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omplex conjugate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Geometric representation (Argand diagram) of z and its conjugate in the complex plane. The complex conjugate is found by reflecting z across the real axis.

수학(mathematics)에서, 복소수(complex number)복소수 켤레(complex conjugate)는 같은 실수(real) 부분과 크기는 같지만 부호(sign)는 반대인 허수(imaginary) 부분을 갖는 숫자입니다.[1] 예를 들어, (만약 ab가 실수이면,) 의 복소수 켤레는 입니다.

극 형식(polar form)에서, 의 켤레는 입니다. 이것은 오일러의 공식(Euler's formula)을 사용하여 보일 수 있습니다.

복소수와 그의 켤레의 곱은 실수: , 또는 극 좌표에서 입니다.

복소수 켤례는 다항식(polynomials)의 근을 찾는 것에 대해 중요합니다. 복소 켤레 근 정리(complex conjugate root theorem)에 따르면, 만약 복소수가 실수 계수를 가진 하나의 변수에서 다항식 (예를 들어, 이차 방정식(quadratic equation) 또는 삼차 방정식(cubic equation))에 대한 근이면, 그의 켤레도 근입니다.

Notation

복소수 의 복소수 켤레는 또는 로 쓰입니다. 첫 번째 표기법, 괄선(vinculum)은 복소수 켤레의 일반화로 생각할 수 있는 행렬(matrix)켤레 전치(conjugate transpose)에 대해 표기법과 혼동을 피합니다. 두 번째는 물리학(physics)에서 선호되며, 여기서 칼표(dagger) (†)가 켤레 전치에 사용되지만, 막대-표기법은 순수 수학(pure mathematics)에서 보다 공통적입니다. 만약 복소수가 2×2 행렬로 표시되면, 표기법은 동일합니다. 일부 문헌에서, 이전에 알려진 숫자의 복소수 켤레는 "c.c."로 약칭됩니다. 예를 들어 로 쓰인 것은 를 의미합니다.

Properties

다음 속성은, 달리 명시하지 않은 한, 모든 복소수 zw에 적용되고, zw를 형식 a + bi로 씀으로써 증명될 수 있습니다.

임의의 두 복소수 z, w에 대해:

켤레화는 덧셈, 뺄셈, 곱셈 및 나눗셈에 걸쳐 분배적(distributive)입니다.

실수는 켤레화의 유일한 고정된 점(fixed point)입니다. 복소수는 만약 그의 허수 부분이 영이면 복소수 켤레와 같습니다.

모듈러스를 갖는 컬레화의 합성은 모듈러스 단독과 동등합니다.

켤레화는 인볼루션(involution)입니다; 즉, 복소수 z의 켤레의 켤레는 z입니다.

복소수와 그의 켤레의 곱은 숫자의 모듈러스의 제곱과 같습니다. 이것은 직교 좌표에서 주어진 복소수의 역수의 쉬운 계산을 허용합니다.

켤레화는 정수 거듭-제곱에 대한 지수화, 지수 함수, 및 비-영 인수에 대해 자연 로그와 함께 합성 아래에서 교환적(commutative)입니다.

만약 z가 비-영이면

만약 실수(real) 계수를 가진 다항식(polynomial)이고, 이면, 마찬가지로 입니다. 따라서, 실수 다항식의 비-실수 근은 복소수 켤레 쌍으로 발생합니다 (복소 켤레 근 정리(Complex conjugate root theorem)참조하십시오).

일반적으로, 만약 가 실수에 대한 그의 억제가 실수-값인 정칙 함수(holomorphic function)이고, 가 정의되면,

에서 로의 맵 은, 만약 우리가 를 그 자체에 걸친 복소 벡터 공간(vector space)으로 고려하면, 위상동형 사상(homeomorphism)이고 (여기서 에 대한 위상은 표준 위상으로 취합니다) 반-선형(antilinear)입니다. 비록 그것이 잘-행동된(well-behaved) 함수라고 보일지라도, 그것은 정칙(holomorphic)이 아닙니다; 그것은 방향을 뒤집는 반면에 정칙 함수는 방향을 지역적으로 유지합니다. 그것은 전단사(bijective)이고 산술 연산과 호환되고, 따라서 필드(field) 자기-동형(automorphism)입니다. 그것은 실수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필드 확장(field extension) 갈루아 그룹(Galois group)의 원소입니다. 이 갈루아 그룹은 오직 두 원소: 에 대한 항등원을 가집니다. 따라서 실수를 고정된 상태로 남기는 의 오직 두 필드 자기-동형은 항등 맵과 복소수 켤레입니다.

Use as a variable

한번 복소수 또는 가 주어지면, 그의 켤레는 z-변수의 부분을 다시-생성하기에 충분합니다:

  • 실수 부분:
  • 허수 부분:
  • 모듈러스(Modulus) (또는 절댓값):
  • 편각(Argument): , 따라서

게다가, 는 평면에서 직선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집합

은 원점을 통과하고 에 수직인 직선인데 왜냐하면 의 실수 부분은, 사이의 각도의 코사인이 영일 때, 오직 영입니다. 비슷하게, 고정된 복소수 단위 u = exp(b i)에 대해, 방정식

을 통과하고 0과 u를 통과하는 직선에 평행한 직선을 결정합니다.

변수로 z의 켤레의 이들 사용은 프랭크 몰리(Frank Morley)와 그의 아들 프랭크 비거 몰리와 함께 쓴 책 Inversive Geometry (1933)에서 묘사됩니다.

Generalizations

다른 실수 대수, 이중 숫자(dual numbers), 및 분할-복소수(split-complex number)는 복소 켤레를 사용하여 역시 분석됩니다.

복소수의 행렬에 대해 이며, 여기서 의 원소별 켤레화를 나타냅니다.[2] 이것을 속성 과 대조되며, 여기서 켤레 전치(conjugate transpose)를 나타냅니다.

복소수 행렬(matrices)켤레 전치(conjugate transpose) (또는 인접)를 취하는 것은 복소수 켤레를 일반화합니다. 훨씬 더 일반적인 것은 (무한-차원이 가능한) 복소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 위에 연산자에 대해 인접 연산자(adjoint operator)의 개념입니다. 이것 모든는 C*-대수(C*-algebra)의 *-연산에 의해 포함됩니다.

우리는 쿼터니언(quaternion)분할-쿼터니언(split-quaternion)에 대해 켤레화를 역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의 켤레는 입니다.

모든 이들 일반화는 만약 인수가 반전되면 오직 곱셈적입니다:

평면 실수 대수의 곱셈은 교환적(commutative)이므로, 이 반전은 그곳에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복소수(complex number)에 걸쳐 벡터 공간(vector spaces) 에 대해 켤레화의 추상 개념이 역시 있습니다. 이 문맥에서, 다음을 만족시키는

  1. , 여기서 위의 항등 맵(identity map)입니다,
  2. 모든 , 에 대해, , 및
  3. 모든 , 에 대해, ,

임의의 반-선형 맵(antilinear map) 복소 켤레화, 또는 실수 구조(real structure)라고 불립니다. 인볼루션 반-선형(antilinear)이며, 그것은 절대 위의 항등 맵일 수 없습니다.

물론, 는, 만약 우리가 모든 각 복소 공간 V가 같은 벡터(vector)를 원래 공간에서 취하고 스칼라를 실수로 제한함으로써 얻어진 실수 형식을 가짐을 주목하면, -선형 변환입니다. 위의 속성은 복소 벡터 공간 위의 실수 구조(real structure)를 실제로 정의합니다.[3]

이 개념의 한 예제는 위에 정의된 복소 행렬의 켤레 전치 연산입니다. 그것은 일반적인 복소 벡터 공간 위에 복소 켤레화의 정식의(canonical) 개념이 없음을 주목해야 합니다.

See also

Notes

  1. ^ Weisstein, Eric W. "Imaginary Numbers". MathWorld.
  2. ^ Arfken, Mathematical Methods for Physicists, 1985, pg. 201
  3. ^ Budinich, P. and Trautman, A. The Spinorial Chessboard. Springer-Verlag, 1988, p. 29

References

  • Budinich, P. and Trautman, A. The Spinorial Chessboard. Springer-Verlag, 1988. ISBN 0-387-19078-3. (antilinear maps are discussed in section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