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Zero divisor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추상 대수학(abstract algebra)에서, 링(ring) R원소(element) a는, 만약 ax = 0을 만족하는 영이 아닌 x가 존재하면 왼쪽 영제수(left zero divisor)라고 불리거나,[1] 또는 만약 x에서 ax로 보내는 R에서 R로의 맵이 단사가 아니면 마찬가지입니다.[a] 비슷하게, 링의 원소(element) a는 만약 ya = 0을 만족하는 비-영 y가 존재하면 오른쪽 영제수(right zero divisor)라고 불립니다. 이것은 링에서 나눔 가능도(divisibility)의 부분적인 경우입니다. 왼쪽 또는 오른쪽 영제수인 원소는 간단히 영제수(zero divisor)라고 불립니다.[2] 왼쪽 및 오른쪽 영제수 둘 다인 원소 a양-측 영제수(two-sided zero divisor)라고 불립니다 (ax = 0을 만족하는 비-영 xya = 0을 만족하는 비-영 y와 다를 수 있습니다). 만약 링이 교환 가능이면(ring is commutative), 왼쪽 및 오른쪽 영제수는 같습니다.

왼쪽 영제수가 아닌 링의 원소는 왼쪽 정규(left regular) 또는 왼쪽 취소-가능(left cancellable)이라고 불립니다. 비슷하게, 오른쪽 영제수가 아닌 링의 원소는 오른쪽 정규(right regular) 또는 오른쪽 취소-가능(right cancellable)이라고 불립니다. 왼쪽 및 오른쪽 취소-가능이고 따라서 영제수가 아닌 링의 원소는 정규(regular) 또는 취소-가능(cancellable),[3] 또는 비-영-제수(non-zero-divisor)라고 불립니다. 비-영인 영제수는 비-영 영제수(nonzero zero divisor) 또는 비-자명한 영제수(nontrivial zero divisor)라고 불립니다. 비-자명한 영제수를 갖지 않는 비-영 링은 도메인(domain)이라고 불립니다.

Examples

  • 링(ring) 에서, 잔여 클래스 는 영제수인데 왜냐하면 이기 때문입니다.
  • 정수의 링 의 오직 영제수는 입니다.
  • 비-영 링의 거듭제곱영(nilpotent) 원소는 항상 양-측 영제수입니다.
  • 링의 거듭상등 원소(idempotent element) 는 항상 양-측 영제수인데, 왜냐하면 이기 때문입니다.
  • 필드(field)에 걸쳐 행렬의 링은 만약 이면 비-영 영제수를 가집니다. (임의의 비-영 링(nonzero ring)에 걸쳐) 행렬의 링에서 영제수의 예제는 다음에 제시합니다:
  • 둘 이상의 비-영 링(nonzero rings)직접 곱(direct product)은 항상 비-영 영제수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각 비-영 를 갖는 에서, 이므로, 은 영제수입니다.
  • 필드(field)로 놓고 그룹(group)으로 놓습니다. 가 유한 차수(order) 의 원소 를 가진다고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그룹 링(group ring) 에서 우리는 인수의 어떤 것도 영이 아닌 를 가지므로, 에서 비-영 영제수입니다.

One-sided zero-divisor

  • (형식적) 행렬 의 링과 함께 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런-다음 . 만약 이면, 가 왼쪽 영제수인 것과 가 짝수인 것은 필요충분(iff) 조건인데,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고, 그것이 오른쪽 영제수인 것과 가 유사한 이유로 짝수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만약 중 하나가 이면, 그것은 양-측 영제수입니다.
  • 다음은 오직 한쪽에 대한 영제수인 원소를 갖는 링의 또 다른 예제입니다. 를 모든 정수의 수열(sequences)의 집합 으로 놓습니다. 링에 대해 에서 로의 모든 덧셈 맵(additive map)을 취하고, 링 연산으로 점별(pointwise) 덧셈과 합성(composition)을 사용합니다. (즉, 우리의 링은 , 덧셈 링 자기-사상 링(endomorphism ring)입니다.) 이 링의 원소의 셋의 예제는 오른쪽 쉬프트 , 왼쪽 쉬프트 , 및 첫 번째 인자 위로의 투영 맵입니다. 이들 덧셈 맵(additive map)의 셋 모두는 영이 아니고, 합성 은 둘 다 0이므로, 에서 로의 덧셈 맵 링에서 은 왼쪽 영제수이고 은 오른쪽 영제수입니다. 어쨌든, 은 오른쪽 영제수가 아니고 은 왼쪽 영제수가 아닙니다: 합성 은 항등식입니다. 은 양-측 영제수인데 왜냐하면 이고, 반면에 은 임의의 방향에서 없습니다.

Non-examples

Properties

  • 필드(field)에 걸쳐 n-×-n 행렬의 링에서, 왼쪽과 오른쪽 영제수는 일치합니다; 그것들은 정확히 특이 행렬(singular matrices)입니다. 정수 도메인에 걸쳐 n-×-n 행렬의 링에서, 영제수는 정확히 행렬식(determinant) 영(zero)을 갖는 행렬입니다.
  • 왼쪽 또는 영제수는 결코 단위(unit)일 수 없는데, 왜냐하면 만약 a가 역-가능이고 일부 비-영 x에 대해 ax = 0이면, 0 = a−10 = a−1ax = x, 모순이기 때문입니다.
  • 원소는 그것이 정규인 변에 취소-가능(cancellable)입니다. 즉, 만약 a가 왼쪽 정규이면, ax = ayx = y임을 의미하고, 유사하게 오른쪽 정규에도 그렇습니다.

Zero as a zero divisor

정의가 이 경우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경우 a = 0에 대해 별도의 규칙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만약 R영 링(zero ring) 이외의 링이면, 0은 (양-측) 영제수인데, 왜냐하면 임의의 비-영 원소 x0x = 0 = x0를 만족시키기 때문입니다.
  • 만약 R0 = 1영 링(zero ring)이면, 0은 영제수가 아닌데, 왜냐하면 0에 곱해질 때 0을 산출하는 비-영 원소가 없기 때문입니다.

일부 참조는 관례에 따라 모든 링에서 영제수로 0을 포함하거나 제외하지만, 그들은 그때에 다음과 같은 명제에서 예외를 도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Zero divisor on a module

R을 교환 링이라고 놓고, MR-모듈로, aR의 원소로 놓습니다. 우리는 만약 "a에 의한 곱셈" 맵 이 단사이면 aM-정규이고, 그렇지 않으면 aM에 대한 영제수라고 말합니다.[4] M-정규 원소의 집합은 R에서 곱셈 집합(multiplicative set)입니다.[4]

"M-정규"와 "M에 대한 영제수"의 정의를 M = R의 경우로 전문화하면 이 기사에서 앞부분에서 제공된 "정규"와 "영제수"의 정의를 복구합니다.

See also

Notes

  1. ^ Since the map is not injective, we have ax = ay, in which x differs from y, and thus a(xy) = 0.

References

  1. ^ N. Bourbaki (1989), Algebra I, Chapters 1–3, Springer-Verlag, p. 98
  2. ^ Charles Lanski (2005), Concepts in Abstract Algebra, American Mathematical Soc., p. 342
  3. ^ Nicolas Bourbaki (1998). Algebra I.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p. 15.
  4. ^ a b Hideyuki Matsumura (1980), Commutative algebra, 2nd edition,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mpany, Inc., p. 12

Further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