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Subgroup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그룹 이론(group theory), 수학(mathematics)의 한 가지에서, 이항 연산(binary operation) ∗ 아래에서 그룹(group) G가 주어지면, G부분집합(subset) H는 만약 H도 연산 ∗ 아래에서 그룹을 형성하면 G의 부분그룹이라고 불립니다. 보다 정확하게, H는 만약 H × H에 대한 ∗의 제한(restriction)H 위에 그룹 연산이면 G의 부분그룹입니다. 이것은 종종 HG로 표시되며, "HG의 부분그룹이다"라고 읽습니다.

임의의 그룹의 자명한 부분그룹(trivial subgroup)은 항등 원소로만 구성된 부분그룹 {e}입니다.[1]

그룹 G적절한 부분그룹(proper subgroup)은 G적절한 부분집합 (즉, HG)인 부분그룹 H입니다. 이것은 종종 표기법적으로 H < G에 의해 표시되며 "HG의 적절한 부분그룹이다"라고 읽습니다. 일부 저자는 역시 자명한 그룹을 적절한 것 (즉, H ≠ {e})에서 제외합니다.[2][3]

만약 HG의 부분그룹이면, G는 때때로 H초과그룹(overgroup)이라고 불립니다.

같은 정의는 G가 임의적인 반그룹(semigroup)일 때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지만, 이 기사는 그룹의 부분그룹만 다룰 것입니다.

Subgroup tests

G가 그룹이고, HG의 부분집합이라고 가정합니다. 지금은, G의 그룹 연산이 병치에 의해 표시되는 곱셈적으로 작성된다고 가정합니다.

  • 그런-다음 HG의 부분그룹인 것과 H가 비-빈이고 곱과 역 아래에서 닫힌(closed)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곱 아래에서 닫힘(Closed under products)은 H에서 모든 각 ab에 대해 곱 abH 안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역 아래에서 닫힘(Closed under inverses)은 H에서 모든 각 a에 대해, 역 a−1H 안에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들 두 조건은 하나로, 즉 H에 있는 모든 각 ab에 대해 원소 ab−1H 안에 있다는 것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두 개의 닫힘 조건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보통 더 쉽습니다.[4]
  • H유한한 것일 때, 그 테스트는 단순화될 수 있습니다: H가 부분그룹인 것과 그것이 비-빈이고 곱 아래에 닫혀 있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이들 조건 단독으로 H의 모든 각 원소 aH의 유한한 순환 부분그룹, 말하자면 차수 n을 생성하고, 그런-다음 a의 역은 an−1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4]

만약 그룹 연산이 대신 덧셈에 의해 표시되면, 곱 아래에서 닫힘H에서 모든 각 ab에 대해, 합 a+bH 안에 있는 조건으로 대체되어야 하고, 역 아래에서 닫힘H에서 모든 각 a에 대해, 역 −aH 안에 있다는 조건에 의해 대체되어야 합니다.

Basic properties of subgroups

  • 부분그룹의 항등원(identity)은 그룹의 항등원입니다: 만약 G가 항등원 eG를 갖는 그룹이고, H가 항등원 eH를 갖는 G의 부분그룹이면, eH = eG입니다.
  • 부분그룹에 있는 원소의 역(inverse)은 그룹에 있는 원소의 역입니다: 만약 H가 그룹 G의 부분그룹이고, abab = ba = eH임을 만족하는 H의 원소이면, ab = ba = eG입니다.
  • 만약 HG의 부분그룹이면, H의 각 원소 a를 자신에게 보내는 포함 맵 HG준동형(homomorphism)입니다.
  • G의 부분그룹 AB교집합(intersection)은 다시 G의 부분그룹입니다.[5] 예를 들어, 덧셈 아래에서 R2에서 x-축과 y-축의 교차점은 자명한 부분그룹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G의 부분그룹의 임의적인 모음의 교집합은 G의 부분그룹입니다.
  • 부분그룹 AB합집합(union)이 부분그룹인 것과 AB 또는 BA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비-예제: 2Z ∪ 3ZZ의 부분그룹이 아닌데, 왜냐하면 2와 3은 이 부분집합의 원소이지만 그 합, 5는 그 부분집합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R2에서 x-축과 y-축의 합집합은 R2의 부분그룹이 아닙니다.
  • 만약 SG의 부분집합이면, S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부분그룹, 즉 S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그룹의 교집합이 존재합니다; 그것은 ⟨S⟩에 의해 표시되고 S에 의해 생성된 부분그룹이라고 불립니다. G의 원소가 ⟨S⟩ 안에 있는 것과 그것이 S의 원소와 그 역의 유한 곱–반복될 수 있음–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6]
  • 그룹 G의 모든 각 원소 a는 순환 부분그룹 ⟨a⟩를 생성합니다. 만약 ⟨a⟩가 일부 양의 정수 n에 대해 Z/nZ (정수 모드 n)과 동형적이면, nan = e인 가장 작은 양의 정수이고, na차수(order)라고 불립니다. 만약 ⟨a⟩가 Z와 동형적이면, a무한 차수(infinite order)를 가진다고 말합니다.
  • 임의의 주어진 그룹의 부분그룹은 부분그룹의 격자(lattice of subgroups)라고 불리는 포함 아래에서 완비 격자(complete lattice)를 형성합니다. (여기서 하한( infimum)은 보통의 집합-이론적 교집합이지만, 부분그룹의 집합의 상한(supremum)은 집합-이론적 합집합 자체가 아니라 부분그룹의 집합-이론적 합집합에 의해 생성된 부분그룹입니다.) 만약 eG의 항등원이면, 자명한 그룹 {e}는 G최소(minimum) 부분그룹이고, 반면에 최대(maximum) 부분그룹은 그룹 G 자체입니다.
G is the group , the integers mod 8 under addition. The subgroup H contains only 0 and 4, and is isomorphic to . There are four left cosets of H: H itself, 1+H, 2+H, and 3+H (written using additive notation since this is an additive group). Together they partition the entire group G into equal-size, non-overlapping sets. The index [G : H] is 4.

Cosets and Lagrange's theorem

부분그룹 HG에서 일부 a가 주어지면, 우리는 왼쪽 코셋(coset) aH = {ah : h in H}를 정의합니다. a는 역-가능이기 때문에, φ(h) = ah에 의해 주어진 맵 φ : HaH전단사(bijection)입니다. 더욱이, G의 모든 각 원소는 H의 정확하게 하나의 왼쪽 코셋에 포함됩니다; 왼쪽 코셋은 동치 관계(equivalence relation) a1 ~ a2인 것과 a1−1a2H 안에 있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에 해당하는 동치 클래스입니다. H의 왼쪽 코셋의 숫자는 G에서 H인덱스(index)라고 불리고 [G : H]에 의해 표시됩니다.

라그랑주의 정리(Lagrange's theorem)는 유한 그룹 G와 부분그룹 H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여기서 |G|와 |H|는 각각 GH차수(orders)를 나타냅니다. 특히, G의 모든 각 부분그룹의 차수 (및 G의 모든 각 원소의 차수)는 |G|의 약수(divisor)여야 합니다.[7][8]

오른쪽 코셋(Right cosets)은 유사하게 정의됩니다: Ha = {ha : h in H}. 그것들은 역시 적절한 동치 관계에 대해 동치 클래스이고 그것들의 숫자는 [G : H]와 같습니다.

만약 G에서 모든 각 a에 대해 aH = Ha이면, H정규 부분그룹(normal subgroup)이라고 말합니다. 인덱스 2의 모든 각 부분그룹은 정규적입니다: 왼쪽 코셋과 역시 오른쪽 코셋은 단순히 부분그룹과 그것의 여집합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p가 유한 그룹 G의 차수를 나누는 가장 낮은 소수이면, 인덱스 p의 임의의 부분그룹 (존재하는 경우)은 정규적입니다.

Example: Subgroups of Z8

G를 그것의 원소가 다음과 같은 순환 그룹(cyclic group) Z8이라고 놓습니다:

그리고 그것의 그룹 연산은 덧셈 모듈로 8(addition modulo 8)입니다. 그것의 케일리 테이블(Cayley table)은 다음과 같습니다:

+ 0 4 2 6 1 5 3 7
0 0 4 2 6 1 5 3 7
4 4 0 6 2 5 1 7 3
2 2 6 4 0 3 7 5 1
6 6 2 0 4 7 3 1 5
1 1 5 3 7 2 6 4 0
5 5 1 7 3 6 2 0 4
3 3 7 5 1 4 0 6 2
7 7 3 1 5 0 4 2 6

이 그룹은 두 개의 비-자명한 부분그룹을 가집니다: J = {0, 4} H = {0, 4, 2, 6} , 여기서 JH의 부분그룹이기도 합니다. H에 대한 케일리 테이블이 G에 대한 케일리 테이블의 꼭대기-왼쪽 사분면입니다; J에 대한 케일리 테이블은 H에 대한 케일리 테이블의 꼭대기-왼쪽 사분면입니다. 그룹 G순환적(cyclic)이고, 그것의 부분그룹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순환 그룹의 부분그룹도 순환적입니다.[9]

Example: Subgroups of S4

S4를 4개 원소의 대칭 그룹(symmetric group)이라고 놓습니다. 아래는 원소의 숫자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된 S4의 모든 부분그룹입니다.

24 elements

전체 그룹 S4는 차수 24의 S4의 부분그룹입니다. 그것의 케일리 테이블은 다음과 같습니다:

The symmetric group S4 showing all permutations of 4 elements
All 30 subgroups
Simplified

12 elements

The alternating group A4 showing only the even permutations

Subgroups:

8 elements

Dihedral group of order 8

Subgroups:
 
Dihedral group of order 8

Subgroups:
 
Dihedral group of order 8

Subgroups:

6 elements

Symmetric group S3

Subgroup:
Symmetric group S3

Subgroup:
Symmetric group S3

Subgroup:
Symmetric group S3

Subgroup:

4 elements

Klein four-group
Klein four-group
Klein four-group
Klein four-group
Cyclic group Z4
Cyclic group Z4
Cyclic group Z4

3 elements

Cyclic group Z3
Cyclic group Z3
Cyclic group Z3
Cyclic group Z3

2 elements

S4에서 차수 2의 각 원소 s는 차수 2의 부분그룹 를 생성합니다. 그러한 원소는 9개입니다: 전치(transpositions) (2-순환) 및 세 원소 (12)(34), (13)(24), (14)(23).

1 element

자명한 부분그룹(trivial subgroup)은 S4에서 차수 1의 고유한 부분그룹입니다.

Other examples

See also

Notes

References

  • Jacobson, Nathan (2009), Basic algebra, vol. 1 (2nd ed.), Dover, ISBN 978-0-486-47189-1.
  • Hungerford, Thomas (1974), Algebra (1st ed.), Springer-Verlag, ISBN 9780387905181.
  • Artin, Michael (2011), Algebra (2nd ed.), Prentice Hall, ISBN 9780132413770.
  • Dummit, David S.; Foote, Richard M. (2004). Abstract algebra (3rd ed.). Hoboken, NJ: Wiley. ISBN 9780471452348. OCLC 248917264.
  • Gallian, Joseph A. (2013). Contemporary abstract algebra (8th ed.). Boston, MA: Brooks/Cole Cengage Learning. ISBN 978-1-133-59970-8. OCLC 807255720.
  • Kurzweil, Hans; Stellmacher, Bernd (1998). Theorie der endlichen Gruppen. Springer-Lehrbuch. doi:10.1007/978-3-642-58816-7.
  • Ash, Robert B. (2002). Abstract Algebra: The Basic Graduate Year. Department of Mathematics University of Illino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