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Embedding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에서, 삽입(embedding 또는 imbedding[1])은 부분그룹(subgroup)그룹(group)과 같은 또 다른 사례 내에 포함된 일부 수학적 구조(mathematical structure)의 한 사례입니다.

어떤 대상 가 또 다른 대상 에 삽입되었다고 말할 때, 삽입은 일부 단사(injective)와 구조-보존하는 맵 에 의해 제공됩니다. "구조-보존하는"의 정확한 의미는 가 사례인 수학적 구조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카테고리 이론(category theory)의 용어에서, 구조-보존하는 맵은 사상(morphism)이라고 불립니다.

가 삽입이라는 사실은 종종 "구부러진 화살표" (U+21AA RIGHTWARDS ARROW WITH HOOK)를 사용하여 표시됩니다;[2] 따라서: (다른 한편, 이 표기법은 때때로 포함 맵(inclusion maps)에 대해 예약됩니다.)

가 주어지면, 에서 의 여러 다른 삽입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많은 경우에서, 정수에서 자연수, 유리수에서 정수, 실수에서 유리수, 및 복소수에서 실수의 삽입과 같은 표준 (또는 "정식의") 삽입이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서, 가 되도록 에 포함된 이미지 를 갖는 도메인 를 식별하는 것이 공통적입니다.

Topology and geometry

General topology

일반적인 토폴로지(general topology)에서, 삽입은 그것의 이미지 위로의 위상-동형(homeomorphism)입니다.[3] 보다 명시적으로,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s) 사이의 단사 연속 사이의 위상동형을 산출하면 토폴로지적 삽입(topological embedding)입니다 (여기서 에서 상속된 부분공간 토폴로지를 전달합니다). 직관적으로 그때에, 삽입 를 통해 부분공간으로 취급할 수 있습니다. 모든 각 삽입은 단사적이고 연속적입니다. 단사적, 연속적이고 열린 또는 닫힌 모든 각 맵은 삽입입니다; 어쨌든, 열린 것도 아니고 닫힌 것도 아닌 삽입도 있습니다. 후자는 이미지 에서 열린 집합도 아니고 닫힌 집합도 아니면 발생합니다.

주어진 공간 에 대해, 삽입 의 존재는 토폴로지적 불변(topological invariant)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으면 두 개의 공간은 구별될 수 있습니다.

Related definitions

만약 함수 의 도메인이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이면, 그 함수는 제한 가 단사임을 만족하는 이 점의 일부 이웃(neighborhood) 가 존재하면 한 점에서 지역적으로 단사적이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그 도메인의 모든 각 점 주위에 지역적으로 단사이면 지역적으로 단사적(locally injective)이라고 불립니다. 유사하게, 지역적 (토폴로지적, 각각, 매끄러운) 삽입은 그 도메인에서 모든 각 점이 그 제한이 (토폴로지적, 각각, 매끄러운) 삽입인 이웃을 가지는 함수입니다.

모든 각 단사 함수는 지역적으로 단사적이지만 그 전환은 아닙니다. 지역적 미분동형, 지역적 위상동형, 및 매끄러운 몰입(immersions)은 모두 반드시 단사일 필요는 없는 지역적 단사 함수입니다. 역 함수 정리(inverse function theorem)는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함수에 대해 (무엇보다도) 지역적 단사가 되기 위한 충분 조건을 제공합니다. 지역적 단사 함수 의 모든 각 올(fiber)은 반드시 그것의 도메인 이산 부분공간입니다.

Differential topology

미분 토폴로지(differential topology)에서: 을 매끄러운 매니폴드라고 놓고 을 매끄러운 맵이라고 놓습니다. 그런-다음 는 만약 그것의 도함수(derivative)가 모든 곳에서 단사이면 몰입(immersion)이라고 불립니다. 삽입, 또는 매끄러운 삽입은 위에서 언급한 토폴로지적 의미 (즉, 그것의 이미지 위로의 위상동형)에서 삽입인 몰입으로 정의됩니다.[4]

다른 말로, 삽입의 도메인은 그것의 이미지로의 미분동형적(diffeomorphic)이고, 특히 삽입의 이미지는 부분매니폴드여야 합니다. 몰입은 정확하게 지역적 삽입입니다. 즉, 임의의 점 에 대해, 가 삽입임을 만족하는 이웃 가 있습니다.

도메인 매니폴드가 컴팩트일 때, 매끄러운 삽입의 개념은 단사적 몰입의 개념과 동등합니다.

중요한 경우는 입니다. 여기서 관심은 의 차원 측면에서 삽입에 대해 이 얼마나 커야 하는지에 있습니다. 휘트니 삽입 정리(Whitney embedding theorems)이 충분하고, 가능한 최상의 선형 경계라고 말합니다.[5] 예를 들어, 차원 실수 투영 공간(real projective space) 은, 여기서 은 2의 거듭제곱이며, 삽입을 위해 를 요구합니다. 어쨌든, 이것은 몰입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는 자기-교차를 가지는 보이의 표면(Boy's surface)에 의해 명시적으로 표시된 것처럼 에서 몰입일 수 있습니다. 로만 표면(Roman surface)은 교차-틈(cross-caps)을 포함할 때 몰입에 실패합니다.

삽입은 만약 그것이 경계(boundaries)와 관련하여 잘 행동하면 적절한(proper) 것입니다: 맵 는 다음임을 만족하도록 요구됩니다:

  • , 그리고
  • 의 임의의 점에서 횡단합니다(transverse).

첫 번째 조건은 를 가지는 것과 동등합니다. 두 번째 조건은,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의 경계에 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Riemannian and pseudo-Riemannian geometry

리만 기하학(Riemannian geometry)과 유사-리만 기하학에서: 리만 매니폴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유사-리만 매니폴드라고 놓습니다. 등거리적 삽입(isometric embedding)은 에 의한 당김(pullback)과 같다, 즉, 라는 의미에서 (유사-)메트릭을 보존하는 매끄러운 삽입 입니다. 즉, g=f*h입니다. 명시적으로, 임의의 두 접 벡터 에 대해, 다음을 가집니다:

유사하게, 등거리적 몰입(isometric immersion)은 (유사)-리만 메트릭을 보존하는 (유사)-리만 매니폴드 사이의 몰입입니다.

동등하게, 리만 기하학에서, 등거리적 삽입 (몰입)은 곡선(curves)의 길이를 보존하는 매끄러운 삽입 (몰입)입니다 (비고. 내쉬 삽입 정리).[6]

Algebra

일반적으로, 대수적 카테고리(algebraic category) 에 대해, 두 -대수적 구조 사이의 삽입은 단사적인 -사상 입니다.

Field theory

필드 이론(field theory)에서, 필드(field) 에 있는 필드 삽입(embedding)은 링 준동형(ring homomorphism) 입니다.

커널(kernel)은 조건 때문에 전체 필드 가 될 수 없는 아이디얼(ideal)입니다. 더욱이, 그것들의 유일한 아이디얼은 영 아이디얼과 전체 필드 자체라는 것은 잘 알려진 필드의 속성입니다. 그러므로, 커널은 이므로, 필드의 임의의 삽입은 단사-사상(monomorphism)입니다. 따라서, 부분필드(subfield) 동형적(isomorphic)입니다. 이것은 필드의 임의적인 준동형에 대한 그 이름 삽입을 정당화합니다.

Universal algebra and model theory

만약 시그니처(signature)이고 -구조 (보편 대수(universal algebra)에서 -대수 또는 모델 이론에서 모델이라고도 불림)이면, 맵 는 다음의 모두가 유지되면 정확하게 -삽입입니다:

  • 는 단사적입니다,
  • 모든 각 -항 함수 기호 에 대해, 을 가집니다,
  • 모든 각 -항 관계 기호 에 대해, 는 필요충분 조건임을 가집니다.

여기서 와 동등한 모델 이론적 표기법입니다. 모델 이론에서, 기본 삽입(elementary embedding)의 더 강력한 개념도 있습니다.

Order theory and domain theory

순서 이론(order theory)에서, 부분적으로 순서화된 집합(partially ordered sets)의 삽입은 다음임을 만족하는 부분적으로 순서화된 집합 사이의 함수 입니다:

의 단사성(Injectivity)은 이 정의에서 빠르게 따릅니다. 도메인 이론(domain theory)에서, 추가적인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방향화된(directed) 것입니다.

Metric spaces

메트릭 공간(metric spaces)의 매핑 는 만약 모든 각 와 어떤 상수 에 대해 다음이면 (왜곡(distortion) 을 갖는) 삽입이라고 불립니다:

Normed spaces

중요한 특별한 경우는 노름화된 공간(normed spaces)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서 선형 삽입을 고려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유한-차원 노름화된 공간(normed space) 에 대해 물을 수 있는 기본적인 질문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힐베르트 공간 가 상수 왜곡을 갖는 에 선형적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만족하는 최대 차원 는 무엇입니까?

그 답은 드보레츠키의 정리(Dvoretzky's theorem)에 의해 제공됩니다.

Category theory

카테고리 이론(category theory)에서, 모든 카테고리에 적용할 수 있는 삽입의 만족스럽고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정의가 없습니다. 모든 동형-사상과 삽입의 모든 합성은 삽입이고, 모든 삽입은 단사-사상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전형적인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의의 극단 단사-사상(extremal monomorphism)은 삽입이고 삽입은 당김(pullbacks) 아래에서 안정적입니다.

이상적으로 주어진 대상의 모든 삽입된 부분-대상(subobjects)의 클래스는, 동형사상까지, 작은 것이어야 하고, 따라서 순서화된 집합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에서, 카테고리는 삽입의 클래스와 관련하여 잘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지역적 구조 (예를 들어, 클로저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카테고리(concrete category)에서, 삽입의 놓여있는 집합에서 의 놓여있는 집합으로의 단사 함수인 사상 이고, 역시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초기 사상(initial morphism)입니다: 만약 가 대상 의 놓여있는 집합에서 의 놓여있는 집합으로의 함수이고, 와의 합성이 사상 이면, 자체가 사상입니다.

카테고리에 대한 인수-분해 시스템(factorization system)은 역시 삽입의 개념을 발생시킵니다. 만약 이 인수분해 시스템이면, 특히 카테고리가 에 관해 잘 강화될 때 에서 사상은 삽입으로 여길 수 있습니다. 구체적 이론은 종종 이 이전 의미에서 삽입으로 구성되는 인수분해 시스템을 가집니다. 이것은 이 기사에 제공된 대부분의 예제의 경우입니다.

카테고리 이론에서 흔히 그렇듯이, 몫으로 알려진 이중(dual) 개념이 있습니다. 위의 모든 속성은 이중화될 수 있습니다.

삽입은 삽입 함수자(embedding functor)를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See also

Notes

  1. ^ Spivak 1999, p. 49 suggests that "the English" (i.e. the British) use "embedding" instead of "imbedding".
  2. ^ "Arrows – Unicode" (PDF). Retrieved 2017-02-07.
  3. ^ Hocking & Young 1988, p. 73. Sharpe 1997, p. 16.
  4. ^ Bishop & Crittenden 1964, p. 21. Bishop & Goldberg 1968, p. 40. Crampin & Pirani 1994, p. 243. do Carmo 1994, p. 11. Flanders 1989, p. 53. Gallot, Hulin & Lafontaine 2004, p. 12. Kobayashi & Nomizu 1963, p. 9. Kosinski 2007, p. 27. Lang 1999, p. 27. Lee 1997, p. 15. Spivak 1999, p. 49. Warner 1983, p. 22.
  5. ^ Whitney H., Differentiable manifolds, Ann. of Math. (2), 37 (1936), pp. 645–680
  6. ^ Nash J., The embedding problem for Riemannian manifolds, Ann. of Math. (2), 63 (1956), 20–63.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