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Degree of a polynomial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다항식차수(degree)는 영이 아닌 계수를 갖는 그의 단항식(monomial)(개별 항)의 가장 높은 차수입니다. 항의 차수(degree of a term)는 항 내에 보이는 변수(variables)의 지수의 합이며, 따라서 음수가 아닌 정수입니다. 용어 순서(order)는 차수(degree)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지만, 요즘에는, 여러 다른 개념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다항식의 순서(order of a polynomial)를 참조하십시오). 예를 들어, 다항식 은 세 항을 가진 로써 역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항은 5의 차수 (거듭제곱(powers) 2와 3의 합)를 갖고, 두 번째 항은 1의 차수를 갖고, 그리고 마지막 항은 0의 차수를 가집니다. 따라서 다항식의 차수는, 임의의 항의 최고 차수에 따라, 5입니다.

표준 형식이 아닌 다항식의 차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먼저 곱을 (분배성에 의해) 확장하고 동류항을 결합하여 표준 형식으로 반드시 먼저 작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는, 비록 각 합해지는 숫자(summand:피합수)가 차수가 2일지라도, 차수는 1입니다. 어쨌든, 이것은 표준 형식의 다항식의 곱으로써 표현될 때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곱의 차수는 인수의 차수의 합이기 때문입니다.

Names of polynomials by degree

다음 이름은 그들 차수에 따라 다항식에 지정됩니다:[1][2][3]

더 높은 차수에 대해, 이름들이 때때로 제안되어 왔지만,[5] 아래의 것들은 드물게 사용됩니다:

  • 차수 8 – octic
  • 차수 9 – nonic
  • 차수 10 – decic

3보다 큰 차수에 대해 이름은 라틴 순서-숫자(ordinal number)를 기반으로, -ic로 끝납니다. 이것은 변수의 숫자에 대해 사용되는 이름, 애리티(arity)와 구별되어야 하는데, 애리티는 라틴어 분배 숫자(distributive number)를 기반으로, -ary로 끝납니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두 변수에서 이차 두개의 다항식은 "이진 이차"라고 불립니다: 이진(binary)은 두 변수에 기인하고, 이차(quadratic)는 차수 2에 기인합니다.[a] 항의 숫자에 대해 이름도 역시 있는데, 이 단어는 역시 라틴 분배 숫자를 기반으로, -nomial로 끝납니다; 공통적인 것은 단항(monomial), 이항(binomial) 및 (덜 공통적으로) 삼항(trinomial)이 있습니다; 따라서 는 "이진 이차 이항"입니다.

Other examples

  • 다항식 은 9차 다항식입니다.
  • 다항식 은 삼차 다항식입니다.
  • 다항식 은 5차 다항식입니다 (왜냐하면 은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위의 세 예제의 정식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에 대해, 순서를 바꾸어서, ;
  • 에 대해, 전개한 후에 같은 차수의 항을 정리하면, ;
  • 에 대해, 차수 8의 두 항은 제거되고, .

Behavior under polynomial operations

두 다항식의 합, 곱 또는 합성의 차수는 입력 다항식의 차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6]

Addition

두 다항식의 합(또는 차)의 차수는 그들 각각의 차수 중에 큰 것과 같거나 작습니다; 등호는, 다항식의 차수가 다를 때, 항상 유지됩니다. 즉,

.
.

예를 들어,

  • 의 차수는 3입니다. 3 ≤ max{3, 2}임을 주목하십시오.
  • 의 차수는 2입니다. 2 ≤ max{3, 3}임을 주목하십시오.

Scalar multiplication

비-영의 스칼라(scalar)에 의한 다항식 곱의 차수는 그 다항식의 차수와 같습니다. 즉,

.

예를 들어,

  • 의 차수는 2인데, 바로 의 차수이기 때문입니다.

영의 인수(divisors of zero:영제수)를 포함하는 링(ring)에 걸쳐 다항식에 대해, 이것이 반드시 참인 것은 아님에 주목하십시오. 예를 들어, 에서, 이지만 입니다.

주어진 필드 F로부터의 계수와 주어진 수 n보다 작거나 같은 차수를 갖는 다항식의 집합(Polynomial vector spaces)은 따라서 벡터 공간(vector space)을 형성합니다. (주목할 것은, 어쨌든, 이 집합은 링은 아닌 것으로써, 왜냐하면 그것은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곱셈 아래에 닫혀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Multiplication

필드(field) 또는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에 걸쳐 두 다항식 곱의 차수는 그들 차수의 합입니다:

.

예를 들어,

  • 의 차수는 3 + 2 = 5입니다.

임의의 링에 걸쳐 다항식에 대해, 이것은 반드시 참인 것이 아님을 주목하십시오. 예를 들어, 에서, 이지만 입니다.

Composition

필드 또는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에 걸쳐 두 개의 비-상수 다항식 의 합성의 차수는 그들 차수의 곱입니다:

.

예를 들어,

  • 만약 , 이면, 이므로, 차수 6을 가집니다.

임의의 링에 걸쳐 다항식에 대해, 이것은 반드시 참인 것이 아님을 주목하십시오. 예를 들어, 에서, 이지만, 입니다.

Degree of the zero polynomial

영 다항식(zero polynomial)의 차수는 정의되지 않은 채 남겨 두거나, 또는 음의 차수(보통 −1 또는 )가 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7]

임의의 상수 값과 마찬가지로, 값 0은 하나의 (상수) 다항식으로 여길 수 있으므로, 영 다항식으로 불립니다. 그것은 비-영 항을 가지지 않으므로, 엄격하게 말하면, 차수를 역시 가지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그것의 차수는 정의되지 않습니다. 위의 섹션에서 다항식의 합과 곱의 차수에 대해 전제는 만약 포함된 다항식의 임의의 것이 영다항식이면 적용되지 않습니다.[8]

어쨌든, 영 다항식의 차수를 음의 무한대, 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산술 규칙을 도입하는 것이 편리합니다:[9]

그리고

다음 예제는 이 확장이 위의 동작 규칙(behavior rules)을 어떻게 만족시키는지 보여줍니다:

  • 의 차수는 3입니다. 이것은 기대했던 동작을 만족하는데, 입니다.
  • 의 차수는 입니다. 이것은 기대했던 동작을 만족하는데, 입니다.
  • 의 차수는 입니다. 이것은 기대했던 동작을 만족하는데, 입니다.

Computed from the function values

다항 함수 f의 차수를 평가할 많은 공식이 존재합니다. 점근 해석학(asymptotic analysis)을 기초로 한 것 중 하나는

;

이것은 로그–로그 그래프(log–log plot)에서 기울기를 추정하는 방법과 정확히 짝입니다.

이 공식은 다항식이 아닌 어떤 함수에 대한 차수의 개념을 일반화합니다. 예를 들면:

공식은 그러한 함수의 많은 조합에 대해 합리적인 결과를 역시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의 차수는 입니다.

그의 값으로부터 f의 차수를 계산하기 위한 다른 공식은

;

이 두 번째 공식은 로피탈의 규칙(L'Hôpital's rule)을 첫 번째 공식에 따른 것입니다. 직관적으로, 그것은 의 도함수 에서 추가적 상수 인수로서 차수 d를 나타내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함수의 점근선을 (단순한 숫자 차수보다) 더 좋은 세분화된 설명은 대문자 O 표기법(big O notation)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듬의 분석(analysis of algorithms)에서, 예를 들어, 의 사이의 성장률을 구별하는 것이 종종 그것이 관련되며, 이는 둘 모두 위의 공식에 따라 같은 차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Extension to polynomials with two or more variables

두 개 이상의 변수를 갖는 다항식에 대해, 항의 차수는 항에서 변수의 지수의 입니다; (때때로 전체 차수(total degree)라고 불리는) 다항식의 차수는 다항식에서 모든 항의 차수의 최대입니다. 예를 들어, 다항식 x2y2 + 3x3 + 4y은 차수 4를 가지는데, 항 x2y2와 같은 차수입니다.

어쨌든, 변수 xy에 대한 다항식은, 각각, y의 다항식을 계수로 갖는 x에 대한 다항식이고, 마찬가지로 x의 다항식을 계수로 갖는 y에 대한 다항식입니다. 다항식

x에 대해 차수 3을 가지고 y에 대해 차수 2를 가집니다.

Degree function in abstract algebra

링(ring) R이 주어지면, 다항식 링(polynomial ring) R[x]는 R에서 계수를 가지는 x에서 모든 다항식의 집합입니다. R은 역시 필드(field)인 특별한 경우에서, 다항식 링 R[x]는 주요 아이디얼 도메인(principal ideal domain)이고, 여기서 우리의 논의에서 보다 중요하게, 유클리드 도메인(Euclidean domain)입니다.

필드에 걸쳐 다항식의 차수는 유클리드 도메인에서 노름 함수의 요구-사항의 모두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두 다항식 f(x)와 g(x)가 주어지면, 곱 f(x)g(x)의 차수는 개별적으로 fg 둘 다의 차수보다 커야 합니다. 사실, 얼마쯤 더 강한 것이 유지됩니다:

차수(f(x)g(x)) = 차수(f(x)) + 차수(g(x))

차수 함수가 필드가 아닌 링에 걸쳐 실패할 수 있는 이유의 예제에 대해, 다음 예제를 취하십시오. R = , 정수 모듈로(modulo) 4의 링으로 놓습니다. 이 링은 2 × 2 = 4 ≡ 0 (모드 4)이기 때문에 필드가 아닙니다 (그리고 심지어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도 아닙니다). 그러므로, f(x) = g(x) = 2x + 1.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f(x)g(x) = 4x2 + 4x + 1 = 1입니다. 따라서 차수(fg) = 0이며 이것은 fg의 차수 (각각 1 차수를 가짐)의 차수보다 더 크지 않습니다.

노름 함수는 링의 영 원소에 대해 정의되지 않았으므로, 우리는 다항식 f(x) = 0의 차수를 그것이 유클리드 도메인에서 노름의 규칙을 따르도록 역시 정의되지 않은 것으로 여집니다.

Notes

  1. ^ For simplicity, this is a homogeneous polynomial, with equal degree in both variables separately.
  1. ^ "Names of Polynomials". November 25, 1997. Retrieved 5 February 2012.
  2. ^ Mac Lane and Birkhoff (1999) define "linear", "quadratic", "cubic", "quartic", and "quintic". (p. 107)
  3. ^ King (2009) defines "quadratic", "cubic", "quartic", "quintic", "sextic", "septic", and "octic".
  4. ^ Shafarevich (2003) says of a polynomial of degree zero, : "Such a polynomial is called a constant because if we substitute different values of x in it, we always obtain the same value ." (p. 23)
  5. ^ James Cockle proposed the names "sexic", "septic", "octic", "nonic", and "decic" in 1851. (Mechanics Magazine, Vol. LV, p. 171)
  6. ^ Lang, Sergei (2005). Algebra (3rd ed.). Springer. p. 100. ISBN 978-0-387-95385-4.
  7. ^ Shafarevich (2003) says of the zero polynomial: "In this case, we consider that the degree of the polynomial is undefined." (p. 27)
    Childs (1995) uses −1. (p. 233)
    Childs (2009) uses −∞ (p. 287), however he excludes zero polynomials in his Proposition 1 (p. 288) and then explains that the proposition holds for zero polynomials "with the reasonable assumption that + m = for m any integer or m = ".
    Axler (1997) uses −∞. (p. 64)
    Grillet (2007) says: "The degree of the zero polynomial 0 is sometimes left undefined or is variously defined as −1 ∈ ℤ or as , as long as deg 0 < deg A for all A ≠ 0." (A is a polynomial.) However, he excludes zero polynomials in his Proposition 5.3. (p. 121)
  8. ^ Barile, Margherita. "Zero Polynomial". MathWorld.
  9. ^ Axler (1997) gives these rules and says: "The 0 polynomial is declared to have degree so that exceptions are not needed for various reasonable results." (p. 64)

References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