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도함수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주어진 구간에서 매끄러운 함수는 그 구간 내의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합니다. 따라서, 특정점 가 아니라, 함수 위의 임의의 점 에서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한편, 함수 위의 특정점, 즉 에서 도함수의 정의는 다음의 2가지가 있습니다.

이때, 특정점이 아니라 임의의 점이 되면, 식 (1)을 사용했을 때,

와 같이 무의미한 (또는 이상한) 식이 도출됩니다.

따라서, 식 (2)에 대입해서, 임의의 점에서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보통, 특별한 언급없이 도함수라고 부를 때에는 임의의 점에서의 도함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하고, 다움 위키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임의의 점에서의 도함수를 줄여서 도함수라고 이를 것입니다.

임의의 점에서의 도함수의 가치

함수 위의 점 에서 접선의 기울기, 즉, 순간변화율, 즉 그 점에서의 도함수는 그 점에서 미분가능하면 항상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함수 에 대해 점 와 같이 그 점의 위치가 바뀌면, 그 점에서의 정의에 따라 계속해서, 순간변화율을 구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임의의 점 에서의 도함수를 구한 후에, 구하려는 특정점의 좌표를 대입함으로써, 그 점에서의 도함수를 즉시 구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부터, 자주 사용하는 함수의 미분(도함수) 공식을 만들어 둠으로써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없이, 즉시 접선의 기울기, 즉, 순간변화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다항함수의 도함수

다항함수에서 차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부터 상수함수, 일차함수, 이차함수, 삼차함수, 등의 순서입니다.

도함수는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내므로, 그의 그래프가 직선인 상수함수와 일차함수는 접선이 자기 자신입니다.

따라서, 상수함수는 기울기가 영이므로,

(c는 상수)

일차함수는 그 자신의 기울기를 가지므로,

(a (≠ 0)는 상수)

당연하게도, 도함수의 정의에 대입해서 구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차 이상을 포함한 다항함수에서 가장 일반적인 모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n는 자연수)

이 함수의 도함수는, 정의에 의해,

여기서 분자는 Factorization#Recognizable_patterns에서의 인수분해를 이용, 또는 이항정리를 통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응용예제

응용예제1

함수 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습니다. 다음 중에서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를 모두 고르면?

(가)
(나)
(다)

해설: mowoum:도함수#응용예제1

응용예제2

다항함수 를 만족할 때, 의 값은?

해설: mowoum:도함수#응용예제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