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이계도함수와 극대·극소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이계도함수는 미적분2에서 다루는 초월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적분1의 함수의 증가와 감소에서, 함수 가 주어진 구간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구간에서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합니다.
  • 이면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합니다.

미적분1의 함수의 극대와 극소에서, 함수 에서 연속이고, 의 좌우에서

  • 가 증가상태에서 감소상태로 바뀔 때, 에서 극대이고, 를 극댓값이라고 합니다.
  • 가 감소상태에서 증가상태로 바뀔 때, 에서 극소이고, 를 극솟값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도함수를 통해서 표현하면, 주어진 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이고, 임의의 아주 작은 양의 에 대해,

  • 이면, 에서 극대입니다.
  • 이면, 에서 극소입니다.

한편, 미적분1에서는 다항함수, 오직 삼차함수와 사차함수, 등을 다룸으로써, 위와 같이 도함수의 증감으로부터 극대, 극소를 판정하지 않고, 도함수의 근을 판정하고, 그런-다음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고, 그런-다음 그래프로부터 극대와 극소를 판정합니다. 다항함수의 이런 특징은 더 높은 차수에서도 여전히 유지됩니다.

반면에, 초월함수를 다루는 미적분2는 초월함수와 다함함수의 곱셈 또는 나눗셈 등의 형태의 함수를 다룸으로써,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극대와 극소는 그래프의 개형이 아니라, 도함수의 증감표로부터 판정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미분가능한 함수에서, 에서 극대를 가진다는 의미는,

이고, 이계 도함수는 도함수의 증감 상태로부터 구해지므로, 식 (1)은 도함수가 감소상태(양수0음수)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극대에서의 이계도함수는 입니다.

반면에 극소에서는 도함수 는 증가상태(음수0양수)이므로, 값을 가집니다.

정리하면, 이계도함수를 갖는 함수 에 대하여 일 때,

  • 이면 에서 극대입니다.
  • 이면 에서 극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