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ommuting matrices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선형 대수(linear algebra)에서, 두 행렬(matrices) 는 만약 이면, 또는 동등하게 그것들의 교환자(commutator) 가 영이면 교환한다(commute)고 말합니다. 행렬 집합(set)은 만약 그것들이 쌍별로 교환하면 교환한다(commute)고 말하며, 집합에서 모든 각 행렬 쌍이 서로 교환함을 의미합니다.

Characterizations and properties

  • 교환하는 행렬은 서로의 고유공간(eigenspaces)을 보존합니다.[1] 결과적으로,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algebraically closed field)에 걸쳐 교환하는 행렬은 동시에 삼각화-가능(simultaneously triangularizable)입니다; 즉, 그것들이 둘 다 위쪽 삼각(upper triangular)기저(bases)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만약 가 교환하면, 가 모든 에 대해 위쪽 삼각 행렬임을 만족하는 닮음 행렬 가 존재합니다. 그 전환(converse)은 반드시 참은 아니며, 다음 반대예제에서 볼 수 있습니다:
어쨌든, 두 행렬의 교환자의 제곱이 영이면, 즉, 이면, 그 전환은 참입니다.[2]
  • 대각화가능 행렬 는 만약 그것들이 동시에 대각화가능(simultaneously diagonalizable)이면 교환합니다 () (즉, 둘 다가 대각(diagonal)임을 만족하는 역가능 행렬 가 존재합니다).[3]: p. 64  그 전환은 역시 참입니다; 즉, 만약 두 대각화가능 행렬이 교환하면, 그것들은 동시에 대각화가능입니다.[4] 그러나 교환하는 임의의 두 행렬을 취하면 (그리고 그것들이 두 개의 대각화가능 행렬이라고 가정하지 않으면), 그것들은 만약 그들 중 하나가 중복 고윳값을 가지지 않으면 이미 동시에 대각화가능입니다.[5]
  • 만약 가 교환하면, 그것들은 공통 고유벡터를 가집니다. 만약 가 구별되는 고윳값을 가지고, 가 교환하면, 의 고유벡터는 의 고유벡터입니다.
  • 만약 행렬 중 하나가 최소 다항식이 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과 일치하는 속성 (즉, 최대 차수를 가짐)을 가지면, 이는 특히 특성 다항식이 단순 근(simple roots)만 가질 때마다 발생하며, 다른 행렬은 첫 번째에서 다항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
  • 동시에 삼각화-가능성의 직접적인 결과로, 대수적 중복도(algebraic multiplicities, 특성 다항식의 근의 중복집합)를 갖는 두 개의 교환하는 복소수 행렬 A, B고윳값(eigenvalues)은 두 행렬에서 임의의 다항식 의 고윳값의 중복집합이 값 의 중복집합이라는 그러한 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로 일치될 수 있습니다. 이 정리는 프로베니우스(Frobenius)에 기인합니다.[6]
  • 에르미트(Hermitian) 행렬은 만약 그것들의 고유공간이 일치하면 교환합니다. 특히, 중복 고윳값 없이 두 에르미트 행렬은 만약 그것들이 같은 고유벡터의 집합을 공유하면 교환합니다. 이것은 두 행렬의 고윳값 분해를 고려함으로써 따릅니다. 를 두 개의 에르미트 행렬이라고 놓습니다. 는 그것들이 로 쓸 수 있을 때 공통 고유공간을 가집니다. 그런 다음 다음임이 따릅니다:
  • 교환하는 두 행렬의 속성은 전이적(transitive)이지 않습니다: 행렬 모두와 교환하지만, 여전히 는 서로 교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등 행렬(identity matrix)은 모든 행렬과 교환하며, 그들 사이에서 모두 교환하지는 않습니다. 만약 고려되는 행렬의 집합이 중복 고윳값 없이 에르미트 행렬로 제한되면, 고유벡터 측면에서 특성화의 결과로 교환성은 전이적입니다.
  • 해결-가능 리 대수(solvable Lie algebra)의 임의의 표현(representation)이 동시에 위쪽 삼각화-가능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리의 정리(Lie's theorem)는 일반화로 볼 수 있습니다.
  • n × n 행렬 가 모든 각 다른 n × n 행렬과 교환하는 것과 그것이 스칼라 행렬, 즉, 형식 의 행렬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면, 여기서 n × n 항등 행렬이고 는 스칼라입니다. 다시 말해서, 곱셈 아래에서 n × n 행렬의 그룹(group)중심(center)은 스칼라 행렬의 부분그룹(subgroup)입니다.

Examples

History

교환하는 행렬의 개념은 케일리(Cayley)에 의해 행렬 이론에 대한 그의 회고록에서 소개되었으며, 이는 행렬의 첫 번째 공리화도 제공했습니다. 그것들에 대해 입증된 첫 번째 중요한 결과는 1878년 프로베니우스(Frobenius)의 위의 결과였습니다.[9]

References

  1. ^ Horn, Roger A.; Johnson, Charles R. (2012). Matrix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0. ISBN 9780521839402.
  2. ^ Horn, Roger A.; Johnson, Charles R. (2012). Matrix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27. ISBN 9780521839402.
  3. ^ Horn, Roger A.; Johnson, Charles R. (2013). Matrix Analysis,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39402.
  4. ^ Without loss of generality, one may suppose that the first matrix is diagonal. In this case, commutativity implies that if an entry of the second matrix is nonzero, then After a permutation of rows and columns, the two matrices become simultaneously block diagonal. In each block, the first matrix is the product of an identity matrix, and the second one is a diagonalizable matrix. So, diagonalizing the blocks of the second matrix does change the first matrix, and allows a simultaneous diagonalization.
  5. ^ "Proofs Homework Set 10 MATH 217 — WINTER 2011" (PDF). Retrieved 10 July 2022.
  6. ^ Frobenius, G. (1877). "Ueber lineare Substitutionen und bilineare Formen".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84: 1–63.
  7. ^ "Do Diagonal Matrices Always Commute?". Stack Exchange. March 15, 2016. Retrieved August 4, 2018.
  8. ^ "Linear Algebra WebNotes part 2". math.vanderbilt.edu. Retrieved 2022-07-10.
  9. ^ Drazin, M. (1951), "Some Generalizations of Matrix Commutativity",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3, 1 (1): 222–231, doi:10.1112/plms/s3-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