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auchy–Schwarz inequality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 inequality, 역시 코시–부냐콥스키–슈바르츠 부등식(Cauchy–Bunyakovsky–Schwarz inequality)이라고도 함)은[1][2][3][4] 수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널리 사용되는 부등식(inequalities) 중 하나로 고려됩니다.[5]

합에 대해 부등식은 Augustin-Louis Cauchy (1821)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적분에 대해 대응하는 부등식은 Viktor Bunyakovsky (1859)와[2] Hermann Schwarz (1888)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슈바르츠는 적분 버전의 현대적 증명을 제공했습니다.[5]

Statement of the inequality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안의 곱 공간(inner product space)의 모든 벡터 에 대해 다음이 참이라고 말합니다:

 

 

 

 

(Cauchy-Schwarz inequality [written using only the inner product])

여기서 안의 곱(inner product)입니다. 안의 곱의 예제는 실수와 복소 점 곱(dot product)을 포함합니다; 안의 곱의 예제를 참조하십시오. 모든 각 안의 곱은 정식의(canonical) 또는 유도된 노름(induced norm)이라고 불리는 노름(norm)을 야기하며, 여기서 벡터 의 노름은 다음에 의해 표시되고 정의됩니다: 이때, 이 노름과 안의 곱은 정의하는 조건 에 의해 관련되며, 여기서 는 (심지어 안의 곱이 복소-값이더라도) 항상 비-음의 실수입니다. 위 부등식의 양쪽 변에 제곱근을 취함으로써,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보다 친숙한 형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6][7]

 

 

 

 

(Cauchy-Schwarz inequality - written using norm and inner product)

게다가, 양쪽 변이 같은 것과 선형적으로 종속(linearly dependent)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8][9][10]

Special cases

Sedrakyan's lemma - Positive real numbers

시드라키얀의 부등식(Sedrakyan's inequality)은, 역시 베리스트룀(Bergström)의 부등식, 엥겔(Engel)의 형식, T2 보조정리, 또는 티투(Titu)의 보조정리라고 불리며, 양의 실수에 대해 다음임을 말합니다:

그것은 를 치환할 때 위에 점 곱(dot product)을 사용함으로써 얻은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직접적인 결과입니다. 이 형식은 부등식이 분자가 완전 제곱(perfect square)인 분수를 포함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R2 - The plane

Cauchy-Schwarz inequality in a unit circle of the Euclidean plane

실수 벡터 공간 는 2-차원 평면을 나타냅니다. 그것은 역시 안의 곱이 점 곱(dot product)인 2-차원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입니다. 만약 이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이 됩니다: 여기서 사이의 각도(angle)입니다.

위의 형식은 아마도 그 부등식을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일 것인데, 왜냐하면 코사인의 제곱은 많아야 1일 수 있으며, 이는 벡터가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일 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역시 벡터 좌표 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다시 말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상등이 유지되는 것과 벡터 가 벡터 와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이거나, 그들 중 하나가 영 벡터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Rn - n-dimensional Euclidean space

점 곱(dot product)인 표준 안의 곱을 갖는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 에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이 됩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이 경우에서 기본 대수에서 아이디어만 사용하여 입증될 수 있습니다. 에서 다음 이차 다항식(quadratic polynomial)을 생각해 보십시오:

그것이 비-음수이기 때문에, 그것은 에 대해 많아야 하나의 실수 근을 가지고, 따라서 그것의 판별식(discriminant)은 0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즉,


Cn - n-dimensional Complex space

만약 를 갖는 (여기서 이고 )이고 벡터 공간 위에 안의 곱이 정식의 복소 안의 곱이면 (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막대 표기법은 복소 켤레(complex conjugation)에 대해 사용됨), 그 부등식은 다음처럼 보다 명시적으로 다시 말할 수 있습니다:

즉,

L2

제곱-적분가능(square-integrable) 복소-값 함수(functions)의 안의 곱 공간에 대해, 다음 부등식:

횔더 부등식(Hölder inequality)은 이것의 일반화입니다.

Applications

Analysis

임의의 안의 곱 공간(inner product space)에서, 삼각형 부등식(triangle inequality)은 아래 보이는 것처럼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결과입니다:

제곱근을 취하면 삼각형 부등식을 제공합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안의 곱이 안의 곱 자체에 의해 유도된 토폴로지(topology)에 관한 연속 함수(continuous function)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11][12]

Geometry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을 정의함으로써 "두 벡터 사이의 각도" 개념을 임의의 실수(real) 안의-곱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을 허용합니다:[13][14]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오른쪽 변이 구간 [−1, 1]에 놓임을 보여줌으로써 이 정의가 합리적임을 입증하고 (실수) 힐베르트 공간(Hilbert spaces)이 단순히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의 일반화라는 개념을 정당화합니다. 그것은 역시 양자 충실도(quantum fidelity)에서 메트릭을 추출할 때 수행되는 것처럼 오른쪽 변의 절댓값 또는 실수 부분을 취함으로써 복소(complex) 안의-곱 공간(inner-product spaces)에서 각도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15][16]

Probability theory

확률 변수(random variables)로 놓고, 그런-다음 공분산 부등식은 다음에 의해 주어집니다:[17][18]

확률 변수의 집합 위에 안의 곱을 그것들의 곱의 기댓값을 사용하여 정의한 후,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이 됩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사용하여 공분산 부등식을 입증하기 위해, 라고 놓고, 그런-다음 여기서 분산(variance)을 나타내고 공분산(covariance)을 나타냅니다.

Proofs

아래에 나와 있는 것 외에도[5][7]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많은 다른 증명이 있습니다.[19] 다른 출처를 참조할 때, 종종 두 가지 혼동의 원인이 있습니다. 첫째, 일부 저자는 ⟨⋅,⋅⟩를 첫 번째 인수가 아닌 두 번째 인수에서 선형으로 정의합니다. 둘째, 일부 증명은 필드가 이고 가 아닐 때 오직 유효합니다.[20]

이 섹션에서는 다음 정리의 증명을 제공합니다:

Cauchy-Schwarz inequality — 를 스칼라 필드 에 걸쳐 안의 곱 공간에서 임의적인 벡터로 놓으며, 여기서 는 실수 또는 복소수 의 필드입니다. 그런-다음

 

 

 

 

(Cauchy-Schwarz Inequality)

이때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서 상등이 유지되는 것선형적으로 독립(linearly dependent)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게다가, 만약 이고 이면, 입니다.

아래 주어진 모든 증명에서, 벡터 중 적어도 하나가 영인 자명한 경우 (또는 동등하게, 인 경우)에서 증명은 같습니다. 그것은 반복을 줄이기 위해 바로 아래에 한 번만 제시됩니다. 그것은 역시 위에 주어진 상등 특성화(Equality Characterization) 증명의 쉬운 부분을 포함합니다; 즉, 만약 가 선형적으로 종속이면 입니다.

Proof of the trivial parts: Case where a vector is and also one direction of the Equality Characterization

정의에 의해, 가 선형적으로 독립인 것과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스칼라 배수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만약 이면 여기서 는 어떤 스칼라이며,

이는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에서 상등이 유지됨을 보여줍니다. 일부 스칼라 에 대해 인 경우는 매우 유사하며, 의 복소 켤레 사이의 주요 차이점을 가집니다:

만약 중 적어도 하나가 영 벡터이면 는 반드시 선형적으로 종속이며 (마치 스칼라가 영 벡터를 얻기 위해 비-영 벡터에 숫자 을 곱합니다; 예를 들어, 이면 가 되도록 라고 놓습니다), 이는 이 특별한 경우에서 이 특성화의 전환을 입증합니다; 즉, 이것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면 상등 특성화가 유지됨을 보입니다.

만약 이면, 이것이 발생하는 것과 이면, 특히,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그것의 양쪽 변이 이기 때문에 유지되도록 이고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의 경우에서 증명은 동일합니다.

결과적으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비-영 벡터에 대해서만 증명하면 되고 상등 특성화(Equality Characterization)의 비-자명한 방향만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of 1

의 특수한 경우는 위에서 증명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이라고 가정합니다. 코시-슈바르츠 등식 (및 정리의 나머지 부분)은 다음 상등의 거의 즉각적인 따름정리입니다:[21]

 

 

 

 

(Eq. 1)

상등 Eq. 1은 (노름의 정의를 통해) 를 기본적으로 전개하고 그런-다음 단순화하여 쉽게 검증됩니다:

이 전개는 를 비-영임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는 양쪽 변을 으로 나누고 그것으로부터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추론하기 위해 비-영이어야 합니다. 를 서로 바꾸면 다음을 발생합니다: 그리고 따라서

Proof 2

의 특수한 경우는 위에서 증명되었으므로 앞으로는 이라고 가정합니다. 다음으로 놓습니다:

첫 번째 인수에서 안의 곱의 선형성에서 다음임을 따릅니다:

그러므로, 는 벡터 에 직교하는 벡터입니다 (사실, 에 직교하는 평면 위로의 투영(projection)입니다.) 따라서 피타고라스 정리(Pythagorean theorem)를 다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을 제공합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를 곱하고 그런-다음 제곱근을 취함으로써 따릅니다. 더욱이, 위 표현에서 관계 가 실제로 상등이면, 이고 따라서 입니다; 의 정의는 사이의 선형 종속의 관계를 수립합니다. 이 섹션의 시작 부분에서 그 전환이 증명되었으므로, 증명이 완료되었습니다.

Proof for real inner products

를 실수 안의 곱 공간이라고 놓습니다. 임의적인 쌍 에 의해 정의된 함수 을 생각해 보십시오. 안의 곱은 양수-한정이므로, 는 오직 비-음의 값을 취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는 안의 곱의 쌍선성을 사용하고 실수 안의 곱에 대해 라는 사실을 사용하여 전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는 차수 2의 다항식입니다 (이 아닌 한, 이는 독립적으로 검증될 수 있는 경우입니다). 의 부호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이 다항식의 판별식은 비-양수여야 합니다: 결론이 따라옵니다.

상등 경우에 대해, 가 발생하는 것과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임을 주의하십시오. 만약 이면, 이고 따라서 입니다.

Proof for the dot product

안의 곱이 위에 점 곱(dot product)인 경우에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이제 입증됩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에 대해, 또는 동등하게, 로 다시 쓸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전개됩니다:

단순화하기 위해, 입증되려는 남아있는 명제가 로 다시 정렬될 수 있는 로 쓸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놓습니다: 이차 방정식(quadratic equation) 판별식(discriminant)입니다.

그러므로, 증명을 완료하기 위해, 이 이차가 실수 근을 가지지 않거나 정확하게 하나의 실수 근을 가짐을 증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이는 다음임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의 값을 에 대입하여 다음을 제공합니다: 이는 자명한 부등식: 모든 에 대해 에 의해 각각 인 항의 합입니다. 이것은 부등식을 증명하고 따라서 증명을 마치기 위해, 상등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야 합니다. 상등 는 다음을 검사 후 코시-슈바르츠에 대한 상등 경우입니다: 이는 상등이 달성될 수 있음을 입증합니다.

Generalizations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다양한 일반화가 존재합니다. 훨더의 부등식은 그것을 노름으로 일반화합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바나흐 공간 (즉, 그 공간이 힐베르트 공간일 때) 위에 선형 연산자의 노름의 정의의 특수한 경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일반화는 연산자 이론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연산자-볼록 함수와 연산자 대수에 대해, 여기서 도메인 및/또는 치역은 C*-대수 또는 W*-대수로 대체됩니다.

안의 곱은 양수 선형 함수형(positive linear functional)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힐베르트 공간 이 주어지면, 이 유한 측정이며, 표준 안의 곱은 에 의해 양수 함수형 를 발생시킵니다. 반대로, 위의 모든 각 양수 선형 함수형 는 안의 곱 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점별 복소 켤레입니다. 이 언어에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다음이 됩니다:

이는 C*-대수 위에 양수 함수형으로 축어적으로 확장됩니다.

Cauchy–Schwarz inequality for positive functionals on C*-algebras[22][23] — 만약 가 C*-대수 위에 양수 선형 함수형이면 모든 에 대해, 입니다.

다음 두 가지 정리는 연산자 대수에서 나아가서 예제입니다.

Kadison–Schwarz inequality[24][25] (Named after Richard Kadison) — 만약 가 단위 양수 맵이면, 그것의 도메인에서 모든 각 정규 원소(normal element) 에 대해, 우리는 를 가집니다.

이것은 가 선형 함수형일 때 라는 사실을 확장합니다. 가 자기-인접, 즉, 일 때 그 경우는 때때로 Kadison's inequality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auchy-Schwarz inequality (Modified Schwarz inequality for 2-positive maps[26]) — C*-대수 사이의 2-양수 맵 에 대해, 그것의 도메인에서 모든 에 대해,

또 다른 일반화는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양쪽 변 사이를 보간함으로써 얻은 정제입니다:

Callebaut's Inequality[27] — 실수 에 대해,

이 정리는 훨더의 부등식에서 추론할 수 있습니다.[28] 연산자와 행렬의 텐서 곱에 대해 비-교환 버전도 있습니다.[29]

코시-슈바르츠 부등식과 칸토로비치(Kantorovich) 부등식의 행렬 버전의 조사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30]

See also

Notes

  1. ^ In fact, it follows immediately from Eq. 1 that when then if and only if

Citations

  1. ^ O'Connor, J.J.; Robertson, E.F. "Hermann Amandus Schwarz".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 ^ a b Bityutskov, V. I. (2001) [1994], "Bunyakovskii inequality",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MS Press
  3. ^ Ćurgus, Branko. "Cauchy-Bunyakovsky-Schwarz inequality". Department of Mathematics.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4. ^ Joyce, David E. "Cauchy's inequality" (PDF). Department of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Clark Universit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5. ^ a b c Steele, J. Michael (2004). The Cauchy–Schwarz Master Class: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Mathematical Inequalities.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p. 1. ISBN 978-0521546775. ...there is no doubt that this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d most important inequalities in all of mathematics.
  6. ^ Strang, Gilbert (19 July 2005). "3.2".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4th ed.). Stamford, CT: Cengage Learning. pp. 154–155. ISBN 978-0030105678.
  7. ^ a b Hunter, John K.; Nachtergaele, Bruno (2001). Applied Analysis. World Scientific. ISBN 981-02-4191-7.
  8. ^ Bachmann, George; Narici, Lawrence; Beckenstein, Edward (2012-12-06). Fourier and Wavelet Analysi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4. ISBN 9781461205050.
  9. ^ Hassani, Sadri (1999). Mathematical Physics: A Modern Introduction to Its Foundations. Springer. p. 29. ISBN 0-387-98579-4. Equality holds iff <c|c>=0 or |c>=0. From the definition of |c>, we conclude that |a> and |b> must be proportional.
  10. ^ Axler, Sheldon (2015). Linear Algebra Done Right, 3rd E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p. 172. ISBN 978-3-319-11079-0. This inequality is an equality if and only if one of u, v is a scalar multiple of the other.
  11. ^ Bachman, George; Narici, Lawrence (2012-09-26). Functional Analysis. Courier Corporation. p. 141. ISBN 9780486136554.
  12. ^ Swartz, Charles (1994-02-21). Measure, Integration and Function Spaces. World Scientific. p. 236. ISBN 9789814502511.
  13. ^ Ricardo, Henry (2009-10-21). A Modern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CRC Press. p. 18. ISBN 9781439894613.
  14. ^ Banerjee, Sudipto; Roy, Anindya (2014-06-06). Linear Algebra and Matrix Analysis for Statistics. CRC Press. p. 181. ISBN 9781482248241.
  15. ^ Valenza, Robert J. (2012-12-06). Linear Algebra: An Introduction to Abstract Mathematic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46. ISBN 9781461209010.
  16. ^ Constantin, Adrian (2016-05-21). Fourier Analysis with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74. ISBN 9781107044104.
  17. ^ Mukhopadhyay, Nitis (2000-03-22).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nference. CRC Press. p. 150. ISBN 9780824703790.
  18. ^ Keener, Robert W. (2010-09-08). Theoretical Statistics: Topics for a Core Cours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71. ISBN 9780387938394.
  19. ^ Wu, Hui-Hua; Wu, Shanhe (April 2009). "Various proofs of the Cauchy-Schwarz inequality" (PDF). Octogon Mathematical Magazine. 17 (1): 221–229. ISBN 978-973-88255-5-0. ISSN 1222-5657.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22-10-09. Retrieved 18 May 2016.
  20. ^ Aliprantis, Charalambos D.; Border, Kim C. (2007-05-02). Infinite Dimensional Analysis: A Hitchhiker's Guid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3540326960.
  21. ^ a b Halmos 1982, pp. 2, 167.
  22. ^ Lin, Huaxin (2001-01-01). An Introduction to the Classification of Amenable C*-algebras. World Scientific. p. 27. ISBN 9789812799883.
  23. ^ Arveson, W. (2012-12-06). An Invitation to C*-Algebra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28. ISBN 9781461263715.
  24. ^ Størmer, Erling (2012-12-13). Positive Linear Maps of Operator Algebra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3642343698.
  25. ^ Kadison, Richard V. (1952-01-01). "A Generalized Schwarz Inequality and Algebraic Invariants for Operator Algebras". Annals of Mathematics. 56 (3): 494–503. doi:10.2307/1969657. JSTOR 1969657.
  26. ^ Paulsen, Vern (2002). Completely Bounded Maps and Operator Algebras.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Vol. 78.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0. ISBN 9780521816694.
  27. ^ Callebaut, D.K. (1965). "Generalization of the Cauchy–Schwarz inequality". J. Math. Anal. Appl. 12 (3): 491–494. doi:10.1016/0022-247X(65)90016-8.
  28. ^ Callebaut's inequality. Entry in the AoPS Wiki.
  29. ^ Moslehian, M.S.; Matharu, J.S.; Aujla, J.S. (2011). "Non-commutative Callebaut inequality". Linear Algebra and Its Applications. 436 (9): 3347–3353. arXiv:1112.3003. doi:10.1016/j.laa.2011.11.024. S2CID 119592971.
  30. ^ Liu, S.; Neudecker, H. (1999). "A survey of Cauchy-Schwarz and Kantorovich-type matrix inequalities". Statistical Papers. 40: 55--73.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