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Identity element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수학(mathematics)에서, 항등 원소(identity element) 또는 중립 원소(neutral element)는 해당 집합(set) 위에 이항 연산(binary operation)에 관한 집합의 원소의 특수한 유형이며, 이것은 그것과 결합될 때 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변경하지 않고 남겨둡니다.[1] [2][3] 이 개념은 그룹(group)링(ring)과 같은 대수적 구조(algebraic structure)에서 사용됩니다. 용어 항등 원소는, 혼동의 가능성이 없을 때, (덧셈의 항등 및 곱셈의 항등에서 처럼) 항등으로 종종 단축되지만,[4] 항등은 암시적으로 그것과 연관된 이항 연산에 의존합니다.

Definitions

(S, ∗)를 이항 연산 ∗을 갖추어진 집합 S라고 놓습니다. 그런-다음 S의 원소 e는 만약 S에서 모든 a에 대해 ea = a이면 왼쪽(left) 항등원(identity), S에서 모든 a에 대해 ae = a이면 오른쪽(right) 항등원(identity)이라고 불립니다.[5] 만약 e가 왼쪽 항등원과 오른쪽 항등원 둘 다이면, 그것은 양-측 항등원(two-sided identity), 또는 단순히 항등원(identity)이라고 불립니다.[6][7][8][9][10]

덧셈에 관한 항등원은 덧셈의 항등원(additive identity) (종종 0로써 표시됨)이라고 불리고 곱셈에 관한 항등원은 곱셈의 항등원(multiplicative identity) (종종 1로써 표시됨)이라고 불립니다.[4] 이것들은 보통의 덧셈 및 곱셈일 필요는 없습니다−놓여있는 연산은 다소 임의적일 수 있습니다. 구별은, 링(ring), 정수 도메인(integral domain), 및 필드(field)와 같은, 두 이항 연산을 지원하는 집합에 대해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곱셈의 항등원은 종종 후자의 맥락에서 단위(unity) (단위를 갖는 링)라고 불립니다.[11][12][13] 이것은, 곱셈의 역(multiplicative inverse)을 가지는 임의의 원소인, 링 이론에서 단위(unit)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그 자체의 정의에 의해, 단위 자체는 반드시 하나의 단위입니다.[14][15]

Examples

집합 연산 항등원
실수 + (덧셈) 0
실수 · (곱셈) 1
양의 정수 최소 공통 배수 1
비-음의 정수 최대 공통 약수 0 (GCD의 대부분의 정의 아래에서)
m-×-n 곱셈 행렬 덧셈 영 행렬
n-×-n 정사각 행렬 행렬 곱셈 In (항등 행렬)
m-×-n 행렬 ○ (아다마르 곱) Jm, n (일의 행렬)
집합 M에서 자체로의 모든 함수 ∘ (함수 합성) 항등 함수
그룹G 위에 모든 분포 ∗ (합성곱) δ (디랙 델타)
확장된 실수 최소/하한 +∞
확장된 실수 최대/상한 −∞
집합 M의 초월-집합 ∩ (교집합) M
집합 ∪ (합집합) ∅ (빈 집합)
문자열, 목록 연쇄 빈 문자열, 빈 목록
부울 대수 ∧ (논리적 곱) ⊤ (진실)
부울 대수 ∨ (논리적 합) ⊥ (허위)
부울 대수 ⊕ (배타적-또는) ⊥ (허위)
매듭 매듭 합 비-매듭
컴팩트 표면 # (연결된 합) S2
그룹 직접 곱 자명한 그룹
두 원소, {e, f}  ee = fe = e
ff = ef = f에 의해
정의된 ∗
ef 둘 다는 왼쪽 항등원이지만,
오른쪽 항등원이 없고
양-측 항등원이 없습니다
집합 X 위에 동종 관계 상대 곱 항등 관계

Properties

마지막 예제가 (반-그룹(semigroup))가 보여주듯이, (S, ∗)에 대해 여러 왼쪽 항등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모든 각 원소는 왼쪽 항등원이 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여러 오른쪽 항등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오른쪽 항등원과 왼쪽 항등원 둘 다가 있으면, 그것들은 반드시 같아야 하며, 단일 양-측 항등원을 초래합니다. 이것을 보이기 위해, 만약 l이 왼쪽 항등원이고 r이 오른쪽 항등원이면, l = lr = r입니다. 특히, 하나보다 많은 양-측 항등원이 존재할 수 없습니다: 만약 둘, 말하자면 ef가 있으면, efef 둘 다와 같아야 합니다.

(S, ∗)에 대해, 곱셈 연산 아래에서 짝수 정수의 경우에서 처럼,[4] 역시 항등 원소를 갖지 않을 수 있습니다.[16] 또 다른 공통적인 예제는 벡터(vectors)교차 곱(cross product)이며, 여기서 항등 원소의 부재가 임의의 비-영 교차 곱의 방향(direction)이 항상 곱해진 임의의 원소와 직교(orthogonal)한다는 사실과 관련됩니다. 즉, 원래와 같은 방향에서 비-영 벡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항등 원소없는 그룹의 또 다른 예제는 양의(positive) 자연수(natural number)의 덧셈의 반-그룹(semigroup)을 포함합니다.

See also

Notes and references

  1. ^ "The Definitive Glossary of Higher Mathematical Jargon — Identity". Math Vault. 2019-08-01. Retrieved 2019-12-01.{{cite web}}: CS1 maint: url-status (link)
  2. ^ Weisstein, Eric W. "Identity Element". mathworld.wolfram.com. Retrieved 2019-12-01.
  3. ^ "Definition of IDENTITY ELEMENT". www.merriam-webster.com. Retrieved 2019-12-01.
  4. ^ a b c "Identity Element | Encyclopedia.com". www.encyclopedia.com. Retrieved 2019-12-01.
  5. ^ Fraleigh (1976, p. 21)
  6. ^ Beauregard & Fraleigh (1973, p. 96)
  7. ^ Fraleigh (1976, p. 18)
  8. ^ Herstein (1964, p. 26)
  9. ^ McCoy (1973, p. 17)
  10. ^ "Identity Element | Brilliant Math & Science Wiki". brilliant.org. Retrieved 2019-12-01.
  11. ^ Beauregard & Fraleigh (1973, p. 135)
  12. ^ Fraleigh (1976, p. 198)
  13. ^ McCoy (1973, p. 22)
  14. ^ Fraleigh (1976, pp. 198, 266)
  15. ^ Herstein (1964, p. 106)
  16. ^ McCoy (1973, p. 22)

Bibliography

Further reading

  • M. Kilp, U. Knauer, A.V. Mikhalev, Monoids, Acts and Categories with Applications to Wreath Products and Graphs, De Gruyter Expositions in Mathematics vol. 29, Walter de Gruyter, 2000, ISBN 3-11-015248-7, p.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