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Null set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적 해석학(mathematical analysis)에서, 널 집합(null set) 측정 영을 가지는 측정-가능 집합(measurable set)입니다. 이것은 임의적으로 작은 전체 길이의 구간(interval)셀-수-있는(countable) 합집합에 의해 covered(덮혀질) 수 있는 집합으로 특성화될 수 있습니다.

널 집합의 개념은 집합 이론(set theory)에서 정의된 빈 집합(empty set)과 혼동되어서는 안 됩니다. 비록 빈 집합이 르베그 측정(Lebesgue measure) 영을 가질지라도, 널인 비-빈 집합이 역시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수의 임의의 비-빈 셀-수-있는 집합은 르베그 측정 영을 가지고 따라서 널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측정 공간(measure space) 위에, 널 집합은 를 만족하는 집합 입니다.

Example

실수의 모든 각 유한 또는 셀-수-있는 무한 부분집합은 널 집합입니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과 유리수의 집합은 둘 다 셀-수-있는 무한이고 따라서 실수의 부분집합으로 고려될 때 널 집합입니다.

칸토어 집합(Cantor set)은 셀-수-없는 널 집합의 예제입니다.

Definition

가 다음을 만족하는 실수 직선(real line) 의 부분집합으로 가정합니다:

여기서 Un구간(interval)이고 |U|U의 길이이며, 그런-다음 A는 널 집합이며,[1] 역시 영-컨텐츠의 집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학적 해석학(mathematical analysis)의 용어에서, 이 정의는 덮개의 길이의 극한(limit)이 영인 A열린 덮개(open cover)수열(sequence)이 있음을 요구합니다.

Properties

빈 집합(empty set)은 항상 널 집합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널 집합의 임의 셀-수-있는(countable) 합집합(union)은 널입니다. 널 집합의 임의의 측정-가능 부분집합은 그 자체로 널 집합입니다. 함께, 이들 사실은 Xm-널 집합이 X에 대한 시그마-아이디얼(sigma-ideal)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유사하게, 측정-가능 m-널 집합은 측정-가능 집합의 시그마-대수(sigma-algebra)의 시그마-아이디얼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널 집합은 거의 모든 곳(almost everywhere)에서 개념을 정의하는 무시할 수 있는 집합(negligible set)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Lebesgue measure

르베그 측정(Lebesgue measure)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의 부분집합에 대한 길이(length), 넓이(area), 또는 부피(volume)를 할당하는 표준 방법입니다.

의 부분집합 N은 널 르베그 측정이고 에서 널 집합으로 고려되는 것은 다음과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임의의 양수 ε가 주어지면, N{In}의 합집합에 포함되고 합집합의 전체 길이가 ε보다 작음을 만족하는 에서 구간(intervals)수열(sequence)있습니다.

이 조건은 구간 대신에 n-입방체(cube)를 사용하여 으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사실, 그 아이디어는 심지어 그곳에 르베그 측정이 없더라도 임의의 리만 매니폴드(Riemannian manifold)에 대해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λ가 에 대해 르베그 측정이고 π는 에 대해 르베그 측정이면, 곱 측정(product measure)입니다. 널 집합의 관점에서, 다음 동치는 푸비니의 정리(Fubini's theorem)로 스타일이 지정되었습니다:[2]

  • 에 대해,

Uses

널 집합은 르베그 적분(Lebesgue integral)의 정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만약 함수 fg가 널 집합을 제외하고 같으면, f는 적분-가능인 것과 g가 있고, 그것들의 적분이 같은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이것은 Lp 공간의 형식적 정의를 오직 널 집합에서 다른 함수의 동치 클래스의 집합으로 동기를 부여합니다.

널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이 측정-가능인 측정이 완비(complete)입니다. 임의의 널-완비 측정은 널 집합의 부분집합이 측정 영을 갖는다고 단언함으로써 완비 측정을 형성하기 위해 완비될 수 있습니다. 르베그 측정은 완비 측정의 예제입니다; 일부 구성에서, 그것은 비-완비 보렐 측정(Borel measure)의 완비로 정의됩니다.

A subset of the Cantor set which is not Borel measurable

보렐 측정이 완비가 아닙니다. 한 가지 간단한 구성은 닫힌 따라서 보렐 측정-가능이고, 측정 영을 가지는 표준 칸토어 집합(Cantor set) K로 시작하고, 보렐 측정-가능이 아닌 K의 부분집합 F를 찾는 것입니다. (르베그 측정이 완비이므로, 이 F는 물론 르베그 측정-가능입니다.)

먼저, 우리는 모든 각 양의 측정의 집합이 비-측정가능 부분집합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fKc에서 지역적으로 상수이고, f(0) = 0f(1) = 1를 갖는 [0, 1]에서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연속 함수, 칸토어 함수(Cantor function)라고 놓습니다. 분명하게, f(Kc)가 셀-수-있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Kc의 성분당 하나의 점을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Kc)는 측정 영을 가지므로, f(K)는 측정 일을 가집니다. 우리는 엄격하게 단조 함수(monotonic function)를 필요로 하므로, g(x) = f(x) + x를 고려합니다. g(x)는 엄격하게 단조이고 연속이므로, 그것은 위상동형(homeomorphism)입니다. 게다가, g(K)는 측정 일을 가집니다. Eg(K)를 비-측정가능으로 놓고, F = g−1(E)라고 놓습니다. g는 단사이므로, 우리는 FK임을 가지고, 따라서 F는 널 집합입니다. 어쨌든, 그것이 보렐 측정-가능이면, g(F)는 역시 보렐 측정-가능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연속 함수에 의한 보렐 집합의 이전-이미지가 측정-가능이라는 사실을 사용합니다; g(F) = (g−1)−1(F)는 연속 함수 h = g−1을 통한 F의 이전-이미지입니다.) 그러므로, F는 널이지만, 비-보렐 측정-가능 집합입니다.

Haar null

분리-가능(separable) 바나흐 공간(Banach space) (X, +)에서, 그룹 연산은 임의의 부분집합 AX를 임의의 xX에 대해 평행이동 A + x로 이동합니다. 모든 x에 대해, μ(A + x) = 0를 만족하는 X보렐 부분집합(Borel subset)의 σ-대수에서 확률 측정(probability measure) μ가 있을 때, A하르 널 집합(Haar null set)입니다.[3]

그 용어는 하르 측정(Haar measure)에서 발견된 완비 불변과 결합하여 평행이동의 측정의 널 불변을 참조합니다.

토폴로지적 그룹(topological group)의 일부 대수적 속성은 부분집합과 하르 널 집합의 크기와 관련되어 왔습니다.[4] 하르 널 집합은 A마른 집합(meagre set)이 아닐 때 A−1A항등 원소(identity element)의 열린 이웃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폴란드 그룹(Polish group)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5] 이 속성은 후고 스테인하우스(Hugo Steinhaus)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스테인하우스 정리(Steinhaus theorem)의 결론이기 때문입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Franks, John (2009). A (Terse) Introduction to Lebesgue Integration. The Student Mathematical Library. Vol. 48.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p. 28. doi:10.1090/stml/048. ISBN 978-0-8218-4862-3.
  2. ^ van Douwen, Eric K. (1989). "Fubini's theorem for null set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96 (8): 718–21. doi:10.1080/00029890.1989.11972270. JSTOR 2324722. MR 1019152.
  3. ^ Matouskova, Eva (1997). "Convexity and Haar Null Sets" (PDF).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25 (6): 1793–1799. doi:10.1090/S0002-9939-97-03776-3. JSTOR 2162223.
  4. ^ Solecki, S. (2005). "Sizes of subsets of groups and Haar null sets". Geometric and Functional Analysis. 15: 246–73. CiteSeerX 10.1.1.133.7074. doi:10.1007/s00039-005-0505-z. MR 2140632. S2CID 11511821.
  5. ^ Dodos, Pandelis (2009). "The Steinhaus property and Haar-null sets". Bulletin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41 (2): 377–44. arXiv:1006.2675. Bibcode:2010arXiv1006.2675D. doi:10.1112/blms/bdp014. MR 4296513. S2CID 119174196.

Further reading

  • Capinski, Marek; Kopp, Ekkehard (2005). Measure, Integral and Probability. Springer. p. 16. ISBN 978-1-85233-781-0.
  • Jones, Frank (1993). Lebesgue Integration on Euclidean Spaces. Jones & Bartlett. p. 107. ISBN 978-0-86720-203-8.
  • Oxtoby, John C. (1971). Measure and Category. Springer-Verlag. p. 3. ISBN 978-0-387-053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