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Diagonalizable matrix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선형 대수(linear algebra)에서, 정사각 행렬(square matrix) 는 만약 그것이 대각 행렬닮았으면, 즉, , 또는 동등하게 를 만족하는 역가능 행렬(invertible matrix) 와 대각 행렬 가 존재하면 대각화-가능(diagonalizable) 또는 비-결합있는(non-defective)이라고 불립니다. (그러한 , 는 고유하지 않습니다.) 유한-차원 벡터 공간 에 대해, 선형 맵(linear map) 는 만약 고유벡터(eigenvectors)로 구성된 순서화된 기저(ordered basis)가 존재하면 대각화-가능(diagonalizable)이라고 불립니다. 이들 정의는 동등합니다: 만약 가 위와 같이 행렬 표현 를 가지면, 의 열 벡터는 의 고유벡터로 구성된 기저를 형성하고, 의 대각선 엔트리는 의 해당하는 고윳값(eigenvalues)입니다; 이 고유벡터 기저에 관해, 에 의해 표시됩니다. 대각화(Diagonalization)는 위의 를 찾는 과정입니다.

대각화-가능 행렬과 맵은 일단 그것들의 고윳값과 고유벡터가 알려져 있으면 특히 계산하기 쉽습니다. 대각 엔트리에 그 거듭제곱을 간단히 올림으로써 대각 행렬 를 거듭제곱할 수 있고, 대각 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은 단순히 모든 대각 엔트리의 곱입니다; 그러한 계산은 쉽게 로 일반화됩니다. 기하학적으로, 대각화-가능 행렬은 비균질 팽창(inhomogeneous dilation, 또는 이방성 스케일링(anisotropic scaling))입니다 — 그것은 균질 팽창(homogeneous dilation)과 마찬가지로 공간을 스케일하지만, 각 고유벡터 축을 따라 다른 인수, 해당 고윳값에 의해 주어진 인수로 스케일합니다.

대각화-가능이 아닌 정사각 행렬은 결함-있는(defective) 것이라고 불립니다. 실수 엔트리를 갖는 행렬 는 실수에 걸쳐 결함-있는 것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즉, 은 실수 엔트리를 갖는 임의의 역가능 와 대각 에 대해 불가능하지만, 가 복소수에 걸쳐 대각화-가능이 되도록 복소수 엔트리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일반 회전 행렬(rotation matrix)에 대한 경우입니다.

대각화-가능 행렬에 대한 많은 결과는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 (예를 들어, 복소수)에 걸쳐에서만 유지됩니다. 이 경우에서, 대각화-가능 행렬은 모든 행렬의 공간에서 조밀하며, 이는 결함-있는 행렬이 작은 섭동(perturbation)에 의해 대각화-가능 행렬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조르당 정규 형식(Jordan normal form)은 임의의 행렬이 고유하게 대각화-가능 행렬과 거듭제곱영 행렬(nilpotent matrix)의 합이라고 말합니다.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에 걸쳐, 대각화-가능 행렬은 반-단순 행렬(semi-simple matrices)과 동등합니다.

Definition

필드(field) 에서 엔트리를 갖는 정사각 행렬, 는 만약 가 대각 행렬임을 만족하는 역가능 행렬 (즉, 일반 선형 그룹 GLn(F)의 원소), 가 존재하면 대각화-가능(diagonalizable) 또는 비-결점있는(nondefective)이라고 불립니다. 형식적으로

Characterization

대각화-가능 맵과 행렬에 대한 토대적인 사실은 다음에 의해 표현됩니다:

  • 필드 에 걸쳐 행렬 가 대각화-가능인 것과 그 고유공간의 차원(dimensions)의 합이 과 같은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며, 이것이 그 경우인 것과 의 고윳값으로 구성된 기저(basis)가 존재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만약 그러한 기저가 발견되면, 이들 기저 벡터(basis vectors)를 열로 가지는 행렬 를 형성할 수 있고, 는 그 대각 엔트리가 의 고윳값인 대각 행렬일 것입니다. 행렬 에 대해 양식 행렬(modal matrix)로 알려져 있습니다.
  • 선형 맵 가 대각화-가능인 것과 그 고유공간의 차원의 합이 과 같은 것은 필요충분 조건이며, 이것이 그 경우인 것과 의 고유벡터로 구성된 의 기저가 존재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그러한 기저에 관해, 는 대각 행렬에 의해 표현될 것입니다. 이 행렬의 대각 엔트리는 의 고윳값입니다.

다음의 충분 (필수는 아님) 조건이 종종 유용합니다.

  • 행렬 는 만약 그것이 에서 구별되는 고윳값을 가지면, 즉, 그것의 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에서 개의 구별되는 근을 가지면 필드 에 걸쳐 대각화-가능입니다; 어쨌든, 그 전환은 거짓일 수 있습니다. 다음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는 1, 2, 2 (모두가 구별되지는 않음)를 가지고 (닮은) 대각 형식을 갖는 대각화-가능입니다: 그리고 기저 행렬 의 변경: 그 전환은 가 1보다 큰 차원의 고유공간을 가질 때 실패합니다. 이 예제에서, 고윳값 2와 결합된 의 고유공간은 차원 2를 가집니다.
  • 를 갖는 선형 맵 은 만약 그것이 개의 구별되는 고윳값이면, 즉, 그것의 특성 다항식이 에서 개의 구별되는 근을 가지면 대각화-가능입니다.

에 걸쳐 행렬이라고 놓습니다. 만약 가 대각화-가능이면, 그것의 임의의 거듭제곱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대로, 만약 가 역-가능이고, 가 대수적으로 닫혀 있고, 의 특성의 정수 배수가 아닌 일부 에 대해 대각화-가능이면, 는 대각화-가능입니다. 증명: 만약 이 대각화-가능이면, 는 일부 다항식 에 의해 소멸되며, 이는 중복 근을 가지지 않고 (왜냐하면 ), 의 최소 다항식으로 나뉩니다.

복소수 에 걸쳐, 거의 모든 각 행렬이 대각화-가능입니다. 보다 정확하게: 에 걸쳐 대각화-가능이 아닌 복소수 행렬의 집합은, 부분집합으로 고려되며, 르베그 측정(Lebesgue measure) 영을 가집니다. 역시 대각화-가능 행렬은 자르스키 토폴로지(Zariski topology)에 관해 조밀한 부분집합을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비-대각화가능 행렬은 초표면인 특성 다항식의 판별식(discriminant)사리지는 집합(vanishing set) 내부에 있습니다. 그로부터 노름(norm)에 의해 주어진 보통의 (강력한) 토폴로지에서 밀도도 따릅니다.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조르당–슈발레 분해(Jordan–Chevalley decomposition)는 연산자를 그것의 반단순 (즉, 대각화-가능) 부분과 그것의 거듭제곱영(nilpotent) 부분의 합으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행렬이 대각화-가능인 것과 그것의 거듭제곱영 부분이 영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다시 말로 하면, 행렬은 만약 그것의 조르당 형식에서 각 블록이 거듭제곱영 부분을 가지지 않으면 대각화-가능입니다; 즉, 각 "블록"은 일-대-일 행렬입니다.

Diagonalization

The diagonalization of a symmetric matrix can be interpreted as a rotation of the axes to align them with the eigenvectors.

만약 행렬 가 대각화될 수 있으면, 즉,

다음과 같습니다:

를 열 벡터 블록 행렬로 쓰면,

위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 열 벡터는 오른쪽 고유벡터(right eigenvectors)이고, 해당하는 대각 엔트리는 해당하는 고윳값(eigenvalue)입니다. 의 역-가능성은 역시 고유벡터가 선형적으로 독립(linearly independent)이고 의 기저를 형성함을 시사합니다. 이것은 대각화-가능성과 대각화의 정식의 접근 방식을 위한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행 벡터(row vectors)왼쪽 고유벡터(left eigenvectors)입니다.

복소수 행렬 에르미트 행렬 (또는 더 일반적으로 정규 행렬)일 때, 의 고유벡터는 직교정규 기저(orthonormal basis)를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고, 유니태리 행렬(unitary matrix)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습니다. 만약 게다가, 이 실수 대칭 행렬(symmetric matrix)이면, 그것의 고유벡터는 의 직교정규 기저로 선택될 수 있고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실제 연구 행렬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대각화됩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알고리듬이 존재합니다.

Simultaneous diagonalization

행렬의 집합은 만약 가 그 집합에서 모든 각 에 대해 대각 행렬임을 만족하는 단일 역-가능 행렬 가 존재하면 동시에 대각화-가능(simultaneously diagonalizable)이라고 말합니다. 다음 정리는 동시에 대각화-가능 행렬을 특징짓습니다: 대각화-가능 행렬이 교환하는 것과 그 집합이 동시에 대각화-가능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1]: p. 64 

을 갖는 (에 걸쳐) 모든 대각화-가능 행렬의 집합은 동시에 대각화-가능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다음 행렬은

그것들이 교환하지 않기 때문에 대각화-가능이지만 동시에 대각화-가능은 아닙니다.

집합이 교환하는 정규 행렬(normal matrices)로 구성되는 것과 그것이 유니태리 행렬(unitary matrix)에 의해 동시에 대각화-가능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즉, 가 그 집합에서 모든 각 에 대해 대각선임을 만족하는 유니태리 행렬 가 존재합니다.

리 이론(Lie theory)의 언어에서, 동시에 대각화-가능 행렬의 집합은 토럴 리 대수(toral Lie algebra)를 생성합니다.

Examples

Diagonalizable matrices

  • 인볼루션(Involutions)은 대각선 위에 ±1을 갖는 실수 (그리고 실제로 2가 아닌 특성의 임의의 필드)에 걸쳐 대각선-가능입니다.
  • 유한 차수 자기-사상(endomorphisms)은 대각선 위에 단위의 근(roots of unity)을 갖는 (또는 필드의 특성이 자기사상의 차수를 나누지 않는 대수적으로 닫힌 필드)에 걸쳐 대각화-가능입니다. 이것은 최소 다항식이 분리-가능(separable)이기 때문에 따르는데, 왜냐하면 단위의 근이 구별되기 때문입니다.
  • 투영(Projections)은 대각선 위에 0과 1을 갖는 대각화-가능입니다.
  • 실수 대칭 행렬(symmetric matrices)직교 행렬(orthogonal matrices)에 의해 대각화-가능입니다; 즉, 실수 대칭 행렬 가 주어졌을 때, 는 일부 직교 행렬 에 대해 대각선입니다. 보다 일반적으로, 행렬이 유니태리 행렬(unitary matrices)에 의해 대각화-가능인 것과 그것들이 정규(normal)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실수 대칭 행렬의 경우에서, 임을 알 수 있으므로, 분명히 가 성립합니다. 정규 행렬의 예제는 실수 대칭 (또는 반-대칭) 행렬 (예를 들어, 공분산 행렬)과 에르미트 행렬 (또는 반-에르미트 행렬)을 포함합니다. 무한-차원 벡터 공간에 대한 일반화에 대해 스펙트럼 정리(spectral theorems)를 참조하십시오.

Matrices that are not diagonalizable

일반적으로, 회전 행렬(rotation matrix)은 실수에 걸쳐 대각화-가능이 아니지만, 모든 회전 행렬(rotation matrices)은 복소수 필드에 걸쳐 대각선-가능입니다. 심지어 행렬이 대각화-가능이 아니더라도, 항상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능하고, 선행하는 대각선 위에 고윳값과 상부대각선(superdiagonal) 위에 1 또는 0으로 구성된 같은 속성을 갖는 행렬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조르당 정규 형식(Jordan normal for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행렬은 임의의 필드에 걸쳐 대각화-가능이 아니며, 특히 비-영 거듭제곱영 행렬(nilpotent matrices)이 그렇습니다. 이것은 고윳값의 대수적 및 기하학적 중복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더 일반적으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 행렬은 대각화-가능이 아닙니다: 가 대각 행렬임을 만족하는 행렬 는 없습니다. 실제로, 는 하나의 고윳값 (즉, 0)을 가지고 이 고윳값은 대수적 중복도 2와 기하학적 중복도 1을 가집니다.

일부 실수 행렬은 실수에 걸쳐 대각화-가능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다음 행렬을 생각해 보십시오:

행렬 는 임의의 실수 고윳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가 대각 행렬임을 만족하는 실수 행렬 는 없습니다. 어쨌든, 복소수를 허용하면 를 대각화할 수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다음을 취한다면

는 대각입니다. 는 각도 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행렬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는 대각화-가능 행렬의 합이 대각화-가능일 필요가 없음을 보여줌을 주목하십시오.

How to diagonalize a matrix

행렬을 대각화하는 것은 고유벡터가 기저를 형성하는 경우에서 그것의 고윳값과 고유벡터를 찾는 것과 같은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행렬을 생각해 보십시오:

특성 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 의 근은 고윳값 을 가집니다. 선형 방정식 을 푸는 것은 고유벡터 를 제공하지만, 를 제공합니다; 즉, 에 대해, 입니다. 이들 벡터는 의 기저를 형성하므로, 우리는 기저-의-변경 행렬 의 열 벡터로 그것들을 조합하여 다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변환 측면에서 이 방정식을 볼 수 있습니다: 는 표준 기저를 고유기저, 로 취하므로, 의 정의하는 속성인 그것의 고유벡터로 표준 기저를 가지도록 다음을 얻습니다: 에서 고유벡터의 선호하는 순위가 없음을 주목하십시오; 에서 고유벡터(eigenvectors)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은 의 대각화된 형식에서 고윳값(eigenvalues)의 순서만 변경됩니다.[2]

Application to matrix functions

대각화는 행렬 의 거듭제곱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자는 대각 행렬의 거듭제곱만 포함하기 때문에 계산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에서 고윳값 을 갖는 행렬 에 대해, 다음을 계산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거듭제곱 급수로 정의될 수 있는 행렬 지수(matrix exponential)와 다른 행렬 함수(matrix functions)로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를 정의하여, 다음을 가집니다:

이것은 피보나치 숫자(Fibonacci numbers)와 같은 선형 재귀 수열(linear recursive sequences)의 항에 대해 닫힌 형식 표현을 찾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Particular application

예를 들어, 다음 행렬을 생각해 보십시오:

의 다양한 거듭제곱을 계산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놀라운 패턴을 드러냅니다:

위의 현상은 을 대각화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의 고유벡터로 구성된 의 기저가 필요합니다. 그러한 고유벡터 기저 중 하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여기서 의 표준 기저를 나타냅니다. 기저의 역 변경은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간단한 계산은 다음임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는 각각 에 해당하는 고윳값입니다. 행렬 곱셈의 선형성에 의해, 우리는 다음임을 가집니다:

표준 기준으로 다시 전환하여, 다음임을 가집니다:

행렬 형식으로 표현되는 선행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에 따라서 위의 현상을 설명합니다.

Quantum mechanical application

양자 역학적 계산과 양자 화학적 계산에서, 행렬 대각화는 가장 자주 적용되는 수치적 과정 중 하나입니다. 기본적인 이유는 시간-독립적인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 equation)이 무한 차원 공간 (힐베르트 공간) 위에 대부분의 물리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고윳값 방정식이기 때문입니다.

매우 공통적인 근사는 힐베르트 공간을 유한 차원으로 자르는 것이며, 그 후에 슈뢰딩거 방정식은 실수 대칭, 또는 복소수 에르미트 행렬의 고윳값 문제로 공식화될 수 있습니다. 형식적으로 이 근사는 변형 원리(variational principle)에 기초하며, 아래에서 경계진 해밀턴에 유효합니다.

일-차 섭동 이론(First-order perturbation theory)은 역시 퇴화 상태에 대한 행렬 고윳값 문제로 이어집니다.

See also

Notes

References

  1. ^ Horn, Roger A.; Johnson, Charles R. (2013). Matrix Analysis, 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39402.
  2. ^ Anton, H.; Rorres, C. (22 Feb 2000). Elementary Linear Algebra (Applications Version) (8th ed.). John Wiley & Sons. ISBN 978-0-471-17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