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대수학(algebra)에서, 유리 함수(rational function) (즉, 분자와 분모 둘 다가 다항식(polynomial)을 만족하는 분수(fraction))의 부분 분수 분해(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또는 부분 분수 전개(partial fraction expansion)는 분수를 다항식 (영도 가능함) 및 더 단순한 분모를 갖는 하나 또는 여러 분수의 합으로 표현을 구성하는 연산입니다.[1]

부분 분수 분해의 중요성은 역도함수(antiderivative),[2] 테일러 급수 전개(Taylor series expansions), 역 Z-변환(inverse Z-transform), 역 라플라스 변환(inverse Laplace transform)의 명시적 계산을 포함하는 유리 함수(rational function)를 갖는 다양한 계산에 대해 알고리듬(algorithm)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그 개념은 요한 베르누이(Johann Bernoulli)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 둘 다에 의해 1702년에 독립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3]

기호에서, 우리는 다음 형식에서

다음 형식으로 유리 분수를 변경하기 위해 부분 분수 전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fg는 다항식이며, 또한,

다항식의 인수-분해(factorization of polynomials)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거친 분해가 종종 선호되며, 이것은 인수-분해를 제곱-없는 인수-분해(square-free factorization)로 대체하여 구성합니다. 이것은 결과의 앞의 설명에서 "기약"을 "제곱-없는"으로 대체해서 이릅니다.

Basic principles

만약 하나의 불확정(indeterminate) x에서 유리 함수 필드(field) K에 걸쳐 다음으로 인수화되는 분모(denominator)를 가집니다.

,

여기서 필드(field) K실수(real number), 또는 복소수(complex number)로 취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만약 PQ가 공통 인수를 가지지 않으면, 다항식에 대해 베주의 항등식에 의해, , , 및 다음을 만족하는 다항식 C(x)D(x)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및 그러므로 R은 다음으로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모든 분자는 다항식입니다.

이 아이디어를 귀납적으로 사용하면, 유리 함수 R(x)는 분모에 기약 다항식(irreducible polynomial)의 거듭-제곱을 갖는 합으로 쓸 수 있습니다. 나아가서 이것을 취하기 위해, 만약 필요하다면, F의 분모 거듭-제곱과 F의 차수보다 낮은 차수의 [[numerator|분자(numerator), 더하기 가능한 여분의 다항식을 갖는 합으로 다음을 쓰십시오:

이것은 다항식에 대해 유클리드 알고리듬(Euclidean algorithm for polynomials)에 의해 행해질 수 있습니다. 그 결과는 다음 정리(theorem)입니다.

정리 — fg를 필드 K에 걸쳐 비-영 다항식으ㅗ 놓습니다. g를 구별되는 기약 다항식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쓰십시오:

다음

을 만족하는 (고유한) 다항식 bdeg aij < deg pi를 갖는 aij가 존재합니다.

만약 deg f < deg g이면, b = 0

입니다.

만약 K복소수(complex number)의 필드이면, 대수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는, 모든 pi가 차수 일을 가지고, 모든 분자 는 상수임을 암시합니다. K실수(real number)의 필드일 때, pi의 일부는 이차일 수 있고, 그래서, 부분 분수 분해에서, 이차 다항식의 거듭제곱에 의한 선형 다항식의 몫이 역시 발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전 정리에서, 우리는 "구별되는 기약 다항식"을 "그들의 도함수를 갖는 서로소인 쌍별 서로소(pairwise coprime) 다항식"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ig제곱-없는 인수-분해(square-free factorization)의 인수일 수 있을 것입니다. K유리수(rational number)의 필드일 때, 그것이 전형적으로 컴퓨터 대수학에서 경우이므로, 이것은 인수-분해를 부분 분수 분해를 계산하는 것에 대해 최대 공통 약수(greatest common divisor)로 대체를 허용합니다.

Application to symbolic integration

기호적 적분화(symbolic integration)의 목적에 대해, 이전 결과는 다음으로 개량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리 — fg를 필드 K에 걸쳐 비-영 다항식으로 놓습니다. g를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에서 중복 근을 가지지 않는 쌍별 서로소 다항식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씁니다:

다음

을 만족하는 (고유한) 다항식 b와 deg cij < deg pi를 갖는 cij가 존재하며, 여기서 의 도함수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마지막 합의 적분화에 대한 유리 함수의 역도함수(antiderivative)의 계산을 줄이며, 이것은 로그 부분으로 불리는데, 왜냐하면 그의 역도함수가 로그의 선형 조합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위의 분해를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설명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것 중 하나는 아마도 소위 에르미트(Hermite)의 방법입니다. cij의 차수는 pi의 차수에 의해 경계지고, b의 차수는 fg의 차수의 차이 (만약 이 차이가 비-음이면; 그렇지 않으면 b=0)이므로, 우리는 이들 미지수 다항식을 미지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으로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위 공식의 두 구성원을 같은 분모로 줄이고 x의 각 거듭제곱의 계수가 두 분자에서 같은 것으로 쓰면, 우리는 미지수 계수에 대해 원했던 값을 얻기 위해 해결될 수 있는 선형 방정식의 시스템(system of linear equations)을 얻습니다.

Procedure

두 다항식 가 주어지면, 여기서 αi는 구별되는 상수이고 deg P < n이며, 부분 분수는 다음

임을 가정하고 ci 상수에 대해, 치환에 의해, x의 거듭제곱을 포함하는 항의 계수의 동일화(equating the coefficients)에 의해, 또는 다른 것에 의해 풂으로써 일반적으로 얻습니다. (이것은 미결정 계수의 방법(method of undetermined coefficients)의 변형입니다.)

보다 직접적인 계산, 이것은 다음으로 쓰이는 것으로 구성하는 라그랑주 보간(Lagrange interpolation)과 강하게 관련됩니다:

여기서 는 다항식 의 도함수입니다.

이 접근은 여러 다른 경우를 설명하지 않지만, 적절히 수정될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나머지 분수에 대해 부분 분수를 찾습니다 (이것은 정의에 의해 deg R < deg Q를 만족시킵니다).
  • 만약 Q(x)가 주어진 필드에 걸쳐 기약인 인수를 포함하면, 분모에서 그러한 인수 F(x)를 갖는 각 부분 분수의 분자 N(x)는 상수가 아닌 deg N < deg F를 갖는 다항식으로 구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R에 걸쳐 다음 분해를 취하십시오:
  • Q(x) = (xα)rS(x) 및 S(α) ≠ 0을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Q(x)는 중복도(multiplicity) r의 영 α를 가지고, 부분 분수 분해에서, 부분 분수의 r은 (xα)의 거듭제곱을 포함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분해를 얻기 위해 S(x) = 1을 취하십시오:

Illustration

이 절차의 예제 응용에서, (3x + 5)/(1 − 2x)2는 다음 형식으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분모 제거(Clearing denominators)3x + 5 = A + B(1 − 2x)임을 보입니다. 전개하고 x의 거듭제곱의 계수를 동일화하면 다음을 제공합니다:

5 = A + B 및 3x = −2Bx

AB에 대해 풀면 A = 13/2 및 B = −3/2를 산출합니다. 그러므로,

Residue method

복소수에 걸쳐, f(x)는 유리 적절한 분수이고, 다음으로 분해될 수 있음을 가정합니다:

다음

을 놓으면 로랑 급수의 유일성(uniqueness of Laurent series)에 따라, aij는 점 xi에 대한 gij(x)의 로랑 전개에서 항 (x − xi)−1의 계수, 즉 그의 잔여(residue)입니다:

이것은 다음 공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공됩니다:

또는 특별한 경우에서 xi가 단순 근일 때,

이것은 다음일 때입니다:

Over the reals

부분 분수는 유리 함수(rational function)의 실수-값 역도함수(antiderivative)를 찾기 위해 실수-변수(real-variable) 적분 미적분학(integral calculus)에 사용됩니다. 실수 유리 함수(rational function)의 부분 분수 분해는 그들의 역 라플라스 변환(Inverse Laplace transform)을 찾기 위해 역시 사용됩니다. 실수에 걸쳐 부분 분수 분해(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over the reals)의 적용에 대해, 다음을 압니다:

General result

f(x)를 실수에 걸쳐 유리 함수로 놓습니다. 다시 말해, 다음을 만족하는

실수 다항식 함수 p(x) 및 q(x)≠ 0가 있음을 가정합니다:

분자와 분모 둘 다를 q(x)의 선행 계수로 나눔으로써, 우리는 일반성의 손실 없이(without loss of generality) q(x)가 일계수(monic)임을 가정할 수 있습니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를 통해, 우리는 다음을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a1,..., am, b1,..., bn, c1,..., cnbi2 − 4ci < 0를 갖는 실수이고, j1,..., jm, k1,..., kn는 양의 정수입니다. 항 (xai)는 q(x)의 실수 근에 해당하는 q(x)의 선형 인수이고, 항 (xi2 + bix + ci)는 q(x)의 복소(complex) 켤레 근의 쌍에 해당하는 q(x)의 기약 이차 인수입니다.

그런-다음 f(x)의 부분 분수 분해는 다음입니다:

여기서, P(x)는 영 다항식이고, Air, Bir, 및 Cir는 실수 상수입니다. 상수를 찾아질 수 있는 방법의 숫자입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공통 분모 q(x)를 곱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런-다음 그의 왼쪽 변이 단순히 p(x)이고 그의 오른쪽 변이 상수 Air, Bir, 및 Cir의 선형 표현인 계수를 가지는 다항식의 방정식을 얻습니다. 두 다항식이 같은 것과 그들의 대응하는 계수가 같은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므로, 우리는 동류항의 계수를 같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해는 선형 대수(linear algebra)의 임의의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역시 극한(limits)과 함께 구할 수 있습니다 (예제 5를 참조하십시오).

Examples

Example 1

여기서, 분모는 두 별개의 선형 인수로 나누어집니다:

그래수 우리는 부분 분수 분해를 가집니다:

왼쪽 변에 대한 분모로 전체를 곱함으로써 다항 항등식을 제공합니다:

이 방정식에 x = −3을 대입하면 A = −1/4를 제공하고, x = 1를 대입하면 B = 1/4를 제공하므로, 다음입니다:

Example 2

긴-나눗셈(long-division) 후에,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인수 x2 − 4x + 8는 실수에 걸쳐 기약인데, 왜냐하면 그의 판별식(discriminant) (−4)2 − 4×8 = − 16이 음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수에 걸쳐 부분 분수 분해는 다음 모양을 가집니다:

x3 − 4x2 + 8x을 전체에 곱하면, 우리는 다항 항등식을 가집니다:

x = 0을 취하여, 우리는 16 = 8A이므로, A = 2임을 압니다. x2 계수를 비교하여, 우리는 4 = A + B = 2 + B이므로, B = 2임을 압니다. 선형 계수를 비교하여, 우리는 −8 = −4A + C = −8 + C이므로, C = 0임을 압니다. 모두 함께,

분수는 복소수(complex numbers)를 사용하여 완전하게 분해될 수 있습니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에 따르면, 차수 n의 모든 각 복소 다항식은 n (복소) 근을 가집니다 (그것의 일부는 반복될 수 있습니다). 이차 분수는 다음으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분모를 전체에 곱하면 다음을 제공합니다:

이 방정식의 양쪽 변의 x의 계수와 (x에 관한) 상수 계수를 동일화하면, 우리는 DE에서 두 선형 방정식의 시스템을 얻으며, 그의 해는 다음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완전한 분해를 가집니다:

우리는 유수 방법과 함께 직접 A, D and E를 역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제 4를 역시 참조하십시오).

Example 3

이 예제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computer algebra system)을 참고하지 않고, 우리가 사용할 필요가 있는 거의 모든 "트릭"을 묘사합니다.

분모를 긴-나눗셈(long-division)인수화(factoring) 후에,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부분 분수 분해는 다음 형식을 취합니다:

왼쪽 변에 대한 분모를 전체에 곱하면 우리는 다항 항등식을 가집니다:

이제 우리는 계수를 계산하기 위헤 x의 다른 값을 사용합니다:

이것을 풀면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이들 값을 사용하여 우리는 다음을 쓸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양쪽 변에 대한 x6x5의 계수를 비교하고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B = 0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부분 분수 분해는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대안적으로, 전개 대산에, 우리는 위의 다항 항등식에서 에서 어떤 도함수를 계산하는 계수에 대한 다른 선형 종속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의 끝에서, (xa)mp(x)의 x = a에서 도함수는 만약 m > 1이고 m = 1에 대해 단지 p(a)이면 사라짐을 기억해내십시오.) 예를 들어 x = 1에서 일차 도함수는 다음을 제공합니다:

즉 8 = 4B + 8이므로 B = 0입니다.

Example 4 (residue method)

따라서, f(z)는 그의 분모가 z+1, z−1, z+i, z−i인 유리 함수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각 항이 거듭제곱 일의 것이므로, −1, 1, −ii는 단순 극점입니다.

그러므로, 유수는 각 극점과 결합되며, 다음에 의해 주어지면,

는, 각각, 다음입니다:

그리고, 다음입니다:

Example 5 (limit method)

극한(Limits)은 부분 분수 분해를 찾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4] 다음 예제를 생각해 보십시오:

먼저, 분해를 결정하는 분모를 인수화합니다:

모든 것에 을 곱하고, 일 때 극한을 취하면, 우리는 다음을 얻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및 따라서:

x를 곱하고 일 때 극한을 취하면,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이것은 A + B = 0를 의미하고 그래서 입니다.

x = 0에 대해, 우리는 을 얻고 따라서 입니다.

모두를 함께 놓으면, 우리는 분해를 얻습니다:

Example 6 (integral)

우리가 부정 적분(integral)을 가짐을 가정합니다:

분해를 수행하기 전에, 우리는 다항식 긴 나눗셈을 수행하고 분모를 인수화(factor)해야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것을 하면 다음의 결과를 낳습니다:

이것에서, 우리는 이제 부분 분수 분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

값을 치환하면, 이 경우에서 B에 대해 풀기 위해 x=1 및 A에 대해 풀기 위해 x=-2를 대입하며, 우리는 다음 결과를 낳습니다:

이것의 모두를 정분에 다시 넣으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The role of the Taylor polynomial

유리 함수의 부분 분수 전개는 다음처럼 테일러의 정리(Taylor's theorem)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다음

을 실수 또는 복소수 다항식으로 놓고, 다음

은 다음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역시 다음을 정의합니다:

그런-다음 우리는 다음

을 가지는 것과 각 다항식 가 점 에서 차수 의 테일러 다항식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테일러의 정리는 (실수 또는 복소수 경우에서) 그런-다음 부분 분수 분해의 존재와 유일성의 증명, 및 계수의 특성화를 제공합니다.

Sketch of the proof

위의 부분 분수 전개는, 각 1 ≤ i ≤ r에 대해, 다음 다항식 전개를 의미하므로,

의 테일러 다항식인데, 왜냐하면 차수 의 다항식 전개의 보편성, 및 가정 에 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역으로, 만약 가 테일러 다항식이면, 각 에서 위의 전개는 유지되고, 따라서 우리는 역시 다음을 가집니다:

이것은 다항식 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에 대해 역시 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으므로,

로 나누어질 수 있습니다. 다음이므로,

우리는 그런-다음 다음을 가지고

우리는 로 나누어지는 부분 분수 전개를 찾습니다.

Fractions of integers

부분 분수의 아이디어는 다른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 말하자면 소수(prime number)가 기약 분모의 역할을 하는 정수(integer)의 링, 등으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es

  1. ^ Larson, Ron (2016). Algebra & Trigonometry. Cengage Learning. ISBN 9781337271172.
  2. ^ Horowitz, Ellis. "Algorithms for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and rational function integration." Proceedings of the second ACM symposium on Symbolic and algebraic manipulation. ACM, 1971.
  3. ^ Grosholz, Emily (2000). The Growth of Mathematical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lshers. p. 179. ISBN 978-90-481-5391-6.
  4. ^ Bluman, George W. (1984). Problem Book for First Year Calculus. New York: Springer-Verlag. pp. 250–251.

References

  • Rao, K. R.; Ahmed, N. (1968). "Recursive techniques for obtaining the partial fraction expansion of a rational function". IEEE Trans. Educ. Vol. 11, no. 2. pp. 152–154. doi:10.1109/TE.1968.4320370.
  • Henrici, Peter (1971). "An algorithm for the incomplete decomposition of a rational function into partial fractions". Z. Angew. Math. Phys. Vol. 22, no. 4. pp. 751–755. doi:10.1007/BF01587772.
  • Chang, Feng-Cheng (1973). "Recursive formulas for the partial fraction expansion of a rational function with multiple poles". Proc. IEEE. Vol. 61, no. 8. pp. 1139–1140. doi:10.1109/PROC.1973.9216.
  • Kung, H. T.; Tong, D. M. (1977). "Fast Algorithms for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SIAM Journal on Computing. 6 (3): 582. doi:10.1137/0206042.
  • Eustice, Dan; Klamkin, M. S. (1979). "On the coefficients of a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Vol. 86, no. 6. pp. 478–480. JSTOR 2320421.
  • Mahoney, J. J.; Sivazlian, B. D. (1983). "Partial fractions expansion: a review of computational methodology and efficiency". J. Comput. Appl. Math. Vol. 9. pp. 247–269. doi:10.1016/0377-0427(83)90018-3.
  • Miller, Charles D.; Lial, Margaret L.; Schneider, David I. (1990). Fundamentals of College Algebra (3rd ed.). Addison-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pp. 364–370. ISBN 0-673-38638-4.
  • Westreich, David (1991). "partial fraction expansion without derivative evaluation". IEEE Trans. Circ. Syst. Vol. 38, no. 6. pp. 658–660. doi:10.1109/31.81863.
  • Kudryavtsev, L. D. (2001) [1994], "Undetermined coefficients, method of",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MS Press
  • Velleman, Daniel J. (2002). "Partial fractions, binomial coefficients and the integral of an odd power of sec theta". Amer. Math. Monthly. Vol. 109, no. 8. pp. 746–749. JSTOR 3072399.
  • Slota, Damian; Witula, Roman (2005). "Three brick method of the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of some type of rational expression". Lect. Not. Computer Sci. Vol. 33516. pp. 659–662. doi:10.1007/11428862_89.
  • Kung, Sidney H. (2006). "Partial fraction decomposition by division". Coll. Math. J. 37 (2): 132–134. JSTOR 27646303.
  • Witula, Roman; Slota, Damian (2008). "Partial fractions decompositions of some rational functions". Appl. Math. Comput. Vol. 197. pp. 328–336. doi:10.1016/j.amc.2007.07.048. MR 2396331.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