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Closure (topology)

This is a fully translate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토폴로지(topology)에서,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에서 점들의 부분집합 S클로저(closure)는 S의 모든 극한 점(limit points)과 함께 S에서 모든 점(points)으로 구성됩니다. S의 클로저는 동등하게 S와 그 경계(boundary)합집합(union)으로 정의될 수 있고, 역시 S를 포함하는 모든 닫힌 집합(closed sets)교집합(intersection)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직관적으로, 클로저는 S에 있거나 S "근처"에 있는 모든 점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S의 클로저에 있는 점은 S클로저의 점(point of closure)입니다. 클로저의 개념은 여러 면에서 내부(interior)의 개념과 이중적(dual)입니다.

Definitions

Point of closure

유클리드 공간(Euclidean space)의 부분집합 에 대해, 는 만약 에 중심을 둔 모든 각 열린 공(open ball)의 한 점을 포함하면 (이 점은 자체일 수 있음), 의 클로저의 점입니다.

이 정의는 메트릭 공간 의 임의의 부분집합 로 일반화됩니다. 완전하게 표현된, 메트릭 를 갖는 메트릭 공간(metric space) 에 대해, 는 만약 모든 각 에 대해, 거리 (다시 말하지만, 가 허용됨)를 만족하는 일부 가 존재하면 의 클로저의 점입니다. 이것을 표현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가 만약 거리 이면 의 클로저의 점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 정의는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s)을 "열린 공" 또는 "이웃(neighbourhood)"을 갖는 "공"으로 대체함으로써 일반화합니다. 를 토폴로지적 공간 의 부분집합으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는 만약 의 모든 각 이웃이 의 한 점을 포함하면 클로저의 점(point of closure) 또는 밀착 점(adherent point)입니다.[1] 이 정의는 이웃이 열린 것을 요구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지 않음을 주목하십시오.

Limit point

클로저의 점의 정의는 집합의 극한 점(limit point of a set)의 정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두 정의 사이의 차이는 미묘하지만 중요합니다 – 즉, 극한 점의 정의에서, 문제에서 점 의 모든 각 이웃은 자체가 아닌 집합의 한 점을 포함해야 합니다. 집합 의 모든 극한 점의 집합은 유도된 집합(derived set)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모든 각 극한 점이 클로저의 점이지만, 클로저의 모든 각 점은 극한 점은 아닙니다. 극한 점이 아닌 클로저의 점은 고립된 점(isolated point)입니다. 다시 말해서, 점 는 만약 그것이 의 원소이고 자체가 아닌 다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의 이웃이 있으면 의 고립된 점입니다.[2]

주어진 집합 와 점 에 대해, 의 클로저의 점인 것과 의 원소인 것 또는 의 극한 점인 것 (또는 둘 다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Closure of a set

토폴로지적 공간 의 부분공간의 클로저(closure)는, 에 의해 표시되거나 (만약 가 이해되면) 가능하게 에 의해 표시되며, 여기서 가 문맥에서 분명하면 그것은 역시 또는 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게다가, 이 때때로 로 대문자로 쓰이며), 다음 동등한 정의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습니다:

  1. 의 클로저의 모든 점들의 집합입니다.
  2. 는 그것의 모든 극한 점과 함께 집합 입니다.[3]
  3. 를 포함하는 모든 닫힌 집합(closed sets)의 교집합입니다.
  4.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입니다.
  5. 와 그것의 경계(boundary) 의 합집합입니다.
  6. 에서 로 수렴하는 에서 (평가된) 네트(net)가 존재하는 모든 의 집합입니다.

집합의 클로저는 다음 속성을 가집니다.[4]

  • 닫힌(closed) 초월집합입니다.
  • 집합 가 닫힌 것과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 만약 이면 의 부분집합입니다.
  • 만약 가 닫힌 집합이면, 를 포함하는 것과 를 포함하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때때로 위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속성은 토폴로지적 클로저의 정의(definition)로 취해지며, 다른 유형의 클로저에 적용될 때 여전히 의미가 있습니다 (아래를 참조).[5]

첫 번째-셀-수-있는 공간 (예를 들어, 메트릭 공간)에서, 에서 점의 모든 수렴하는 수열(sequences)의 모든 극한(limits)의 집합입니다. 일반적인 토폴로지적 공간에 대해, 이 명제는 "수열"을 "네트(net)" 또는 "필터"로 바꾸면 참으로 남습니다 (토폴로지에서 필터(filters in topology)에 대한 기사에서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은 "클로저", "초월집합", "교집합", "포함/포함하는", "가장 작은" 및 "닫힌"이 "내부", "부분집합", "합집합", "~에 포함된", "가장 큰", 및 "열린"으로 대체되면 역시 만족시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 아래의 클로저 연산자(closure operator)를 참조하십시오.

Examples

3 차원에서 구를 생각해 보십시오. 암시적으로, 이 구에 의해 생성된 두 개의 관심 영역이 있습니다; 구 자체와 그 내부 (열린 3-공이라고 함). 3-공의 내부와 표면 사이를 구별할 수 있어 유용하므로, 우리는 우리는 열린 3-공과 닫힌 3-공 – 3-공의 클로저 사이를 구별합니다. 열린 3-공의 클로저는 열린 3-공 더하기 그 표면입니다.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에서:

  • 임의의 공간에서,
  • 임의의 공간 에서,

를 제공하는 표준 (메트릭) 토폴로지(standard (metric) topology):

  • 만약 실수(real numbers)의 유클리드 공간 이면, 입니다.
  • 만약 가 유클리드 공간 이면 유리수(rational numbers)의 집합 의 클로저는 전체 공간 입니다. 우리는 에서 조밀한(dense) 것이라고 말합니다.
  • 만약 복소 평면(complex plane) 이면, 입니다.
  • 만약 가 유클리드 공간 유한(finite) 부분집합이면, 입니다. (일반 토폴로지적 공간에 대해, 이 속성은 T1 공리(T1 axiom)와 동등합니다.)

실수의 집합에서, 우리는 표준 토폴로지가 아닌 다른 토폴로지를 넣을 수 있습니다.

  • 만약 낮은 극한 토폴로지(lower limit topology)를 부여하면, 입니다.
  • 만약 위에 모든 각 집합이 닫힌 (열린) 것인 이산 토폴로지(discrete topology)를 고려하면, 입니다.
  • 만약 위에 오직 닫힌 (열린) 집합이 빈 집합과 자체인 자명한 토폴로지(trivial topology)를 고려하면, 입니다.

이들 예제는 집합의 클로저가 놓여있는 공간의 토폴로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마지막 두 예제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경우입니다.

  • 임의의 이산 공간(discrete space)에서, 모든 각 집합이 닫힌 (및 역시 열린) 것이기 때문에, 모든 각 집합은 그것의 클로저와 같습니다.
  • 임의의 비-이산 공간(indiscrete space) 에서, 오직 닫힌 집합은 닫힌 집합과 자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빈 집합의 클로저가 빈 집합이고, 의 모든 각 비-빈 부분집합 에 대해, 입니다. 다시 말해서, 비-이산 공간의 모든 각 비-빈 부분집합은 조밀한(dense) 것입니다.

집합의 클로저는 역시 우리가 클로저를 취하는 공간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가 유클리드 공간 에 의해 유도된 보통의 상대 토폴로지(relative topology)를 갖는 유리수의 집합이고, 이면, 에서 열린 것과 닫힌 것 둘 다인데 왜냐하면 도 그것의 여집합도 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이며, 의 아래쪽 경계일 수 있지만 에 있을 수 없는데 왜냐하면 는 무리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는 경계 원소를 에 있지 않음으로 인해 잘-정의된 클로저를 가지지 않습니다. 어쨌든, 대신 를 실수 집합으로 정의하고 같은 방법에서 구간을 정의하면, 해당 구간의 클로저는 잘 정의되고 보다 크거나 같은 모든 실수의 집합일 것입니다.

Closure operator

집합 에 대한 클로저 연산자(closure operator)는 거듭제곱 집합(power set), 를 자체로의 매핑(mapping)이며 쿠라토프스키 클로저 공리(Kuratowski closure axioms)를 만족시킵니다. 토폴로지적 공간(topological space) 가 주어지면, 토폴로지적 클로서는 로 보냄으로써 정의되는 함수 를 유도하며, 여기서 표기법 또는 가 대신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가 집합 에 대한 클로저 연산자이면, 토폴로지적 공간은 닫힌 집합(closed sets)를 만족시키는 정확하게 그것들 부분집합 인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얻습니다 (따라서 이들 부분집합의 에서 여집합은 토폴로지의 열린 집합(open sets)을 형성합니다).[6]

클로저 연산자 는 다음이라는 의미에서 에 의해 표시되는 내부(interior) 연산자의 이중(dual)입니다:

그리고 역시

그러므로, 클로저 연산자의 추상 이론과 쿠라토프스키 클로저 공리는 에서 집합을 그것들의 여집합(complements)으로 대체함으로써 내부 연산자의 언어로 쉽게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로저 연산자는 교집합과 교환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완비 메트릭 공간(complete metric space)에서는 다음 결과가 유지됩니다:

Theorem[7] (C. Ursescu) — 완비 메트릭 공간 의 부분집합의 수열로 놓습니다.

  • 만약 각 에서 닫혀 있으면
  • 만약 각 에서 열려 있으면

Facts about closures

부분집합 에서 닫혀(closed) 있는 것과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특히:

  • 빈 집합(empty set)의 클로저는 빈 집합입니다;
  • 자체의 클로저는 입니다.
  • 집합의 교집합(intersection)의 클로저는 항상 집합의 클로저의 교집합의 부분집합(subset)입니다 (그러나 같을 필요는 없습니다).
  • 유한하게(finitely) 많은 집합의 합집합(union)에서, 합집합의 클로저와 클로저의 합집합은 같습니다; 영 집합의 합집합은 빈 집합이고, 따라서 이 명제는 빈 집합의 클로저에 대한 앞의 명제를 특별한 경우로 포함합니다.
  • 무한하게 많은 집합의 합집합의 클로저는 클로저의 합집합과 같을 필요는 없지만, 그것은 항상 클로저 합집합의 초월집합(superset)입니다.

만약 이고 부분공간(subspace)이면 (가 그것 위에 유도하는 부분공간 토폴로지(subspace topology)를 부여함을 의미함), 에서 계산된 의 클로저는 에서 계산된 의 클로저의 교집합과 같습니다:

Proof

의 닫힌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교집합 의 닫힌 부분집합이며 (부분공간 토폴로지의 정의에 의해), 이는 임을 의미합니다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부분집합이기 때문입니다). 의 닫힌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부분공간 토폴로지의 정의에서, 에서 닫혀 있고 임을 만족하는 일부 집합 가 존재해야 합니다. 이고 에서 닫혀 있기 때문에, 의 최소성은 임을 의미합니다. 양쪽 변을 와 교집합하면 임을 보입니다.

의 조밀한 부분집합인 것과 의 부분집합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임을 따릅니다. 의 적절한 부분집합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를 취하십시오.

만약 이지만 의 부분집합일 필요가 없으면, 오직 다음은 항상 보장되며, 여기서 비록 제한이 엄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와 보통의 토폴로지, 를 생각해 보십시오[proof 1]), 만약 의 열린 부분집합에 발생하면 상등 은 유지될 것입니다 ( 사이의 관계에 상관 없습니다).

Proof

라고 놓고 에서 열려 있다고 가정합니다. 라고 놓으며, 이는 과 같습니다 (이기 때문입니다). 여집합 에서 열려 있으며, 여기서 에서 열려 있다는 것은 이제 가 역시 에서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의 닫힌 부분집합이며, 여기서 를 부분집합으로 포함합니다 (만약 안에 있으면 )이기 때문이며, 이는 임을 의미합니다. 양쪽 변을 와 교집합하는 것은 임을 입증합니다. 반대 방향 포함은 로부터 따릅니다.

결과로써, 만약 의 임의의 열린 덮개(open cover)이고 가 임의의 부분집합이면: 이는 모든 각 에 대해 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모든 각 에 의해 그것 위헤 부분공간 토폴로지를 부여합니다). 이 상등은 특히 매니폴드(manifold)이고 열린 덮개 에서 집합이 좌표 차트(coordinate charts)의 도메인일 때 유용합니다. 말로, 이 결과는 임의의 부분집합 에서 클로저가 의 임의의 열린 덮개의 집합에서 "지역적으로" 계산되고 그런-다음 함께 합해질 수 있습니다. 이 방법에서, 이 결과는 부분집합 가 닫혀 있는 것과 그것이 "에서 지역적으로 닫혀 있음(locally closed)"이 필요충분 조건이라는 잘-알려진 사실의 동류로 볼 수 있으며, 만약 의 임의의 열린 덮개(open cover)이면 에서 닫혀 있음과 가 모든 각 에 대해 에서 닫혀 있음이 필요충분 조건임을 의미합니다.

Functions and closure

Continuity

토폴로지적 공간 사이에 함수 연속(continuous)인 것과 코도메인의 모든 각 닫힌 부분집합의 이전-이미지(preimage)가 그 도메인에서 닫혀 있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분명하게, 이것은 의 닫힌 부분집합일 때마다 에서 닫혀 있음을 의미합니다.

클로저 연산자의 관점에서, 가 연속인 것과 모든 각 부분집합 에 대해 다음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즉 말하자면, 부분집합 의 클로저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가 주어지면, 는 반드시 에서 의 클로저에 속합니다. 만약 우리가 점 이면 부분집합 에 가까운 것으로 선언하면, 이 용어는 연속성의 다른 표현 설명을 허용합니다: 가 연속인 것과 모든 각 부분집합 에 대해, 에 가까운 점을 에 가까운 점으로 매핑합니다. 따라서 연속 함수는 정확하게 점과 집합 사이에 "근접성" 관계를 (전진 방향에서) 보존하는 그들 함수입니다: 함수가 연속인 것과 점이 집합에 가까울 때마다 해당 점의 이미지가 해당 집합의 이미지로 가까운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유사하게, 가 고정된 주어진 점 에서 연속인 것과 가 부분집합 에 가까울 때마다, 에 가까운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Closed maps

함수 가 (강하게) 근접 맵(closed map)인 것과 의 닫힌 부분집합일 때마다 의 닫힌 부분집합이라는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클로저 연산자의 관점에서, 가 (강하게) 닫힌 맵인 것과 모든 각 부분집합 에 대해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동등하게, 가 (강하게) 닫힌 맵인 것과 모든 각 닫힌 부분집합 에 대해 인 것은 필요충분 조건입니다.

Categorical interpretation

우리는 다음과 같이 보편적 화살표의 측면에서 클로저 연산자를 우아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집합 거듭제곱집합(powerset)의 부분집합일 때마다 대상이 부분집합이고 사상이 포함 맵(inclusion maps) 부분 순서(partial order) 카테고리(category) 로 실현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위에 토폴로지 는 포함 함수자 를 갖는 의 부분카테고리(subcategory)입니다. 고정된 부분집합 를 포함하는 닫힌 부분집합의 집합은 반점 카테고리(comma category) 로 식별될 수 있습니다. 이 카테고리는 — 역시 부분 순서이며 — 초기 대상 을 가집니다. 따라서 포함 에 의해 제공되는 에서 로의 보편적 화살표가 있습니다.

유사하게, 를 포함하는 모든 각 닫힌 집합은 에 포함된 열린 집합에 해당하기 때문에, 우리는 카테고리 끝 대상(terminal object) 내부(interior)를 갖는 에 포함된 열린 부분집합의 집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클로저의 모든 속성은 이 정의와 위 카테고리의 몇 가지 속성에서 유도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 정의는 토폴로지적 클로저와 다른 유형의 클로저 (예를 들어 대수적 클로저(algebraic closure)) 사이를 정확하게 유추를 만드는데, 왜냐하면 모두가 보편적 화살표(universal arrows)의 예이기 때문입니다.

See also

Notes

  1. ^ From and it follows that and which implies

References

  1. ^ Schubert 1968, p. 20
  2. ^ Kuratowski 1966, p. 75
  3. ^ Hocking & Young 1988, p. 4
  4. ^ Croom 1989, p. 104
  5. ^ Gemignani 1990, p. 55, Pervin 1965, p. 40 and Baker 1991, p. 38 use the second property as the definition.
  6. ^ Pervin 1965, p. 41
  7. ^ Zălinescu 2002, p. 33.

Bibliography

  • Baker, Crump W. (1991), Introduction to Topology, Wm. C. Brown Publisher, ISBN 0-697-05972-3
  • Croom, Fred H. (1989), Principles of Top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ISBN 0-03-012813-7
  • Gemignani, Michael C. (1990) [1967], Elementary Topology (2nd ed.), Dover, ISBN 0-486-66522-4
  • Hocking, John G.; Young, Gail S. (1988) [1961], Topology, Dover, ISBN 0-486-65676-4
  • Kuratowski, K. (1966), Topology, vol. I, Academic Press
  • Pervin, William J. (1965), Foundations of General Topology, Academic Press
  • Schubert, Horst (1968), Topology, Allyn and Bacon
  • Zălinescu, Constantin (30 July 2002). Convex Analysis in General Vector Spaces. River Edge, N.J. London: World Scientific Publishing. ISBN 978-981-4488-15-0. MR 1921556. OCLC 285163112 – via Internet Archive.

External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