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Mean value theorem

This is a reviewed translation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From DawoumWiki, the free Mathematics self-learning
For any function that is continuous on and differentiable on there exists some in the interval such that the secant joining the endpoints of the interval is parallel to the tangent at .

수학(mathematics)에서, 평균 값 정리(mean value theorem)는, 대략적으로, 두 끝점 사이의 주어진 평면 호(arc)에 대해, 호에 대한 접선(tangent)이 그의 끝점을 통과하는 가름선(secant:할선)에 대해 평행한 점이 적어도 하나는 있다고 말합니다.

이 정리는 구간의 점에서 도함수에 대한 지역적 가설로부터 시작하여 구간 위의 함수에 대한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다 정확하게, 만약 함수 닫힌 구간(closed interval) 위에 연속 함수(continuous function)이고, 열린 구간(open interval) 위에 미분-가능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안에 점 가 존재합니다:[1]

이것은 실수 해석학(real analysis)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 중 하나입니다.

History

정리(theorem)의 특별한 경우는, 인도천문학과 수학의 케랄라 학교(Kerala School of Astronomy and Mathematics:케랄라 학파)로부터, 고빈다스바미(Govindasvāmi)바스카라 II(Bhāskara II)에 그의 해설에서, 파르미쉬와르(Parameshvara) (1370-1460)에 의해 첫 번째로 묘사되었습니다.[2] 정리의 제한된 형태는 1691년 미셸 롤(Michel Rolle)에 의해 증명되었습니다; 결과는 지금 롤의 정리(Rolle's theorem)로 알려져 있고, 미적분학의 기법없이, 오직 다항식에 대해 증명되었습니다. 그의 현대 형식에서 평균 값 정리는 1823년 오귀스탱 루이 코시(Augustin Louis Cauchy)에 의해 말해졌고 증명되었습니다.[3]

Formal statement

The function attains the slope of the secant between and as the derivative at the point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are multiple tangents parallel to the secant.

를 닫힌 구간(interval) 위의 연속 함수(continuous function)로 놓고, 열린 구간 위의 미분 가능(differentiable)이라고 놓으며, 여기서 입니다. 그런-다음 다음을 만족하는 안의 어떤 가 존재합니다:

평균 값 정리는, 를 가정하는, 롤의 정리(Rolle's theorem)의 일반화이므로, 위의 오른쪽 변이 영입니다.

평균 값 정리는 약간 더 일반적인 설정에서 여전히 유효합니다. 우리는 위에 연속(continuous)인 것, 안의 모든 각 에 대해 극한(limit)

은 유한한 숫자로 존재 또는 또는 와 같음을 가정하는 것이 오직 필요합니다. 만약 유한이면, 그 극한은 와 같습니다. 정리의 이 버전이 적용되는 예제는 로 매핑하는 실수-값 세제곱근(cube root) 함수에 의해 주어지며, 그의 도함수(derivative)는 원점에서 무한대로 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미분-가능한 함수가 실수-값 대신에 복소수-값이라면, 정리는, 말한 것처럼, 거짓임을 주목하십시오. 예를 들어, 모든 각 실수 에 대해 를 정의하십시오. 그런-다음

반면에 임의의 실수 에 대해 입니다.

이들 공식적인 명제는 라그랑주의 평균 값 정리로 역시 알려져 있습니다.[4]

Proof

표현 은 점 를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slope)를 제공하며, 이것은 의 그래프의 현(chord)이고, 반면에 은 점 에서 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평균 값 정리는 매끄러운 곡선의 임의의 현이 주어지면, 우리는, 그 점에서 접선은 현과 평행한 것을 만족하는 현의 끝-점 사이에 놓여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다음의 증명은 이 아이디어를 설명합니다.

를 정의하는데, 여기서 은 상수입니다. 위에 연속이고 위에 미분-가능이므로, 같은 것이 에 대해 참입니다. 우리는 이제 을 선택하기를 원하므로 롤의 정리(Rolle's theorem)의 조건을 만족시킵니다. 즉

롤의 정리(Rolle's theorem)에 의해, 는 미분-가능이고 이므로, 인 것에 대해 안의 어떤 가 있고, 그것은 다음인 등식 으로부터 따릅니다:

A simple application

f는 연속, 실수-값 함수이고, 실수 직선의 임의의 구간 I에 정의된 것을 가정합니다. 만약 구간 I의 모든 각 내부 점(interior point)에서 f의 도함수가 존재하고 영이면, f는 내부에서 상수(constant)입니다.

증명: 구간 I의 모든 각 내부 점(interior point)에서 f의 도함수가 존재하고 영이라고 가정합니다. (a, b)를 I에서 임의의 열린 구간으로 놓습니다. 평균 값 정리에 의해, 다음을 만족하는 (a, b) 안에 점 c가 존재합니다:

이것은 f(a) = f(b)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I의 내부 위에 상수이고 따라서 연속성에 의해 I 위에 상수입니다. (이 결과의 다변수 버전에 대해 아래를 참조하십시오.)

비고:

Cauchy's mean value theorem

확장된 평균 값 정리로 역시 알려진,[5] 코시의 평균 값 정리는 평균 값 정리의 하나의 일반화입니다. 그것은 말합니다: 만약 함수 fg가 닫힌 구간 [a, b] 위에 둘 다 연속이고, 열린 구간 (a, b) 위에 미분-가능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어떤 c ∈ (a, b)가 존재합니다:[4]

Geometrical meaning of Cauchy's theorem

물론, 만약 g(a) ≠ g(b)이고 g′(c) ≠ 0이면, 이것은 다음과 동등합니다:

기하학적으로, 이것은 다음 곡선(curve)의 그래프에서 어떤 접선(tangent)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6]

이것은 점 (f(a), g(a)) 및 (f(b), g(b))에 의해 정의된 직선에 평행(parallel)입니다. 어쨌든, 코시의 정리는 (f(a), g(a)) 및 (f(b), g(b))가 구별되는 점인 모든 경우에서 그러한 접선의 존재를 주장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f′(c) = g′(c) = 0를 가진 값 c, 달리 말해서, 언급된 곡선이 정류점(stationary)인 것에 대해 하나의 값에 대해 오직 만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곡선에 대한 접선은 전혀 정의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 상황의 예제는 다음에 의해 주어진 곡선입니다:

이것은 구간 [−1, 1] 위에서 점 (−1, 0)에서 (1, 0)로 가고, 여전히 절대 수평 접선을 가지지 않습니다. 어쨌든 그것은 t = 0에서 정류점 (사실 첨점(cusp))을 가집니다.

코시의 평균 값 정리는 로피탈의 정리(l'Hôpital's rule)를 증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평균 값 정리는 g(t) = t일 때 코시의 평균 값 정리의 특수한 경우입니다.

Proof of Cauchy's mean value theorem

코시의 평균 값 정리의 증명은 평균 값 정리의 증명에서 처럼 같은 아이디어를 기초로 합니다.

  • g(a) ≠ g(b)를 가정합니다. h(x) = f(x) − rg(x)를 정의하고, 여기서 rh(a) = h(b)인 그러한 방법에서 고정입니다, 즉
fg는 [a, b] 위에 연속이고 (a, b) 위에 미분-가능이므로, 같은 것이 h에 대해 참입니다. 전부, h롤의 정리(Rolle's theorem)의 조건을 만족시킵니다: 결과적으로, h′(c) = 0인 것에 대해 (a, b) 안에 어떤 c가 있습니다. 이제 h의 정의를 사용하여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그러므로:
이것은 결과를 의미합니다.[4]
  • 만약 g(a) = g(b)이면, g에 대해 롤의 정리(Rolle's theorem)를 적용하여, 그것은 g′(c) = 0인 것에 대해 (a, b) 안의 c가 존재함을 따릅니다. c의 이 선택을 사용하여, 코시의 평균 값 정리는 (자명하게) 유지됩니다.

Generalization for determinants

위에 미분-가능 함수이고 위의 연속인 것을 가정합니다. 다음을 정의합니다:

을 만족하는 가 존재합니다.

다음에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만약 우리가 로 두면, 우리는 코시의 평균 값 정리를 얻습니다. 만약 우리가 로 두면, 우리는 라그랑주의 평균 값 정리(Lagrange's mean value theorem)를 얻습니다.

일반화의 증명은 꽤 단순합니다: 의 각각은 두 동일한 행을 가진 행렬식이고, 그러므로 입니다. 롤의 정리는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ean value theorem in several variables

평균 값 정리는 여러 변수의 실수 함수로 일반화됩니다. 비결은 한 변수의 실수 함수를 생성하기 위해 매개 변수화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런-다음 한-변수의 정리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의 열린 볼록 부분-집합으로 놓고, 를 미분-가능한 함수로 놓습니다. 점 를 고정하고, 를 정의합니다. 는 한 변수에서 미분-가능한 함수이므로, 평균 값 정리는, 0과 1 사이에 어떤 에 대해, 다음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므로, 분명하게 를 계산하여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여기서 그래디언트(gradient)점 곱(dot product)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하나의 변수에서 정리의 정확한 아날로그임에 주목하십시오 (경우 에서, 이것은 한 변수에서 정리입니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Cauchy–Schwarz inequality)에 의해, 방정식은 다음 근사를 제공합니다:

특히, 의 부분 도함수가 경계질 때, 립시츠 연속(Lipschitz continuous)입니다 (그러므로 균등하게 연속(uniformly continuous)입니다). 의 클로저 위에 연속 또는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것임을 가정하지 않는 것에 주목하십시오. 어쨌든, 을 계산하기 위해 체인 규칙을 사용하기 위해, 우리는 미분-가능한 것임을 아는 것이 정말로 필요합니다; 자체에 의해 부분 도함수의 존재는 정리가 참이 되는 것에 대해 충분하지 않습니다[clarification needed].

위의 응용에서 처럼, 우리는, 만약 가 열린 및 연결된 및 의 모든 각 부분 도함수는 0이면 가 상수임을 증명했습니다. 어떤 점 을 선택하고, 로 놓습니다. 우리는 모든 각 에 대해 임을 보이기를 원합니다. 그것에 대해, 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E는 닫힌 및 비어 있지 않은 것입니다. 그것은 역시 열린 것입니다: 모든 각 에 대해, 의 어떤 이웃에서 모든 에 대해,

(여기서, 가 서로 사이에 충분히 가까운 것이 중대합니다.) 가 연결된 것이므로, 우리는 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위의 논증은 좌표-없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가 바나흐 공간의 부분-집합인 경우로 일반화됩니다.

Mean value theorem for vector-valued functions

벡터-값 함수에 대해 평균 값 정리의 정확한 아날로그는 없습니다.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에서, 루딘(Rudin)은 평균 값 정리가 일 차원 경우에서 적용될 수 있는 많은 같은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부등식을 제공합니다:[7]

정리. 위에 미분-가능한 연속 벡터-값 함수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합니다.

장 디외도네(Jean Dieudonné)는 그의 고전적 논문 Foundations of Modern Analysis에서 평균 값 정리를 버리고 평균 부등식으로 그것을 대체했는데 왜냐하면 증명은 구성적이지 않고 우리는 평균값을 절대 찾을 수 없고 응용에서 우리는 평균 평균 부등식이 오직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서지 랭(Serge Lang)은, Analysis I 에서, 적분 형식에서, 순간 반동으로 평균 값 정리를 사용하지만 이 사용은 도함수의 연속성을 요구합니다. 만약 우리가 헨스탁–쿠르즈베일 적분(Henstock–Kurzweil integral)을 사용하면 우리는 모든 각 도함수가 헨스탁–쿠르즈베일 적분-가능이기 때문에 도함수가 연속이어야 한다는 추가적인 가정없이 적분 형식에서 평균 값 정리를 가질 수 있습니다. 문제는 대략적으로 말해서 다음입니다: 만약 f : URm가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여기서 URn는 열린 것입니다), 만약 x + th, x, hRn, t ∈ [0, 1]은 질문에서 (U 내부에 놓여있는) 선분이면, 우리는 (위의 표기법 집합 y = x + h에서) f의 성분 함수 fi (i = 1, ..., m)의 각각에 위의 매개-변수화 절차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행함으로써 우리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선분 위의 점 x + tih을 찾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모든 i에 대해, 선분 위의 단일x + t*h는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을 정의합니다:

그런-다음 이지만, 는 절대 동시에 영이 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벡터-값 함수에 대한 평균 값 정리의 일반화의 특정 유형은 다음으로 얻습니다: f를 열린 구간 I 위에 정의된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실수-값 함수로 놓고, x와 마찬가지로 x + hI의 점으로 놓습니다. 한 변수에서 평균 값 정리는 다음을 만족하는 0과 1 사이의 t*가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에 의해, 변수의 변화에 의해 다음을 따릅니다:

따라서, 특별한 점 t*에서 값 f′(x + t*h)은 다음 평균 값에 의해 대체되어 왔습니다:

이 마지막 버전은 벡터-값 함수들에 대해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보조-정리 1. URn를 열린 것이고, Rm을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것, 및 0 ≤ t ≤ 1가 U 안에 남아있는, 선분 x + th를 만족하는 xU, hRn 벡터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여기서 Dff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을 나타내고 행렬의 적분은 성분별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증명. f1, ..., fmf의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놓고 다음을 정의합니다:

그런-다음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주장은 따라오는데 왜냐하면 Df는 성분 을 구성하는 행렬이기 때문입니다.

보조-정리 2. v : [a, b] → Rm를 구간 [a, b] ⊂ R 위에 정의된 연속 함수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우리는 다음을 가집니다:

증명. Rm 안의 u가 다음 적분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놓으면

이제 우리는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사용하여) 다음을 가집니다:

이제 양쪽 끝에서 u의 노름을 제거함으로써 우리에게 원하는 부등식을 제공합니다.

평균 값 부등식. 만약 Df(x + th)의 노름이 [0, 1] 안의 t에 대해 어떤 상수 M에 의해 경계지면,

증명. 보조-정리 1과 2로부터, 그것은 다음을 따릅니다:

Mean value theorems for definite integrals

First mean value theorem for definite integrals

Geometrically: interpreting f(c) as the height of a rectangle and ba as the width, this rectangle has the same area as the region below the curve from a to b[8]

f : [a, b] → R를 연속 함수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다음을 만족하는 (a, b) 안의 c가 존재합니다:

[a, b] 위의 f의 평균 값은 다음으로 정의되므로

우리는 결론을 해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f는 (a, b) 안의 어떤 c에서 그의 평균 값을 이룹니다. [9]

일반적으로, 만약 f : [a, b] → R이 연속이고 g가 [a, b] 위에 부호를 변경하지 않는 적분-가능한 함수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a, b) 안의 c가 존재합니다:

Proof of the first mean value theorem for definite integrals

f : [a, b] → R이 연속이고 g가 [a, b] 위의 비-음의 적분-가능한 함수라고 가정합니다. 극단 값 정리(extreme value theorem)에 의해, [a, b] 안의 각 x에 대해 을 만족하는 mM이 존재합니다. g는 비-음수이므로,

이제 다음으로 놓습니다:

만약 이면, 우리는 완료했는데, 왜냐하면

를 의미하므로 (a, b) 안의 임의의 c에 대해,

만약 I ≠ 0이면,

중간 값 정리(intermediate value theorem:사잇값 정리)에 의해, f는 구간 [m, M]의 모든 각 값에 도달하므로, [a, b] 안의 어떤 c에 대해,

즉,

마침내, 만약 g가 [a, b] 위에 비-음수이면,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위에서 처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QED

Second mean value theorem for definite integrals

정적분에 대해 두 번째 평균 값 정리(second mean value theorem for definite integrals)로 불리는 다양한 약간 다른 정리가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G : [a, b] → R은 양의 단조적으로 감소하는(monotonically decreasing) 함수이고 φ : [a, b] → R은 적분-가능한 함수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a, b] 안의 숫자 x가 존재합니다:

여기서 를 의미하며, 그것의 존재는 조건으로부터 따릅니다. 구간 (a, b]는 b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라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이 요구 사항을 가지지 않는 변형은 다음입니다:[10]

만약 G : [a, b] → R가 (감소하는 및 양의 것이 요구되지 않는) 단조(monotonic) 함수이고 φ : [a, b] → R는 적분-가능한 함수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a, b) 안의 숫자 x가 존재합니다:

Mean value theorem for integration fails for vector-valued functions

만약 함수 가 다-차원 벡터를 반환하면, 비록 의 도메인이 역시 다-차원일지라도, 적분에 대해 MVT는 참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차원 입방체 위에 정의된 다음 2-차원 함수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런-다음, 대칭에 의해 그의 도메인에 걸쳐 의 평균 값이 (0,0)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어쨌든, 어디에서나 이기 때문에, 인 점은 없습니다.

A probabilistic analogue of the mean value theorem

XY를 E[X] < E[Y] < ∞ 및 와 같은 비-음의 확률 변수(random variable)로 놓습니다 (즉, X보통 확률 순서에서 Y보다 작습니다). 그런-다음, 다음 확률 밀도 함수(probability density function)를 가지는 절대적으로 연속적인 비-음의 확률 변수 Z가 존재합니다:

g를 E[g(X)], E[g(Y)] < ∞를 만족하는 측정-가능한 것(measurable)이고 미분-가능한 함수(differentiable function), 및 그의 도함수 g′를 모든 yx ≥ 0에 대해 구간 [x, y] 위의 측정-가능한 것이고 리만-적분-가능한(Riemann-integrable) 것으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E[g′(Z)]는 유한한 것이고 다음입니다:[11]

Generalization in complex analysis

위에서 주목했듯이, 정리는 미분-가능한 복소수-값 함수에 대해 유지되지 않습니다. 대신, 정리의 일반화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12]

f : Ω → C를 열린 볼록 집합 Ω 위의 정칙 함수(holomorphic function)로 놓고, ab를 Ω 안의 구별되는 점으로 놓습니다. 그런-다음 다음을 만족하는 (a에서 b까지의 선분) Lab 위의 점 u, v가 존재합니다:

여기서 Re()와 Im()는, 각각, 복소수-값 함수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입니다.

See also

Notes

  1. ^ Weisstein, Eric. "Mean-Value Theorem". MathWorld. Wolfram Research. Retrieved 24 March 2011.
  2. ^ J. J. O'Connor and E. F. Robertson (2000). Paramesvara,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3. ^ Ádám Besenyei.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n value theorem" (PDF).
  4. ^ a b c Kirshna's Real Analysis: (General). Krishna Prakashan Media.
  5. ^ W., Weisstein, Eric. "Extended Mean-Value Theorem". mathworld.wolfram.com. Retrieved 2018-10-08.{{cite web}}: CS1 maint: multiple names: authors list (link)
  6. ^ "Cauchy's Mean Value Theorem". Math24. Retrieved 2018-10-08.
  7. ^ Rudin, Walter (1976).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3rd ed.). New York: McGraw-Hill. p. 113. ISBN 978-0-07-054235-8.
  8. ^ "Mathwords: Mean Value Theorem for Integrals". www.mathwords.com.
  9. ^ Michael Comenetz (2002). Calculus: The Elements. World Scientific. p. 159. ISBN 978-981-02-4904-5.
  10. ^ Hobson, E. W. (1909). "On the Second Mean-Value Theorem of the Integral Calculus". Proc. London Math. Soc. S2–7 (1): 14–23. doi:10.1112/plms/s2-7.1.14. MR 1575669.
  11. ^ Di Crescenzo, A. (1999). "A Probabilistic Analogue of the Mean Value Theorem and Its Applications to Reliability Theory". J. Appl. Probab. 36 (3): 706–719. doi:10.1239/jap/1032374628. JSTOR 3215435.
  12. ^ "Complex Mean-Value Theorem". PlanetMath. PlanetMath.

External links