시키는 비-영 함수에 대해 연속성을 의미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그런-다음 우리는 일부 에 대해 를 의미함을 입증하고, 마지막으로 k = 1을 의미함을 입증합니다.

먼저, 를 만족시키는 에서 몇 가지 기본 속성이 입증되고, 가 동일하게 영이 아니라고 가정합니다:

  • 만약 가 어딘가에 (말하자면 에서) 비-영이면, 그것은 어디에서나 비-영입니다. 증명: 를 의미합니다.
  • . 증명: 이고 는 비-영입니다.
  • . 증명: .
  • 만약 가 어딘가에 (말하자면 에서) 연속이면, 그것은 어디에서나 연속입니다. 증명: as by continuity at y.

두 번째와 세 번째 속성은 양수 에 대해 를 입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가 르베그-측정가능 함수이면,

그것은 다음임을 따릅니다:

가 비-영이기 때문에, 일부 y를 만족하도록 선택되고 위의 표현에서 에 대해 해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마지막 표현은 일 때 영으로 가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고 가 연속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가 연속임을 따릅니다.

이제, 가, 일부 에 대해, 모든 양의 유리수 에 대해 입증될 수 있습니다. 양의 정수 에 대해 이라고 놓습니다. 그런-다음, 에 대한 기본 귀납법에 의해, 그러므로, 이고 따라서 에 대해 만약 실수-값 로 제한되면, 는 어디에서나 양수이고 따랏 는 실수입니다.

마지막으로, 연속성에 의해, 모든 유리수 에 대해 이므로, 그것은 모든 실수 에 대해 참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유리수의 클로저는 실수이기 때문입니다 (즉, 임의의 실수 는 유리수의 수열의 극한으로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면, 입니다. 이것은 e의 동등한 정의가 사용하는 것에 따라 특성화 1 (또는 2, 또는 3)과 동등합니다.

Characterization 2 ⇔ characterization 4

을 비-음의 정수로 놓습니다. 정의 4의 의미와 귀납법에 의해, .

그러므로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를 사용하여, 이것은 정의 4가 정의 2를 의미함을 보입니다.

정의 2의 의미에서,

게다가, 이것은 정의 2가 정의 4를 의미함을 보입니다.

Characterization 2 ⇒ characterization 6

정의 2의 의미에서,[1]

Characterization 3 ⇔ characterization 4

특성화 3은 지수 함수가 정의되기 전에 자연 로그를 정의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먼저, 이것은 의 자연 로그가 사이의 의 그래프 아래의 (부호화된) 넓이와 같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이면, 이 넓이는 음수로 취합니다. 그런-다음, 의 역으로 정의되며, 역함수의 정의에 의해 다음임을 의미합니다: 만약 가 양의 실수이면, 로 정의됩니다. 마지막으로, 을 만족하는 숫자로 정의됩니다. 그런-다음 임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에 의해, 의 도함수입니다. 우리는 이제 특성화 4에서 주어진 초기 값 문제의 첫 번째 부분을 만족시키는 임을 입증하기 위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런-다음, 우리는 단지 임을 언급해야 하고, 그걸로 끝납니다. 물론, 특성화 4가 특성화 3을 의미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훨씬 쉽습니다. 만약 를 만족시키는 고유한 함수이고, 이면, 는 그것의 역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의 도함수는 다음 방법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에 관해 양쪽 변을 미분하면, 다음을 얻습니다: 그러므로,

Characterization 5 ⇒ characterization 4

조건 f'(0) = 1f(x + y) = f(x) f(y)은 특성화 4에서 두 조건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다음 방정식의 양쪽 변을 f(0)으로 나눔으로써 초기 조건 f(0) = 1을 얻고, f′(x) = f(x)라는 조건은 f′(0) = 1라는 조건과 다음처럼 도함수의 정의로부터 따릅니다:

Characterization 6 ⇒ characterization 4

정의 6의 의미에서, 방법 에 의해, 따라서 정의 6은 정의 4를 의미합니다.

References

  1. ^ "Herman Yeung - Calculus - First Principle find d/Dx(e^x) 基本原理求 d/Dx(e^x)". YouTube.
  • Walter Rudin,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3rd edition (McGraw–Hill, 1976), chapter 8.
  • Edwin Hewitt and Karl Stromberg, Real and Abstract Analysis (Springer,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