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Lebesgue measure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Redirected from Lebesgue measurable)

수학(mathematics)의 한 가지, 측정 이론(measure theory)에서, 프랑스 수학자 앙리 르베그(Henri Lebesgue)의 이름을 따서 지은 르베그 측정n-차원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부분집합(subset)측정(measure)을 할당하는 표준 방법입니다. n = 1, 2, 또는 3에 대해, 그것은 길이(length), 넓이(area), 또는 부피(volume)의 표준 측정과 일치합니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역시 n-차원 부피, n-부피, 또는 단순히 부피라고 불립니다.[1] 그것은 실수 해석학(real analysis) 전반에 걸쳐, 특히 르베그 적분(Lebesgue integration)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르베그 측정을 할당될 수 있는 집합을 르베그 측정-가능이라고 불립니다; 르베그-측정가능 집합 A의 측정은 여기에서 λ(A)로 표시됩니다.

앙리 르베그는 1901년에 이 측정을 설명했으며, 다음 해에는 그의 르베그 적분(Lebesgue integral)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습니다. 둘 다는 1902년 그의 논문의 일부로 출판되었습니다.[2]

르베그 측정은 종종 dx로 표시되지만, 이것이 부피 형식(volume form)의 구별되는 개념과 혼동되어서는 안 됩니다.

Definition

실수의 집합 에서 임의의 구간(interval) (또는 )에 대해, 가 그것의 길이를 나타낸다고 놓습니다. 임의의 부분집합 에 대해, 르베그 밖의 측정(outer measure)[3] 은 다음 하한(infimum)으로 정의됩니다:

일부 집합 카라테오도리 기준(Carathéodory criterion)을 만족시켜며, 모든 각 에 대해, 다음임을 요구합니다:

모든 그러한 의 집합은 σ-대수(σ-algebra)를 형성합니다. 임의의 그러한 에 대해, 그것의 르베그 측정은 그것의 르베그 밖의 측정: 으로 정의됩니다:

카라테오도리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집합 는 르베그-측정가능이 아닙니다. 비-측정가능 집합(non-measurable set)이 존재합니다; 하나의 예제는 비탈리 집합(Vitali set)입니다.

Intuition

정의의 첫 번째 부분은 실수의 부분집합 가 열린 구간의 집합에 의한 범위에 의해 밖의 측정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들 구간 의 집합 각각은 하나의 의미에서 를 덮는데, 왜냐하면 이들 구간의 합집합은 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임의의 덮는 구간 집합의 총 길이는 의 측정을 과대평가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는 구간의 합집합의 부분집합이고, 따라서 그 구간은 에 있지 않는 점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르베그 밖의 측정은 모든 가능한 그러한 집합 중에서 길이의 가장 큰 아래쪽 경계 (하한)으로 나타납니다. 직관적으로, 그것은 에 가장 단단하게 맞고 겹치지 않는 그들 구간 집합의 총 길이입니다.

그것이 르베그 밖의 측정의 특성을 부여합니다. 이 밖의 측정이 적절한 르베그 측정으로 변환되는지 여부는 추가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이 조건은 를 둘의 분할로 나누는 도구로 를 사용하는 실수의 부분집합 를 취함으로써 테스트됩니다: 와 교차하는 의 부분과 에 있지 않는 의 남아있는 부분: 의 차이 집합. 의 이들 분할은 밖의 측정의 주제입니다. 만약 실수의 모든 가능한 그러한 부분집합 에 대해, 에 의해 잘린 의 분할은 그것의 합이 의 밖의 측정인 밖의 측정을 가지면, 의 밖의 르베그 측정은 그것의 르베그 측정을 제공합니다. 직관적으로, 이 조건은 집합 가 "클립"에 대한 "마스크"로 사용될 때 또 다른 집합의 측정에서 불일치를 일으키는 일부 이상한 속성을 가지지 않아야 함을 의미하며, 르베그 밖의 측정이 르베그 측정을 제공하지 않는 집합의 존재로 암시합니다. (그러한 집합은, 실제로, 르베그-측정가능이 아닙니다.)

Examples

Properties

Translation invariance: The Lebesgue measure of and are the same.

Rn 위에 르베그 측정은 다음 속성을 가집니다:

  1. 만약 A구간(intervals)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I1 × I2 × ⋯ × In이면, A는 르베그-측정가능이고 입니다.
  2. 만약 A셀-수-있게 많은(countably many) 서로소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의 서로소 합집합(disjoint union)이면, A는 자체로 르베그-측정가능이고 λ(A)는 포함된 측정가능 집합의 측정의 합 (또는 무한 급수)과 같습니다.
  3. 만약 A가 르베그-측정가능이면, 그것의 여집합(complement)도 마찬가지입니다.
  4. 모든 각 르베그-측정가능 집합 A에 대해 λ(A) ≥ 0.
  5. 만약 AB가 르베그-측정가능이고 AB의 부분집합이면, λ(A) ≤ λ(B). (2의 하나의 결과.)
  6.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의 셀-수-있는 합집합(unions)교집합(intersections)은 르베그-측정가능입니다. (2와 3의 결과가 아닌데, 왜냐하면 여집합과 서로소 셀-수-있는 합집합 아래에서 닫혀 있는 집합의 가족은 셀-수-있는 합집합 아래에서 닫혀 있을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
  7. 만약 ARn (또는 심지어 보렐 집합, 메트릭 공간을 참조)의 열린(open) 또는 닫힌(closed) 부분집합이면, A는 르베그-측정가능입니다.
  8. 만약 A가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이면, 그것은 르베그 측정의 의미에서 "근사적으로 열린" 및 "근사적으로 닫힌" 것입니다 (르베그 측정에 대해 정규성 정리를 참조하십시오).
  9.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은 포함하는 열린 집합과 포함된 닫힌 집합 사이에 "조여질" 수 있습니다. 이 속성은 르베그 측정가능성의 대안 정의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보다 정확하게, 가 르베그-측정가능인 것과 모든 각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열린 집합 와 닫힌 집합 가 존재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7]
  10.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은 포함하는 Gδ 집합Fσ 사이에 "조여질" 수 있습니다. 즉, 만약 A가 르베그-측정가능이면 G ⊇ A ⊇ Fλ(G \ A) = λ(A \ F) = 0를 만족하는 Gδ 집합 GFσ F가 존재합니다.
  11. 르베그 측정은 지역적으로 유한(locally finite)이고 안의 정규(inner regular) 둘 다이고, 따라서 그것은 라돈 측정(Radon measure)입니다.
  12. 르베그 측정은 비-빈 열린 집합 위에 엄격하게 양수(strictly positive)이고, 따라서 그것의 지원(support)Rn의 전체입니다.
  13. 만약 Aλ(A) = 0 (a 널 집합)을 갖는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이면, A의 모든 각 부분집합은 역시 널 집합입니다. 포르티오리, A의 모든 각 부분집합은 측정가능입니다.
  14. 만약 A가 르베그-측정가능이고 xRn의 원소이면, A + x = {a + x : aA}에 의해 정의된, A의 x 만큼 평행이동은 역시 르베그-측정가능이고 A와 같은 측정을 가집니다.
  15. 만약 A가 르베그-측정가능이고 이면, 에 의해 정의된 만큼 팽창은 역시 르베그-측정가능이고 측정 를 가집니다.
  16.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T선형 변환(linear transformation)이고 ARn의 측정가능 부분집합이면, T(A)는 역시 르베그-측정가능이고 측정 를 가집니다.

위의 모든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결하게 요약될 수 있습니다 (비록 마지막 두 주장이 다음과 비-자명하게 연결될지라도):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은 구간의 모든 곱을 포함하는 σ-대수(σ-algebra)를 형성하고, λ를 갖는 해당 σ-대수 위에 고유한 완비(complete) 평행이동-불변(translation-invariant) 측정(measure)입니다.

르베그 측정은 역시 σ-유한(σ-finite)인 속성을 가집니다.

Null sets

Rn의 부분집합은 만약, 모든 각 ε > 0에 대해, 그것이 그것의 전체 부피가 많아야 ε인 n 구간의 셀-수-있게 많은 곱으로 덮혀질 수 있으면 널 집합입니다. 모든 셀-수-있는(countable) 집합은 널 집합입니다.

만약 Rn의 부분집합이 n보다 작은 하우스도르프 차원(Hausdorff dimension)을 가지면, 그것은 n-차원 르베그 측정에 관해 널 집합입니다. 여기서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Rn (또는 그것과 동등한 임의의 메트릭 립시츠(Lipschitz)) 위에 유클리드 메트릭(Euclidean metric)과 상대적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집합은 n보다 작은 토폴로지적 차원(topological dimension)을 가질 수 있고 양수 n-차원 르베그 측정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것의 한 예제는 토폴로지적 차원 0을 가지지만 양수 1-차원 르베그 측정을 가지는 스미스–볼테라–칸토어 집합(Smith–Volterra–Cantor set)입니다.

주어진 집합 A가 르베그-측정가능임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는 보통 A와 오직 널 집합 (대칭 차이(symmetric difference) (AB) ∪ (BA)가 널 집합이라는 의미에서) 만큼 차이나는 "더 미세한" 지합 B를 찾으려고 시도하고 그런-다음 B가 열린 집합 또는 닫힌 집합에서 셀-수-있는 합집합과 교집합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Construction of the Lebesgue measure

르베그 측정의 현대적인 구성은 카라테오도리의 확장 정리(Carathéodory's extension theorem)의 응용입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nN를 고정합니다. Rn에서 상자가 다음 형식의 집합입니다:

여기서 biai이고, 여기서 곱 기호는 데카르트 곱을 나타냅니다. 이 상자의 부피는 다음으로 정의됩니다:

Rn임의의 부분집합 A에 대해, 우리는 다음에 의해 그것의 밖의 측정(outer measure) λ*(A)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다음 만약 Rn의 모든 각 부분집합 S에 대해 다음이면 집합 A를 르베그-측정가능이라고 정의합니다:

이들 르베그-측정가능 집합은 σ-대수(σ-algebra)를 형성하고, 르베그 측정은 임의의 르베그-측정가능 집합 A에 대해 λ(A) = λ*(A)로 정의됩니다.

르베그-측정가능이 아닌 집합의 존재는 집합 이론(set theory)에 대해 많은 기존의 공리의 시스템과 독립적인 집합-이론적인 선택의 공리(axiom of choice)의 결과입니다. 그 공리에서 뒤따르는 비탈리 정리(Vitali theorem)는 르베그-측정가능이 아닌 R의 부분집합이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선택의 공리를 가정하여, 바나흐-타르스키 역설(Banach–Tarski paradox)의 속성과 같은 많은 놀라운 속성을 갖는 비-측정가능 집합(non-measurable set)이 시연되어 왔습니다.

1970년에 로버트 마틴 솔로베이(Robert M. Solovay)는 르베그-측정가능이 아닌 집합의 존재가 선택의 공리의 부재에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 이론(Zermelo–Fraenkel set theory)의 프레임 내에서 입증될 수 없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솔로베이의 모델(Solovay's model)을 참조하십시오).[8]

Relation to other measures

보렐 측정(Borel measure)은 그것이 정의된 그들 집합 위에 르베그 측정과 일치합니다; 어쨌든, 보렐 측정가능 집합이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르베그 측정가능 집합이 있습니다. 보렐 측정은 평행이동-불변이지만, 완비(complete)는 아닙니다.

하르 측정(Haar measure)은 임의의 지역적으로 컴팩트(locally compact) 그룹(group) 위에 정의될 수 있고 르베그 측정의 일반화입니다 (덧셈을 갖는 Rn이 지역적으로 컴팩트 그룹입니다).

하우스도르프 측정(Hausdorff measure)부분매니폴드(submanifold), 예를 들어, R3프랙탈(fractal) 집합에서 표면 또는 곡선과 같이 n보다 더 낮은 차원의 Rn의 부분집합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르베그 측정의 일반화입니다. 하우스도르프 측정은 하우스도르프 차원(Hausdorff dimension)의 개념과 혼동되어서는 안 됩니다.

르베그 측정의 무한-차원 아날로그가 없음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The term volume is also used, more strictly, as a synonym of 3-dimensional volume
  2. ^ Henri Lebesgue (1902). "Intégrale, longueur, aire". Université de Paris. {{cite journal}}: Cite journal requires |journal= (help)
  3. ^ Royden, H. L. (1988). Real Analysis (3rd ed.). New York: Macmillan. p. 56. ISBN 0-02-404151-3.
  4. ^ Asaf Karagila. "What sets are Lebesgue-measurable?". math stack exchange. Retrieved 26 September 2015.
  5. ^ Asaf Karagila. "Is there a sigma-algebra on R strictly between the Borel and Lebesgue algebras?". math stack exchange. Retrieved 26 September 2015.
  6. ^ Osgood, William F. (January 1903). "A Jordan Curve of Positive Are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4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07–112. doi:10.2307/1986455. ISSN 0002-9947. JSTOR 1986455.
  7. ^ Carothers, N. L. (2000). Real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93. ISBN 9780521497565.
  8. ^ Solovay, Robert M. (1970). "A model of set-theory in which every set of reals is Lebesgue-measurable". Annals of Mathematics. Second Series. 92 (1): 1–56. doi:10.2307/1970696. JSTOR 1970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