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General Leibniz rule

This is a reviewed translation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미적분학(calculus)에서,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의 이름을 따서 지은, 일반적인 라이프니츠 규칙(general Leibniz rule)은 곱 규칙(product rule)을 일반화합니다 (이것은 "라이프니츠의 규칙"으로 역시 알려져 있습니다).[1] 그것은, 만약 -번 미분-가능한 함수이면, 곱 는 역시 -번 미분 가능이고 그의 -번째 도함수는 다음에 의해 제공된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이항 계수(binomial coefficient)이고 입니다.

이것은 곱 규칙 및 수학적 귀납법(mathematical induction)을 사용함으로써 입증될 수 있습니다.

Second derivative

만약, 예를 들어, n = 2이면, 규칙은 두 함수의 곱의 이차 도함수에 대해 표현을 제공합니다:

More than two factors

공식은 m 미분-가능한 함수 f1,...,fm의 곱에 대해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합은 을 갖는 비-음의 정수의 모든 m-튜플 (k1,...,km)에 걸쳐 확대하고,

다항 계수(multinomial coefficient)입니다. 이것은 대수학으로부터 다항 공식(multinomial formula)과 유사합니다.

Proof

일반적인 라이프니츠 규칙의 증명은 귀납법에 의해 진행됩니다. -번 미분-가능한 함수로 놓습니다. 기본 단계 일 때 다음임을 주장합니다.

이것은 보통 곱 규칙이고 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으로, 명제가 고정된 에 대해 유지됨, 즉, 다음임을 가정합니다:

그런-다음, 다음입니다:

그래서 명제는 에 대해 유지되고 증명은 완성입니다.

Multivariable calculus

여러 변수의 함수의 부분 도함수(partial derivative)에 대해 다중-인덱스(multi-index) 표기법과 함께, 라이프니츠 규칙은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으로 말합니다:

이 공식은 미분 연산자의 합성의 기호(symbol)를 계산하는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실, PQ를 (충분히 많은 횟수의 미분-가능한 계수를 갖는) 미분 연산자로 놓고 로 놓습니다. R이 역시 미분 연산자이므로, R의 기호는 다음에 의해 제공됩니다:

직접 계산은 이제 다음을 제공합니다:

이 공식은 라이프니츠 공식으로 보통 알려져 있습니다. 그것은 기호의 공간에서 합성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것에 의하여 링 구조를 유도합니다.

See also

References

  1. ^ Olver, Peter J. (2000). Applications of Lie Groups to Differential Equations. Springer. pp. 318–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